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convergence technology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41초

ICT Agriculture Support System for Chili Pepper Harvesting

  • Byun, Younghwan;Oh, Sechang;Choi, 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629-638
    • /
    • 2020
  • In this paper, an unmanned automation system for harvesting chili peppers through image recognition in the color space is proposed. We developed a cutting-edge technology in terms of convergence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agriculture. Agriculture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entails hard work by the laborer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utonomous application that can obtain the head coordinates of a chili pepper using image recognition based on the OpenCV library.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labor shortages in rural areas, a robot-based chili pepper harvester is proposed as a convergence technology between ICT and agriculture requiring hard labor. Although agriculture is currently a very important industry for human workers, in the future, we expect robots to have the capability of harvesting chili peppers autonomously.

ICT 산업의 여성인력 고용확대 방안 (A Study on the Plan of Creating Jobs for Women in the ICT Industry)

  • 우성희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9-24
    • /
    • 2014
  • 최근 정부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 운용,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또한 과학기술과 ICT, 문화, 인문학 등이 융합하여 산업간 경계부분에서 창조경제의 성과를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 선진국의 창조경제 벤치마킹에서 증명되고 있다. 특히, 여성 과학기술인이 창조형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성 과학기술인이 낮은 수준이고 전문적인 여성과학기술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및 육성정책도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제 활동 중이던 여성들은 육아와 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복귀에서 겪는 어려움 때문에 30대 초 중반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적다. 창조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이끌어갈 여성 과학기술인의 창조적 교육과 육성,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창조경제 시대의 ICT 산업정책과 여성의 역할과 경제활동 참여 현황, 그리고 창조경제시대의 여성 일자리 창출방안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Problems of ICT-related laws system in Korea

  • Lee, Hie-H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7-12
    • /
    • 2019
  • Korea's laws regarding ICT must follow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the Principle of forbidden general delegation, the Principle of justification of system and the Principle of balancing test in the Constitution. The Act for the Promotion and Convergence and so 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part where the principle of system just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is problematic in relation to existing laws.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ICT's policies on industry and convergence technologies so that they are well balanced between promotion and regulation of ICT's industries.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information service policy and legislative makeup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ICT.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mplement to the post-regulatory framework for the protection of users of ICT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to create a device to replace the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Service Budget Council in the special law of ICT.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 참여 촉진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Companies' ICT-Convergence Cluster Participation)

  • 김용영;김미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51-161
    • /
    • 2016
  • ICT융합은 창조경제를 추진함에 있어서 기존 산업 및 제품과 서비스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는 ICT융합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세부적인 지원 정책 보다는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의존하여 ICT융합 클러스터의 전략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에 기반을 두고 비(非)R&D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끄는 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충북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181부를 바탕으로, 기술 지원, 참여여건 지원, 사업화 지원 등 비R&D 정책지원 요인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사에 차례로 정(+)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DA 모델을 정부와 기업 간 상황(G2B)에 적용하여 정부 정책의 홍보와 기업의 관심 유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비R&D 부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국가정책사업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끌어 내는 지 여부를 AIDA 모델을 활용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토픽 모델링 기반 내용 분석을 통한 학제 간 융합기술 도출 방법 (Discovering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Technologies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opic Modeling)

  • 정도헌;주황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7-100
    • /
    • 2018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학제 간 융합 기술을 발굴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공학 기술(BT) 분야와 정보통신 기술(ICT) 분야 간의 융합 연구를 위해 (1) BT 분야의 기술용어 목록을 작성하여 대량의 학술논문 메타데이터를 수집한 후 (2)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척도 알고리즘을 이용해 유망 기술의 지식 구조를 생성하고 (3)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BT분야 중심의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 단계인 BT-ICT 융합 기술 아이템 도출을 위해, (4) BT-ICT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BT 기술용어 목록을 상위 개념으로 확장한 후 (5) OpenAPI 서비스를 이용하여 두 분야가 관련된 학술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자동 수집하여 (6) BT-ICT 토픽 모델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첫째, 융합 기술의 발굴을 위해서는 기술 용어 목록의 작성이 중요한 지식 베이스가 된다는 점과 둘째, 대량의 수집 문헌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차원을 줄여 분석을 용이하게 해주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과정이 학제 간 융합 연구의 가능성이 있는 기술 요소들을 발굴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dvanced in Algorithms, Security, and Systems for ICT Convergence

