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paradigm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19초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Innovativ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Junbok Lee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43-350
    • /
    • 2023
  • With the advent of the rec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fforts are vigorously underway to comprehend the new paradigm of Construction 4.0,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Industry 4.0, and to establish novel production system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a pivotal component for Construction 4.0, are being emphasized.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oncept of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encompassing its past,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Particularly, it reviews the six relevant papers featured in the June 2022 special issue of IJHRB, along with discussions on the integration of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and R&D in the realm of automation and robotics. With the progression of ICT technology, the domain of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is anticipated to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realization of Construction 4.0 and smart construction through more dynamic convergence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스마트그리드 하에서 가상발전소의 전력시장 참여를 위한 제도적 선결요건에 관한 제언 (A Proposal of Institutional Prerequisites to the Participation of Virtual Power Plant in Electricity Market under the Smart Grid Paradigm)

  • 정구형;박만근;허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3호
    • /
    • pp.375-383
    • /
    • 2015
  • The virtual power plant (VPP) is a new technology to achieve flexibility as well as controllability, like traditional centralized power plants, by integrating and operating different types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wit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ough small-sized DERs may not be controlled in a centralized manner, these are more likely to be utilized as power plants for centralized dispatch and participate in the energy trade given that these are integrated into a unified generation profile and certain technical properties such as dispatch schedules, ramp rates, voltage control, and reserves are explicitly implemented. Unfortunately, the VPP has been in a conceptual stage thus far and its common defini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Such a lack of obvious guidelines for VPP may lead to a further challenge of coming up with the business model and reinforcing the investment and technical support for VPP. In this context, this paper would aim to identify the definition of VPP as a critical factor in smart grid and, at the same time, discuss the details required for VPP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electricity market under the smart grid paradigm.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에듀테크 (Edutech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박지수;길준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11호
    • /
    • pp.329-331
    • /
    • 2020
  •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된 단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 ICT에서의 교육은 온라인 강의로 이러닝(e-Learning)이 사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유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닝과 함께 에듀테크가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배지서비스 플랫폼, 시뮬레이션 기반 협동형 이러닝 시스템, 동영상 영어사전,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제어 감사시스템에 대한 심사 완료된 논문들을 분석한다.

ICT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 개방형 혁신을 중심으로 (Innovation Capabilities of ICT SMEs in the Open Innovation)

  • 노태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9-183
    • /
    • 2017
  • 글로벌 경영 환경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제품수명주기가 급속히 단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업은 다양한 혁신의 방법으로 경쟁 우위적 기술 혁신을 추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부의 연구 개발의 한계를 벗어나 개방형 혁신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전제로 IC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의 진행 과정과 성과를 분석하고,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활동 과정과 추진 내용, 그리고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방형 기술 혁신의 추진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방형 혁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ICT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혁신 생태계를 제품/서비스 혁신, 조직혁신, 마케팅 혁신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ICT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과 혁신 성과의 관계에 대한 현황적 조사 분석을 제시하였다. 선행적 연구 이론 정리를 위하여, 기업의 혁신 역량, 개방형 혁신 이론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국내외 개방형 혁신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ICT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자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ICT SMEs' R&D Resources on Corporate Performance)

  • 원종윤;이건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1-23
    • /
    • 2021
  •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각국의 경제정책 패러다임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그중 중소기업 육성은 많은 선진국의 핵심적인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중소기업의 성장은 고용 없는 성장시대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특히, 중소기업의 성장은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성장은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이 주목받는 가운데, ICT 중소기업의 성장은 국가 미래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CT 중소기업의 성과에 연구개발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검증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조사한 ICT 중소기업 실태조사의 응답을 바탕으로 실증한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자원기반이론에 입각한 ICT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연구개발 인력, 정부지원정책은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경쟁우위인 4차 산업활용, 제품의 수준은 기업의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인수합병 및 기술확보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CT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기업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정책과 내부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및 투자가 주요 요인이며,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기술확보전략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형 엣지 머신러닝 기술 동향 (Trend of Edge Machine Learning as-a-Service)

  • 나중찬;전승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5호
    • /
    • pp.44-53
    • /
    • 2022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growing exponentially, with the number of IoT devices multiplying annually. Accordingly, the paradigm is changing from cloud computing to edge computing and even tiny edge computing because of the low latency and cost reduction. Machine learning is also shifting its role from the cloud to edge or tiny edg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However, the fragmented and resource-constrained features of IoT devices have limite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Edge MLaaS (Machine Learning as-a-Service) has been studied to easily and quickly adopt machine learning to products and overcome the device limitations. This paper briefly summarizes what Edge MLaaS is and what element of research it requires.

