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factor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대전시 ICT산업 일자리 창출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외클러스터 일자리 창출 요인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 (A Study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b Creation Strategy by ICT-based Industry - Factors for creating jobs in overseas clusters by organizational ecology approach -)

  • 홍은영;양승호;성을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3호
    • /
    • pp.53-82
    • /
    • 2020
  • 대전광역시는 4차산업에 필요한 최고의 혁신역량 인프라(ICT)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생태계를 저해하는 요인들이 산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창출 요인을 조직생태학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즉, 해외 ICT기반의 클러스터(또는 도시)를 통한 일자리창출 사례를 살펴보고, 조직생태학의 '적소', '변이', '선택', '보존'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전광역시를 둘러싼 환경과, 기존 해외 클러스터사례의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ICT기반 일자리창출의 '적소'를 발견하고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변이'과정에 필요한 전략과 생태계에서 '선택' 및 '보존'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4차산업혁명도시, 혁신도시 지정, SW의 우수한 역량확보 등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명실상부한 '혁신 허브'로서의 특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조직생태학적 접근의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또한,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혁신 허브'의 특별시로 명백히 자리매김하려면 실질적이며 생태계의 지속성을 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형 뉴딜정책', '대전 스타트업파크' 사업 등에 시도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ICT기반 일자리 창출 연구의 희소성, 일자리 창출에 있어 지역의 중요성 인식, 지속가능한 클러스터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제시 등 독창성 있는 연구로 그 동안 부족했던 선행연구에 이론적 기여가 있기를 기대한다.

ICT와 미래창조경제의 나아갈 방향 (Expected Role of ICT for Creative Economy)

  • 김국진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7-31
    • /
    • 2013
  • 글로벌 경제의 성장 패러다임이 창조경제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나아가 바람직한 미래의 창조경제를 위해서, 그리고 ICT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창조경제는 경제성장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경제 체제에서 ICT 부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인플레이션 없는 지속적 성장 또는 주어진 인플레이션 하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미국에서와 달리 국내에서는 신경제 현상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신경제보다는 요소투입에 의존하는 성장 패턴을 보였기 때문이다. ICT는 신경제(디지털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긴 하나 그 자체로 생산성 및 성장을 전부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평가된다. 관건은 어떻게 정보통신 및 기술발전을 타 산업에 확산시키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ICT는 그 자체가 창조산업이거나 창조경제가 아니라 enabler로서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창조경제는 신경제론의 연장선에 볼 수도 있다. 자본과 노동력 요소 투자 이외에 문화적 자산과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을 투여하여 가치를 생산해 내는 경제를 의미한다. 그러나 투입요소의 변화에 국한되면, 진정한 의미의 창조경제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한 의미에서 창조경제는 정권 5년 정책이슈가 아니라 미래지향적이어야 하며 단순히 투입요소에 창의력이 추가되는 차원을 넘어 through-put이라고 할 시스템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ICT의 역할이 있다.

케냐의 전자정부 프로젝트 핵심 성공 및 실패 요인 (Critical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e-Government Project Implementation in Kenya)

  • ;황기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9-128
    • /
    • 2016
  • Use of ICT in Government has ability to improve service delivery to its citizens, and yet many developing countries have lagged behind in the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Many e-Government initiatives also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identify critical failure or success factors in Kenya, using Heeks' Factor Model.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officials and interested citizens. The analysis results enabled to highlight seven specific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nd their constituent elements in Kenya. The Kenyan overall e-Government implementation score belongs to the Zone of Improvement (3.52 of total 5.0), which means partial success or failure. The enablers of e-Government projects are good strategy formul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drive, whereas main failures of e-Government are weak ICT infrastructure. The areas for improvement are project management, design, competencies and funding. Data analysis highlights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each factor or variable. In particular, Kenyan government excels at the drive for change by top to bottom government officers as well as external stakeholders, while the government officers who are using e-Government are satisfied with the availability of vision, strategy and plan of e-Government implementation. Both technologies and e-transactions laws were the worst of all the variables in e-Government implementation. Two areas should be improved using immediate corrective action. In-depth study reveals that government officers and citizens can't fully use their laptop and mobile devices due to the lack of both ICT network and its operating technology, and legal system associated with the transaction of business information. Finally, the study ends up with recommendations for policy makers to shape the future of e-Government system in both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Mediation Effects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mplem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Role of Knowledge Absorptive Capacity and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 Yang, Kyung-Hoon;Koo, Chul-Mo;Koh, Chang-E.;Lee, Dae-Y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6
    • /
    • 2008
  •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knowledge absorptive capacity (KAC) and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KMC),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mplem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the past, studies investigated KAC and KMC separately. While studies of KAC focus on the flow of information, those of KMC focus on knowledge creation triggered by innovative information. However, KAC and KMC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as such we investigated them together in this research. We surveyed 126 companies and analyzed hypotheses with LISREL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d empirical support for the Nonaka's contention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e also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on effect between ICT implem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Not only is there a direct effect of ICT implementation on firm performance, but there is an indirect effect through KAC and KMC. KAC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KMC and firm performance. However, it has been discovered that while KMC has mediation effect, it is not significant as an independent factor for firm performance.

