• 제목/요약/키워드: IL-1 beta

검색결과 2,438건 처리시간 0.038초

간질성 폐질환환자들의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폐포 대식세포와 임파구의 접착분자 발현 및 Soluble ICAM-1 농도에 관한 연구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on Alveolar Macrophages and Lymphocytes and Soluble ICAM-1 Level in Serum and Bronchoalveolar Lavge(BAL) Fluid of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최강현;염호기;박명재;임채만;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69-583
    • /
    • 1995
  • 연구배경: 간질성 폐질환은 여러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폐포염 및 폐간질내 염증으로 시작해 종국에는 폐섬유증으로 진행되는 질환들로 염증세포들의 이동에 필요한 접착분자들이 이들 질환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는 뚜렷이 적당한 지표가 없었던 질환의 활동성을 판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BAL내 AM에서 면역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들로 방법 자체가 음성과 양성세포를 감별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발현도 증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발표된 결과들이 차이가 많다. 저자들은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BAL)내 AM과 임파구에서의 ${\beta}_2$-integrin(CD18)과 ICAM-1의 발현도를 FACS를 이용한 relative median fluorescence intenity(RMFI)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고, 또한 혈청 및 BAL액내 가용정 ICAM-1(sICAM-1) 농도를 측정하고, BAL액내 다른 지표들과 비교하여 이들을 간질성 폐질환의 활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가능성을 알아 보았다. 방법: 대상은 조직학적으로 확인 된 미만성 간질성 폐섬유증(IPF) 환자 11명, 교원성 폐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환자(CVD-PF) 6명, 폐유육종증 9명, 과민성 폐장염환자 2명과 대조군으후 건강한 정상인 9명이었고 BAL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ICAM-1 및 CD18은 단일항체를 사용하여 FACScan으로 median fluorescence intenity를 측정하여 RMFI를 구하고, sICAM-1농도는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AM에서 ICAM-1의 발현도는 $3.30{\pm}1.16$으로 대조군($0.93{\pm}0.18$)보다 증가되었고 임파구의 ICAM-1 발현도 $5.39{\pm}2.70$으로 대조군($1.06{\pm}0.21$)보다 높았다. CD18의 발현도는 임파구에서 $24.9{\pm}14.9$로 대조군($4.69{\pm}3.77$) 보다 향진되었으며, 이들 ICAM-1의 발현도는 AM 백분률과 역상관관계륜 보였고(r=-0.66, p=0.0001) 임파구의 백분율과는 정상관관계를 보였다(r=0.447, p=0.0116). 임파구가 증가되는 유육종증, 교원성질환, 과민성폐렴에서는 임파구의 ICAM-1 발현도와 BAL액내 임파구의 %(r=0.747, p=0.0006) 및 임파구농도(r=0.832, p=0.0002)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파구의 IL-2수용체발현과도 연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39, p=0.0075). 또한 유육종증에서는 혈중 ACE 농도와 임파구의 ICAM-1 발현도가(r=0.905, p=0.0132)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이들 접착분자 발현도가 병소의 활동성과 연관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혈청내 sICAM-1농도는 환자군에서 $499.7{\pm}222.2\;ng/ml$로 대조군의 $199.0{\pm}38.9\;ng/ml$보다 높았으며(p=0.0097), BAL액내 sICAM-1농도도 환자군에서 $41.8{\pm}23.0\;ng/ml$로 대조군의 $20.1{\pm}13.6\;ng/ml$보다 증가를 보였다. 또한 혈청내 sICAM-1 농도는 AM의 ICAM-1 발현도 및 (r=0.554, p=0.0259) BAL액내 sICAM-1농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혈청 및 BAL액내의 albumin과 sICAM-1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BAL액내의 sICAM-1 농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미루어 대부분의 sICAM-1은 병소내에서 생성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결론: 간질성폐질환환자들의 AM및 BAL-임파구에서 접착분자들의 발현도가 증가되었고, 혈청 및 BAL액내 sICAM-1 농도가 상승되어 있어 이들 접착분자들이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이 활동성 판정의 지표로 사용할 기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생굴 섭취로 인한 고병원성 Vibrio균 식중독 위해평가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High Risk Vibrio Foodborne Illness Through Raw Oyster Consumption)