  • Park, Ji Su;Park, Jong Hyu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523-529
    • /
    • 2020
  • Fu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constantly evolving and converging in diverse fields depending on the wireless environment, and the trend is being further developed to increase the speed of wireless networks. Future ICT is needed in many areas such as active senior & solo-economy, hyper-connected society, intelligent machine, industrial boundary collapse, secured self, and the sharing economy. However, a lot of research is needed to solve problems such as machine learning, security, prediction, unmanned technology, etc.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some technologies developed in the areas of blockchain, fault diagnosis, security, agricultural ICT, cloud, life safety and care, and climate monitoring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future paradigm.

국도 도로공사의 BIM적용을 위한 상용소프트웨어 간 IFC 호환성 검토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ssue Analysis and the IFC Compatibility Review on BIM S/W for Application of BIM in National Road Project)

  • 양정민;양성훈;최원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04-1306
    • /
    • 2012
  • 최근 건설 산업에서는 비용 절감과 공기 단축 등 건설 프로세스의 새로운 대안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효용성이 널리 알려지며 대형건설사와 건축사사무소를 중심으로 BIM 적용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간의 원활한 설계 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각기 다른 BIM 소프트웨어에서 만들어 내는 데이터간의 정보호환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빌딩스마트(buildingSMART International, BSI)가 제시한 건축, 엔지니어링, 시공 분야(AEC)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를 이용하여 이기종 파일 간 호환성 검토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정보모델개발의 기반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농업-ICT 융·복합 기술 동향 및 표준화 추진방향 (A study on standardization strategy based on technological trends of agriculture-ICT convergence)

  • 민재홍;박주영;강신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5-718
    • /
    • 2014
  • 현재 국내 농업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지구 온난화 등으로 발생하는 재난 재해 극복, FTA 등으로 인한 수입 농산물 극복,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 중심의 과학화된 실용화 기술에 대한 대처 등 농업을 주체로 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편 국내 ICT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임으로 기존의 농업기술에 정보화기술, 자동제어 기술 등 IT 고유의 기술을 융합시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향상, 효율성 증대, 품질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농업의 현황, 농업-ICT 융합 도입 및 기술 현황,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선도할 농업-ICT 융합 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향후 표준화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ICT Policy in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RHA, Ilju;YOSHIDA, Ay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1호
    • /
    • pp.3-39
    • /
    • 2005
  • Korea and Japan have been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bui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frastructure in schools, and integrate ICT into curriculum by training teachers based on own ICT policies in education. ICT policy in education isparticularly diverse and challenging, in part because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continues to create new possibilities for use and demands the transformation of the ways we teach and learn.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ICT policies of Korea and Japan, between 1980's and the present period, in a larger educational and historical context. The study reviews chronological changes in major streamlines of ICT policies of both countries, and discusses in detail changes in two aspects of ICT policies in education, that is, ICT infrastructure and teacher training. The paper points out convergence and diversity of ICT policies in two countries and concludes with a set of guidelines for ICT policy makers.

Establishment of ICT Specialized Teaching-Learning System in the Era of Superintelligence, Super-Connectivity, and Super-Convergence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49-156
    • /
    • 2023
  • Joint research on software, electronic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and financial engineering and the use of ICT knowledge through network form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science and technology-based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process of products using new technolog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trategically propose ICT specialize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the ICT specialization model, ICT specialization strategy analysis, and ICT specialization operation and effect were explored to establish ICT specialization strategies centered on software, electronic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and financial engineering in the era of super-intelligence, hyper-connected, and hyper-convergence. Secondly, a roadmap for detailed promotion tasks related to efficient ICT characterization based on core strategies, detailed promotion tasks, and programs was proposed, focusing on talent related to ICT characterization. Thirdly, we would like to propose a reorganization of the academic structure and organization related to ICT characterization. Finally,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oriented education system related to ICT specialization based on the advanced education and research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