  • PDF

국가품질상 모델을 적용한 ICT산업의 인과 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ational Model of ICT Using The National Quality Award Model)

  • 신동근;황찬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7-10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asuring instruments for evaluation criteria for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MBNQA), suitable for ICT Industries, and to analyz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ose criteria through aforementioned instruments. MBNQA is formed with seven categories: 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Focus on patients, other customers and markets,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Human resource focus, Process management and Results. As excluding the Human Resource Focus categor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six categories.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calculated Cronbach's alpha and reliability index, thus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execu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Average Variance Extracted(AVE) is used to verify the discriminant validity. Lastly, the hypothesis testing was made complete through significance test on the path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both leadership and social responsibility have direct cause-effect relationship with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Human resource focus, Process management and also that this relationship has direct impact on Human resource focus,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as well, consequently exerting influence on the result through Process management, Finance and Market data.

ICT 기업의 영업조직에서 지식경영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Sales Organization of ICT Companies)

  • 유옥현;윤선중;서종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8-40
    • /
    • 2024
  • Maintaining the permanence of a company in the current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s not an easy task. Rather, the lifespan of a company can be said to be gradually decreasing. As such, the author of this paper, which describes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is the sales organization of a large company. While leading the company, I thought about how to overcome the rapidly changing market and create an organization that continues to grow. As a result, I succeeded in creating an organization that continued to grow over the past two years, and the main activity of this result was the use of sales computer. It was clear that it was an information sharing activity. This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proving that a series of activities to create and share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the sales organization of ICT companies to a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sales field of ICT companies, which has not been covered so far. Knowledge management is a four-stage activity from a process perspective, divided into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torage,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utilization.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tora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torage,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utilization were all found to have an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the end, this study confirmed that efforts to turn tacit knowledge into knowledge in order to respond to the ever-changing ICT market are ultimately an important factor in growing a company.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융합 전략방안 (A Study of Smart Convergence Strategies for Enhancing a Creative Economy: Lessons from Korea)

  • 김용범;곽정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7-79
    • /
    • 2014
  • 최근 한국에서는 기존의 경제구조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성장 동인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도입이 핵심정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3년 6월에는 창조경제의 제도적 실행을 위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창조경제의 개념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과 산업이 융합되면서, 과거 산업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 개념의 산업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요소로 ICT 기술과 다양한 산업이 융합되는 스마트융합(smart convergence)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 융합'의 정의를 기초로 미래 스마트 융합시대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 및 사회문화의 변화를 예측하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심층면접, 솔로우모형(Solow Model)을 활용한 계량분석을 수행하였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수요 및 공급기반을 고려한 스마트융합, 선택적 집중을 통한 스마트융합, 스마트워크 등 법제도적인 사전정비의 중요성을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이론 정립 위주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정책적 실행가능성을 고려한 정량적 연구라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한국의 선행경험은 새로운 성장동인 및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창조경제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하는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교훈(lessons)이 될 수 있다.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actitioners on Innovative Behavior via Job Satisfaction : A Comparison between Manufacturing and ICT Industries )

  • 최민석;황찬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91-110
    • /
    • 2024
  •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CT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의 취업 및 업무 수행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Technology Licenses in ICT sectors and Job-Finding & Performance of Works)

  • 유재영;최성진;이영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07-915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통신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의 근무 분야와 자격증 취득이 취업과 업무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정보통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58.7%에 그치고 나머지는 관련없는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분야는 방송통신 제조업, 통신 서비스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그리고 미디어 서비스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보유한 자격증의 유형에 따라 자격증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대신 자격증 소지자의 근무 사업체별로 자격증의 가치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미디어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응답자들이 국가기술 자격증이 취업에 유리하고 업무 활용이 높다고 인식했다.

u-스쿨 디자인을 위한 학교시설 사용 요구에 관한 연구 - 중.고교 학생 및 교사의 교수-학습공간 사용 요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s of Space Use for u-School Design - Through the survey research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need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space -)

  • 박정은;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14-223
    • /
    • 2010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called ubiquitous computing, changes our environment in many ways. It also acts on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ncert with new pedagogy. Korean Government gives an efforts to set up the u-School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ed by ICT. This study aims to find efficient uses of ICT to cope with the 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emerging needs of users. The survey research follows the pilot study on the model of future school.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six schools located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752 individual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including frequencies, crosstabs,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Highly demanded were the u-School facilities to provide pleasant environment as the teachers and students have to spend most of time in classroom, or school premises. In addition, the infrastructures were so desperately required that students are able to control their textbooks and belongings, and efficiently utilize a variety of data. (2) The classroom volume should be planned a bit small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students so that teachers are relieved from the burden of too many student. The needs of students to interact with more students can be bolstered by utilization of ICT. (3) The respondents feel the high needs of computer for student, electronic blackboard, electronic lecture desk, microphone and computer for teacher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facilities. This showed high nee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acilities enabling the active and individual learning through the use of ICT at education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e fundamental data to combine u-School elements proper to the current learning and school environment, from the analysis on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with the subjects, the users of educa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