  • 하지명;이지연;오혜민;신일식;김영목;박권삼;윤요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7-44
    • /
    • 2020
  • 패류 중 소비량이 높은 굴에서의 고병원성 Vibrio균(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남해권역, 서해권역, 수도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굴 88개를 채취하여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생굴에서의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생장 경향을 관찰하였다. 2017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굴의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생굴 섭취로 인한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RISK를 통해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88개의 생굴에서 V. vulnificus와 V. cholerae는 검출되지 않아 Beta distribution과 자연로그를 이용한 식을 통해 초기오염수준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두 세균 모두 -3.6 Log CFU/g으로 생굴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생굴에 bioaccumulation된 V. vulnificus와 V. cholerae는 생장하지 않고 초기 접종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굴을 섭취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7,167명 중 25명이었으며, 따라서 섭취자 비율은 0.35%로 나타났다. 섭취량에 대한 최적확률분포는 exponential distribution으로 나타났으며 생굴의 평균 섭취량은 66.8 g으로 확인되었다.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model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해평가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초기오염수준으로 오염된 생굴을 바로 섭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발생 가능성은 V. vulnificus의 경우 평균 9.08×10-15, V. cholerae는 8.16×10-13이며, 섭취자 비율이 식중독 발생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양단원 개념도 활용 수업이 과학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p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in Ocean Units of Earth Science)

  • 한정화;김광휘;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61-473
    • /
    • 2002
  • 본 연구는 지구과학 ‘해양’ 단원에서 제시된 5가지 주제에 대하여 개념도를 작성한 후 이를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을 실험집단인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과학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보다 학습능력이 중 ${\cdot}$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념도에서 위계가 분명한 학습내용일수록 개념도 활용 수업이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범주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과학수업의 즐거움’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 수업의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개념도 작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심리적인 부담을 반영해주었다. 셋째, 개념도 활용 수업 집단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념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별로 살펴보면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의 이해 증진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학생이 작성한 개념도를 통해 수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기 때문 평가도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파지력면에서 개념도는 배운 내용을 확인하고, 기억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활동성면과 흥미면에서는 다른 영역점수 보다 낮게 나타났다.가 1.2 mM, 1.8 mM인 경우 배양 14일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2.5 mM인 경우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4. II-1 ${\beta}$의 활성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0.2 mM, 1.0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8 mM에서, 혼합 처리시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한 경우 높게 나타났고, 고농도의 카페인, 칼슘 혼합 처리 시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칼슘이 1.2 mM, 1.8 mM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카페인에 의한 골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과 IL-1 ${\beta}$의 활성 억제 효과가 어느 정도 회복되나, 2.5 mM 고농도의 칼슘은 억제된 활성을 회복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산화 저비중 리포 단백이 호산구와 호중구에 대한 화학주성 (Oxidized LDL is a Chemoattractant for the Eosinophils and Neutrophils)

