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 6

검색결과 13,975건 처리시간 0.052초

An Interleukin-6 Receptor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Opisthorchiasis-Linked Cholangiocarcinoma Risk in Thailand

  • Prayong, Pokpong;Mairiang, Eimorn;Pairojkul, Chawalit;Chamgramol, Yaovalux;Mairiang, Pisaln;Bhudisawasdi, Vajarabhongsa;Sripa, Bancho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443-5447
    • /
    • 2014
  • The cholangiocarcinoma (CCA) is a relatively rare cancer worldwide but it is highly prevalent in Thailand where the liver fluke, Opisthorchis viverrini is endemic. There are reports that interleukin 6 (IL-6)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opisthorchiasis associated CCA. Functionally, IL-6 can act on target cells through its receptor, IL-6R, and IL-6R polymorphisms may affect the functional activity of IL-6 leading to susceptibility to cholangiocarcinogenesis. Therefore, we assessed the association of the 48892 A/C (Asp358Ala) polymorphism in exon 9 of the IL-6R gene in 79 CCA cases compared to 80 healthy controls using the PCR-RFLP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CA cases and controls in overall genotype (p=0.001) and allele frequencies (p=0.0002). Chi-square for trend test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enotype and CCA susceptibility (p=0.0002). The odds ratios (ORs) for genotype were 0.283 (95% CI=0.131-0.605, AC vs. AA; p=0.0003) and 0.206 (95% CI=0.196-1.245, CC vs. AA; p=0.0416), the OR for alleles was 0.347 (95% CI=0.187-0.633, allele C vs. allele A; p=0.0002) and that for the carrier C variant was 0.272 (95% CI=0.130-0.564; p=0.0001). This study demonstrated a close association between an IL-6R polymorphism, specifically higher A allele, and cholangiocarcinoma.

유청단백질 Glycomacropeptide에서 분리한 NANA의 안전성 및 염증저하 메카니즘 구명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ts Mechanisms of NANA (N-Acylneuraminic Acid) Isolated from Glycomacropeptide)

  • 김민호;김재홍;이윤경;김완식;김희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7-23
    • /
    • 2011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ytokine expression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nd interleukin-6 (IL-6), and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G-NANA (N-acylneuraminic acid isolates from glycomacropeptide) or S-NANA (Synthetic N-acylneuraminic acid) on LPS stimuli from RAW264.7 cell. The NANA is the predominant sialic acid found in mammalian cells and G-NANA is isolation of GMP (GMP is a valuable bioactive peptide with a varying degree of glycosylation including sialic acid). The lipopolysaccharide (LPS) of Gram-negative bacteria induces the expression of cytokines and potent inducers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and IL-6. In this experiment, upon stimulation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hitosan, the LPS-stimulated TNF-${\alpha}$ and IL-6 secretion was significantly recovered with in the incubation media of RAW264.7 cells. Consistently, RT-PCR with mRNA and immunoblot analysis with anti-cytokine antiserum including TNF-${\alpha}$ and IL-6 showed that the amount of TNF-${\alpha}$ and IL-6 secretion in the incubation media recover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The LPS-stimulated NO secretion was significantly recovered with in the 6 and 12 h incubation media of RAW264.7 cells, too. The recovery effect of G-NANA on IL-6 and NO secretion may be induced via the stimulus of TNF-${\alpha}$ in RAW264.7 cell. These results once again suggest that G-NANA may hav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via the stimulus of TNF-${\alpha}$ in the LPS-stimulat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 PDF

Effect of Bifidobacterium Cell Fractions on IL-6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Lee, Byung-Hee;Ji, Geun-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40-744
    • /
    • 2005
  • Bifidobacterium has been previously shown to potentiate immune function, which was mediated through the stim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by macroph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urther characterize the effective component of Bifidobacterium by measuring the level of interleukin (IL)-6 cytokine using the RAW 264.7 murine cell line as a macrophage model.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for 24 h in the presence of whole cells (WCs), cell walls (CWs), and cell-free extracts (CFEs) from various strains of Bifidobacterium and other lactic acid bacteria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most effective compon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ains and the concentrations used. When tested with each cell fraction from Bifidobacterium sp. BGN4, heat treatment of the cell fractions lowered the production of IL-6. Synergistic effect was obtained, especially when CWs and CFEs were combined. Sonicated WCs stimulated IL-6 production more than intact WCs. The in vitro approaches employed here should be useful in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Bifidobacterium on gastrointestinal and systemic immunity.