IPv6 Networking with Subnet ID Deprecated

  • Kim, Young Hee;Kim, Dae Young;Park, Jong Won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1권2호
    • /
    • pp.49-57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new IPv6 networking paradigm as a counter answer to the rationale for locator/identifier separation. Instead of involving separate number spaces each for node identifiers and locators, the context of the IP address as a node identifier alone is utilized and no additional locators are incorporated. That is, there are only node addresses and no locators, and location information is indirectly derived from neighbor relations between nod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no subnet IDs are utilized; the ID value is set to zero for all subnets. The paper details how to construct this paradigm through novel choice of operational policies in various IPv6 protocols and some trivial modifications. Especially, inherent provision of intra-domain node- as well as subnet-mobility by use of standard link-state intra-domain routing protocols is discussed. A number of important advantages of this paradigm over the canonical IPv6 networking and various known solutions of locator/identifier separation are discussed. Tailoring for multi-area domains and IPv4 is left for further study.

A Study on the Analysi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Operations Using ICT-Based Equipment

  • Gokmi,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215-221
    • /
    • 2020
  • The paradigm of agriculture is also changing to address the problem of food shortag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world population, climate conditions that are increasingly subtropical, and labor shortages in rural areas due to aging popu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ur daily lives are changing rapidly and heralds a major change in agricultural management.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introduction of high-tech into traditional Agriculture of the past is absolutely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griculture, the first generation produced by hand, the second generation applied mechanization, and the third generation introduced automation. The fourth generation is the current ICT operation and the fifth generation is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aper investigated Smart Farm that increases productivity through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ICT, such as smart greenhouse, smart orchard and smart Livestock. With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od production methods in full swing to meet growing food demand, Smart Farming is emerging as the solution. In overseas cases, the Netherlands Smart Farm, the world's second-largest exporter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surveyed. Agricultural automation using Smart Farms allows producers to 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in an accurate and predictable manner. It is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Agriculture, which benchmarked cases of excellence abroad. Because IC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 predicting the future, we want to address the status of theory and actual Agriculture and propose future development measures. We hope that the study of the paper will solve the growing food problem of the world population and help the high productivity of Agriculture and smart strategies of sustainable Agriculture.

스마트 관광 생태계의 이론화와 활용 (Theoriza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Tourism Ecosystems)

  • 구철모;김정현;정남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69-87
    • /
    • 2014
  • 관광과 정보통신기술(Touris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결합은 관광산업 전체에 있어서도 ICT의 획기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e-관광(eTourism), 가상 관광(Virtual Tourism), 스마트 관광(Smart Tourism) 등의 다양한 용어들이 지난 10여 년간 등장하였지만,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한 관광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관광산업과 학계를 통틀어 충분히 논의된바 없다. 관광에서 ICT의 역할에 대한 기존문헌을 살펴보면 사용자 관점에서 관광객의 행동, 커뮤니티, 멀티미디어와 웹, 지능형 시스템, 스마트 관광의 5가지 주요흐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관광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관광 생태계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마트 관광 생태계(Smart Tourism Ecosystems)는 관광객, 유통채널, 공급채널, 정보, 지자체 등의 이해관계자들이 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유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이라는 관점에서 스마트 관광 생태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시사점 (Living Lab as Transition Arena: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 성지은;박인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8
    • /
    • 2016
  • 현재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은 기존의 성장 및 기술공급 위주의 발전전략이 한계를 노정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혁신 경로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ICT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물론 지속가능한 에너지, 농업 농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혁신모델이자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의 니치 실험으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ICT가 에너지 전환, 농업 농촌 시스템 전환, ICT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럽의 SusLab 프로젝트, C@R 프로그램, 대만의 리빙랩 사례 모두 사전기획 단계부터 지역 사용자의 배경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사용자 주도의 혁신활동을 개발프로세스 전반에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전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리빙랩 도입을 검토하는 현 상황에 맞춰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국가 또는 지역 전반의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 실험, 정책 간 연계통합의 수단,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혁신정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용자 및 수요 측면을 반영한 정책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