  • 황영실;이종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11-223
    • /
    • 2001
  • 연구배경 : 기관지에 리노 바이러스(rhinovirus) 감염은 기관지혈관 내피세포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저비중리포단백(LDL) 같은 혈장단백의 유입을 초래한다. 그런데 산화 저비중리포단백(oxidized LDL)은 단핵세포 대식식세포에서 IL-1, GM-CSF 분비를 유발하고 화학주성과 또한 CD11b/CD18 intergrin을 증가시키며 L-selectin 표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소견들은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proimflammatory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리노바이러스 감염시 기도에 과립구를 동원할것이라는 가설하에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에 의한 호중구와 호산구의 화학주성과 내피세포이동(transendothelial migr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저비중리포단백을 20-24시간 동안 5mM $CU_2SO_4$로 산화 시키고 conjugated diens 형성 방법으로 234nm에서 산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과립세포들의 화학주성측정은 $3-5{\times}10_5$ 세포들을 transwell 필터에 놓고 $37^{\circ}C$, 5% $CO_2$ 1시간 항온배양후 이동한 세포들을 혈구계로 계산하였다. 과립세포들의 내피세포이동은 인체 미세폐혈관 내피세포(human pulmonary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들을 transwell 필터에 배양후 호산구와 호중구를 화학주성물질과 함께 놓은 후 3시간 항온 배양후 이동한 세포들을 혈구계로 계산하였다. 결 과 :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은 호산구와 호중구에 화학주성이있고 화학주성정도는 저비중리포단백의 농도와 산화 정도에 비례하였다. 또한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은 과립구의 인체 미세폐혈관 내피세포이동을 농도에 비례히여 자극하였고 호중구가 호산구보다 낮은 농도의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에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결 론 : 리노바이러스 감염으로 혈관투과정 증가로 저비중리포단백의 유입과 산화를 유발하고 이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기관지 간질세포에 호중구와 호산구이동을 유발하는 한 기전이며 또한 이과립구들이 산화 저비중단백과 함께 기도 염증을 초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솔잎추출물의 피부건강 개선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Extract of Pinus densiflora Needles on Skin Health)

  • 최지은;김웅;박재영;정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8-217
    • /
    • 2016
  • 솔잎은 동의보감과 향약생약대사전에 간, 위, 심, 피부 등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솔잎을 노화방지와 피부질환 치료에 활용하여 왔다. Malassezia furfur (M. furfur)는 친유성 곰팡이로 인간 피부에 존재하는 흔한 균이다. 이 균은 대게 피부의 각질층에서 주로 발견되며, 어우러기, 지루성 피부염, 비듬, 모낭염, 건성 등의 각종 피부질환의 주요요인이다. 본 연구는 사람의 대부분의 염증실험에서 사용되는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솔잎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솔잎을 에탄올, 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층으로 나누었다. 이 4층을 이용하여 노화의 원인이 되는 자유라디칼의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M.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헥산층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에 따른 미백활성은 4층 모두 대조군인 비타민C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실험을 위해 먼저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솔잎 분획물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 한 결과 Hexane층에서 농도별로 높은 독성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층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Malassezia furfur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층을 처리하여 염증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된 유전자는 IL-1β, TNF-α로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염증과 깊은 연관이 있는 IL-1β와 TNF-α의 발현량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솔잎은 천연자원으로써 피부 건강과 관련된 건강식품, 건강보조제, 화장품 등 폭 넓은 범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wareness and Impact of COPD in Korea: An Epidemiologic Insight Survey

  • Hwang, Yong-Il;Kwon, O-Jung;Kim, Young-Whan;Kim, Young-Sam;Park, Yong-Bum;Lee, Myung-Goo;Kim, Dong-Gyu;Jang, Seung-Hun;Jung, Ki-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00-407
    • /
    • 2011
  • Background: There were a few studies which were conducted to know about the behavior of th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patients.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haviour of COPD patients, such as awareness and impact of disease, the pathway of visiting doctors, and the treatment pattern and preference. Methods: A face-to-face interview of 300 subjects with COPD was conducted. Results: The most concerned symptom which made the respondents to visit the hospital was 'breathlessness' (78%). Only 58% of them knew the exact diagnosis. Seventy-three percent of them visited the hospital 'once a month' or 'once every 2 month'. They have made 12.8 prescheduled visits to the hospital in the past 1 year. Unscheduled visits and hospital stay figured to two in the past year. Only 11% of respondents felt they were currently in good health. 'Severe' and 'very severe' COPD patient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in a worse condition than 'mild' and 'moderate' COPD patients. When conditions worsened, 42% of patients were hospitalized. The most common prescription treatment was a fixed combin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s and long-acting ${\beta}2$ agonists (48%), followed by a long acting anticholinergics (38%). Conclusion: Over forty percent of the patients didn't know exactly about their condition. Most of them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ir current health status. Doctors need to know more about COPD patient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the disease, impact of the disease, interaction with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treatment related problems.