마타리 뿌리로부터 분리한 Lignan 화합물의 IL-6 저해활성 (Ligna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atrinia scabiosaefolia F. and their IL(Interleukin)-6 Inhibitory Activity)

  • 최은진;김청룡;신지은;김현규;김정진;우은란
    • 약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01-205
    • /
    • 2009
  • In an ongoing investigation into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the $CH_2Cl_2$ soluble fraction of Patrinia scabiosaefolia F. (Valerianaceae) was found to inhibit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line. By means of a bioassay-directed chromatographic separation technique, lappaol E (1), and nortrachelogenin (2) were isolated. Thes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Compounds $1{\sim}2$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using NBT superoxide scavenging assay. Moreover, compound 1 decreased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line.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이 태음인(太陰人) 뇌경색증(腦硬塞症) 환자(患者)의 세포활성물질생성조절(細胞活性物質生成調節)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Regulatory Effect of Cytokine Produc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by Yuldahansotang)

  • 최의권;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1-215
    • /
    • 2000
  • 1. 연구배경 및 목적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은 태음인(太陰人)의 뇌경색증 급성기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처방 중 하나이다. 그래서 저자는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투여에 따른 뇌경색증 환자의 면역계 특히 세포활성문질만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기로 하였다. 2. 방법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사상의학과에 입원한 뇌경색증 한자 8인(남자 3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원 당시와 2-4주간의 열다한소탕 투여 후의 세포활설물질망계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또한 정상태음인의 말초혈액단핵구를 채취하여 리포다당체 처리시의 변화를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전처리 유무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3. 결과 IL-2 혈장 농도는 정상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더 낮았다. $IFN-{\gamma}$의 경우 역시 정상 대조군보다 약간 낮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IL-4, IL-6, IgE의 혈장중 수준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현저히 상승되어 있었다. 그러나, 2-4주간의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투여후 $IFN-{\gamma}$, IL-2의 혈장 중 수준은 현저히 상승되었고, IL-4, IL-6, Ig E 수준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한편 정상 태음인의 말초혈액단핵구에 리포다당체 처리를 한 후 $IFN-{\gamma}$, IL-2, IL-6가 상승되었으나,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전처리를 한 경우에서는 이들 물질의 생성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 PDF

상엽 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IL-1α, IL-6, IL-10에 대한 항염활성 연구 (Anti-inflammatory activity Effects of Mori Folium Water Extracton IL-1α, IL-6 and IL-10 on mouse macrophages)

  • 박영식;한효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613-620
    • /
    • 2018
  • 상엽 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상엽을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시료를 대상으로 RAW 264.7 macrophage cells를 24시간 배양하여 세포생존율과 LPS로 유발된 RAW 264.7 macrophage cells의 일산화질소(NO) 생성증가, $IL-1{\alpha}$, IL-6 그리고 IL-10 등의 사이토카인 생성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상엽 추출물의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상엽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생존율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NO)의 생성증가를 $25{\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또한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에 염증과 연관된 사이토카인인 $IL-1{\alpha}$, IL-6의 생성증가를 $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는 등 항염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엽이 건강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대식세포를 항염증과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를 확인하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COMBINANT $INTERLEUKIN-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NTERLEUKIN-6의 골흡수 유도 효과에 관한 연구 (ACTIONS OF RECOMBINANT $INTERLEUKIN-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ON BONE RESORPTION IN VITRO)