Zanamivir Oral Delivery: Enhanced Plasma and Lung Bioavailability in Rats

  • Shanmugam, Srinivasan;Im, Ho Taek;Sohn, Young Taek;Kim, Kyung Soo;Kim, Yong-Il;Yong, Chul Soon;Kim, Jong Oh;Choi, Han-Gon;Woo, Jong 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2호
    • /
    • pp.161-16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oral bioavailability (BA) of zanamivir (ZMR) by increasing its intestinal permeability using permeation enhancers (PE). Four different classes of PEs (Labrasol$^{(R)}$, sodium cholate, sodium caprate, hydroxypropyl ${\beta}$-cyclodextrin)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bility to enhance the permeation of ZMR across Caco-2 cell monolayers. The flux and $P_{app}$ of ZMR in the presence of sodium caprate (S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PEs in comparison to control, and was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All concentrations of SC (10-200 mM) demonstrated enhanced flux of ZMR in comparison to control. The highest flux (13 folds higher than control) was achieved for the formulation with highest SC concentration (200 mM). The relative BA of ZMR formulation containing SC (PO-SC) in plasma at a dose of 10 mg/kg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rats was 317.65% in comparison to control formulation (PO-C). Besides, the $AUC_{0-24\;h}$ of ZMR in the lung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PO-SC was $125.22{\pm}27.25$ ng hr $ml^{-1}$ with a $C_{max}$ of $156.00{\pm}24.00$ ng/ml reached at $0.50{\pm}0.00$ h. But, there was no ZMR detected in the lung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control formulation (PO-C).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ral formulation PO-SC containing ZMR and SC was able to enhance the BA of ZMR in plasma to an appropriate amount that would make ZMR available in lungs at a concentration higher (>10 ng/ml) than the $IC_{50}$ concentration of influenza virus (0.64-7.9 ng/ml) to exert its therapeutic effect.

Active Component of Fatsia japonica Enhances the Transduction Efficiency of Tat-SOD Fusion Protein both In Vitro and In Vivo

  • Lee, Sun-Hwa;Kim, So-Young;Kim, Dae-Won;Jang, Sang-Ho;Lim, Soon-Sung;Kwon, Hyung-Joo;Kang, Tae-Cheon;Won, Moo-Ho;Kang, Il-Jun;Lee, Kil-Soo;Park, Jin-Seu;Eum, Won-Sik;Choi, Soo-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613-1619
    • /
    • 2008
  • It has been reported that Tat-SOD can be directly transduced into mammalian cells and skin and acts as a potential therapeutic protein in various diseases. To isolate the compound that can enhance the transduction efficiency of Tat-SOD, we screened a number of natural products. 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4)-$\alpha$-L-arabinopyranosyll-hederagenin (OGAH) was identified as an active component of Fatsia japonica and is known as triterpenoid glycosides (hederagenin saponins). OGAH enhanced the transduction efficiencies of Tat-SOD into HeLa cells and mice skin. The enzymatic activities in the presence of OGAH were markedly increased in vitro and in vivo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s. Although the mechanism is not fully understood, we suggest that OGAH, the active component of Fatsia japonica, might change the conformation of the membrane structure and it may be useful as an ingredient in anti-aging cosmetics or as a stimulator of therapeutic protein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disorders related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queous Extracts of Liriope platyphylla Are Tightly-Regulated by Insulin Secretion from Pancreatic Islets and by Increased Glucose Uptake through Glucose Transporters Expressed in Liver Hepatocytes

  • Kim, Ji-Eun;Nam, So-Hee;Choi, Sun-Il;Hwang, In-Sik;Lee, Hye-Ryun;Jang, Min-Ju;Lee, Chung-Yeol;Soon, Hong-Ju;Lee, Hee-Seob;Kim, Hae-Sung;Kang, Byeong-Cheol;Hong, Jin-Tae;Hwang, Dae-Yo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3호
    • /
    • pp.348-356
    • /
    • 2011
  • Liriope platyphylla is a medical herb that has long been used in Korea and China to treat cough, sputum, neurodigenerative disorders, obesity and diabet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the antidiabetic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L. platyphylla (AEtLP) through pancreatic and extrapancreatic actions. AEtLP were orally administrated to ICR mice once a day for 7 days. Of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EtLP, only 10% AEtLP were low toxic to liver, based on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cal analyses. However, 10% AEtLP-treated mice displayed signifi cant redu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and increased insulin concentration; no changes were noted using 5% and 15% AEtLP. Also, the increase of glucose transporter (Glut)-1 expression in liver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AEtLP, and was regulated by the phosphorylation of Akt. The lowest expression of Glut-3 was observed in 15% AEtLP treated mice, followed by 10% AEtLP- and 5% AEtLP-treated mice. This pattern of Glut-3 expression was roughly in accord with the phosphorylation of c-Jun N-teminal kinase (JNK) in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athway. Furthermore, a signifi cant rise of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was detected in AEtLP-treated mice. The fi ndings suggest that AEtLP should be considered as a diabetes therapeutic candidate to induce insulin secretion from pancreatic ${\beta}$-cells and glucose uptake in liver cells.

Inhibition of c-FLIP by RNAi Enhances Sensitivity of the Human Osteogenic Sarcoma Cell Line U2OS to TRAILInduced Apoptosis

  • Zhang, Ya-Ping;Kong, Qing-Hong;Huang, Ying;Wang, Guan-Lin;Chang, Kwen-J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6호
    • /
    • pp.2251-2256
    • /
    • 2015
  • To study effects of cellular FLICE (FADD-like IL-$1{\beta}$-converting enzyme)-inhibitory protein (c-FLIP) inhibition by RNA interference (RNAi) on sensitivity of U2OS cells to tumor necrosis factor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induced apoptosis, plasmid pSUPER-c-FLIP-siRNA was constructed and then transfected into U2OS cells. A stable transfection cell clone U2OS/pSUPER-c-FLIP-siRNA was screened from the c-FLIP-siRNA transfected cells. RT-PCR and Western blotting were applied to measure the expression of c-FLIP at the levels of mRNA and prote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ression of c-FLIP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c-FLIP-siRNA in the cloned U2OS/pSUPER-c-FLIP-siRN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ells of U2OS/pSUPER. The cloned cell line of U2OS/pSUPER-c-FLIP-siRNA was further examined for TRAILinduced cell death and apoptosis in the presence of a pan-antagonist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AT406, with or without 4 hrs pretreatment with rocaglamide, an inhibitor of c-FLIP biosynthesis, for 24 hrs. Cell death effects and apoptosis were measured by the methods of MTT assay with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nd flow cytometry,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IL-induced cell death in U2OS/pSUPER-c-FLIP-siRNA was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cells U2OS/pSUPE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T406. Flow cytometry indicated that TRAIL-induced cell death effects proceeded through cell apoptosis pathway. However, in the presence of rocaglamide, cell death or apoptotic effects of TRAIL were similar and profound in both cell lines,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of action for both c-FLIP-siRNA and rocaglamide was identical. We conclude that the inhibition of c-FLIP by either c-FLIP-siRNA or rocaglamide can enhance the sensitivity of U2OS to TRAIL-induced apopotosis, suggesting that inhibition of c-FLIP is a good target for anti-cancer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