  • 이용무;최상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55-164
    • /
    • 1994
  • 치조골흡수는 만성치주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골흡수에 작용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도, 특히 최근에 들어서 몇몇 cytokine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interleukin-1(IL-1), tumor necrosis factor(TNF) 및 interleukin-6(IL-6) 등이 치주질환의 진행과정에서 중요한 치조골흡수요인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쥐의 골조직 배양실험을 통해서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1{\beta}$ ($rHuIL-1{\beta}$), recombinant human tumor necrosis $factor-{\alpha}$($rHuTNF-{\alpha}$) 및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6(rHuIL-6) 의 골흡수 유도효과를 알아보고, cyclooxygenase 억제제인 indomethacin과 recombinant murine $interferon-{\gamma}$($rMurIFN-{\gamma}$)가 이들 cytokine의 골흡수 유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이들 cytokine의 작용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생후 1-2일된 쥐에게 $1{\mu}Ci^{45}CaCl_2$를 피하주사하고 4일 후에 쥐를 희생시켜 $^{45}Ca$ 로 표지된 두개골을 얻어 24시간 전배양 후, 각 cytokine ($rHuIL-1{\beta}$, $rHuTNF-{\alpha}$ 및 rHuIL-6)과 cytokine 및 첨가약제 (indomethacin 및 $rMurIFN-{\gamma}$)가 함유된 배지로 교환하여 48시간 배양한다. 골흡수 유도효과는 두개골에서 48시간의 배양 중 유리되는 $^{45}Ca$의 방사능 정도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HuIL-1{\beta}$ ($10^{-12}-10^{-9}M$) 및 $rHuTNF-{\alpha}$ ($10^{-10}-10^{-8}M$)는 농도변화에 따르는 골흡수 유도효과를 보였으나 , rHuIL-6 ($10^{-10}-10^{-8}M$)는 유의할 만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2. Indomethacin ($10^{-6}M$)은 $rHuIL-1{\beta}$$rHuTNF-{\alpha}$의 골흡수 유도작용에 유의할 만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3. $rMurIFN-{\gamma}$ (1000 U/ml) 은 $rHuIL-1{\beta}$$rHuTNF-{\alpha}$의 골흡수 유도작용에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연구를 통해 치주질환 환자의 치주조직에서 검출되는 $IL-1{\beta}$$TNF-{\alpha}$가 치조골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티타니움 표면의 알칼리-열처리가 골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kali- and Heat-Treated Titanium Surfaces on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 강충희;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93-3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알카리 열처리 티타늄 임플란트상에서 백서 태자 두개관 세포의 생물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알카리 열처리 티타니움 표면에서 Ti-6Al-4V 합금 표면에서보다 세포증식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1). 면역효소 분석에서 interleukin $(IL)-1{\beta}$와 IL-6의 합성은 배양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Herbimycin으로 전처치한 경우에는 세포 배양 7일 째에 IL-6의 합성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p<0.01). 알카리인산 분해 효소 활성은 알카리 열처리 임플란트에서 타이타늄, Ti-6Al-4V 합금 표면에서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p<0.001). 유전자 분석에서 알카리 열처리 임플란트에서 배양된 세포들의 alkaline phosphatase, bone sialoprotein, receptor activated nuclear factor ligand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Herbimycin과 SB203580으로 전처치시 $IL-1{\beta}-induced$ IL-6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알카리 열처리된 티타늄 임플란트가 조골세포의 분화를 자극하고 골개조를 촉진시킴을 시사한다.

RFLP와 DHPLC를 이용한 베체트병 환자에서 Interleukin-6 유전자 다형성의 분석 (Analysis of Interleukin-6 Gene Polymorphisms in Behcet’s Disease Using RFLP and DHPLC)

  • 장원철;박상범;남윤형;이재식;강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128
    • /
    • 2006
  • 혈관염이 특징적인 질환으로 구강궤양, 음부궤양, 안구염증과 관절, 피부, 중추신경계, 위장관 등 여러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베체트병의 발병원인이나 기전에 대해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사람에서 감염 등 환경적인 요인이 면역 반응에 이상을 일으켜 질병의 여러 증상이 발현된다. 주조직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와 non-MHC gene등 다양한 유전자들이 베체트병의 병인으로 관여한다. 이 연구에서는 IL-6의 유전적 다형성이 한국인 베체트병의 감수성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다형성은 VNTR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DHPLC (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베체트 환자와 대조군에서 IL-6prom의 유전적 다형성은 관련성이 없었지만 IL-6vntr에서는 유전형과 대립형질의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IL-6vntr*C 대립유전자가 한국인 베체트병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앞으로 여러 집단과 다른 유전자의 연구가 필요하다.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 oral lichen planus, oral leukoplakia, and oral submucous fibrosis

  • Kaur, Jasdeep;Jacobs, Reinhild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4호
    • /
    • pp.171-175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alivary and serum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 (IL)-8,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n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oral leukoplakia, oral submucous fibrosis, and healthy control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selected included 54 oral lichen planus (41 to 65 years), 50 oral leukoplakia (42 to 65 years), 51 oral submucous fibrosis (41 to 65 years), and 50 healthy controls (42 to 65 years). Oral lichen planus, oral leukoplakia, and oral submucous fibrosis cases were diagnosed us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Salivary and serum cytok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assay kits in all subjects. Results: The levels of serum and salivary $TNF-{\alpha}$, IL-6, and IL-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oral leukoplakia, submucous fibrosis, and lichen planus in contrast to normal healthy subjects (P<0.05). Serum and salivary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trong an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TNF-{\alpha}$, IL-6, and IL-8 in all groups (r=0.72-0.82, P<0.05). Conclusion: Salivary and serum cytokines were also elevated when analyzed in oral precancerous lesions. Thus, salivary and serum IL-8, IL-6, and TNF-${\alpha}$ levels might act as diagnostic markers for detection of oral pre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