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R 마우스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8초

근교계 마우스에서 간흡충 기생기간과 산란력의 변동 (Egg Produc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 Different Strains of Inbred Mice)

  • 김종인;정동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69-176
    • /
    • 1992
  • 여섯 계통의 근교계 마우스떠에 상흡충의 기생기간과 경시적 산란력을 근거로 하여 숙주 기생충 관계의 계통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마우스찰 20개의 간흡충 피낭유충을 경구적으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간흡충의 충란이 처음 검출될 때까지의 기간은 DDY 마우스에서 평균 21.2일로 가장 짧았고, GPC 21.48, BALB/c 및 DS 23.2 5, ICR 및 nude 23.4일의 순이 었다. 총산란기간 역시 DDY 마우스에서 164일로 가장 길었으며, GPC 132R, BALB/c 97일, nude 37일, DS 32일 및 ICR 28일의 순이었다. DDY 및 GPC 마우스에서는 간흡충의 산란수가 비교적 높고 안정적이었으나 나머지 4계통의 마우스에서는 관찰기간 동안 불규칙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마우스의 계통에 따라 간흡충의 숙주 기생충 관계의 차리를 확인하였고 DDY 마우스가 6계통중 가장 호적숙주임을 알았다.

  • PDF

ICR 마우스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4주간 반복 투여 독성시험 (Assessment of the 4-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test of Smilax sieboldii extract in ICR mice)

  • 이정아;황민희;조영락;안은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97-403
    • /
    • 2022
  • 청가시덩굴은 청미래덩굴속에 속하며 청미래덩굴속 식물들은 전세계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전통 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컷과 암컷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청가시덩굴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여 최대무독성용량을 평가하였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500, 1000 및 2000 MPK 용량으로 4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한 결과 투여한 모든군에서 사망률, 임상 증상, 체중 변화, 섭취량, 혈액학적 분석, 혈청 생화학 검사 및 상대 장기 중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은 ICR 마우스에서 어떠한 독성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으며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최대무독성용량은 2000 MPK 이상으로 간주되었음을 시사한다.

감마선 조사 오렌지의 급성 및 아만성 독성 평가 (Acute and Subchronic Toxicity of Gamma-Irradiated Orange)

  • 정다운;황옥화;최근표;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86-12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식품의 규정을 확립하고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를 ICR 마우스에 투여 또는 섭취시켜 급성 및 아만성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의 경우 시험물질을 0, 1,000, 2,000 mg/kg의 용량으로 설정하여 단회 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동물, 일반 증상, 체중 변화, 부검소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한 결과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의 대략의 치사량(approximate lethal dose)은 암수 ICR 마우스 모두 2,000 mg/kg을 상회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만성독성은 시험물질을 식이에 함유하도록 하여 3개월간 섭취시킨 후 사망동물, 일반증상,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장기 무게, 조직학적 검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암수 ICR 마우스 모두에서 사망동물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및 장기 무게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도 암수 ICR 마우스 모두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간, 신장 조직은 모두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염증, 괴사 등의 유의할만한 병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1 kGy 감마선 조사 오렌지를 ICR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켜도 본 시험조건에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요꼬가의흡충에 관한 연구 Vll. 마우스 Strain별 감자성 및 Prednisolone의 영향 (Study on Metagonimus yokogawai(Katsurada, 1912) in Korea VII. Susceptibility of Various Strains of Mice to Metagonimus Infection and Effect of Prednisolone)

  • 채종일;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53-160
    • /
    • 1984
  • 마우스에 대한 요꼬가와흡충 실험감염에 있어서 충체회수률 등 감수성(susceptibility)이 실험자에 따라 매우 다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저자등은 이것이 마우스 strain에 따른 차리일 것으로 생각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 prednisolone 주입으로 숙주의 면역반응을 저하시킬 때 충체회수률이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은 은어의 근육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마우스 5개 strain (A,DBA,CBH,CSTBL,KK) 총 60마리에 대해서 3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1주일 후에 도살하여 충체회수률 및 충체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 ICR계 마우스 29마리에는 각각 1,8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되 그중 15마리에 대해서는 감염 1주전부터 도살시까지 격일로 prednisolone l0mg/kg를 주입하였고 각각 감염 6시간부터 35일까지의 충체회수율을 관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우스 5개 strain에 있어서 감염성공률은 25.0∼83.3%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고, 충체국수률은 1.2∼18.9%, 나수충체의 크기는 평균 길이 0.554∼0.683mm, 폭 0.214∼0.244mm이었다. 이들 수치는 KK 및 CSTBL strain에서 다른 3가지 strain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리를 보였다. 2. ICR계 마우스에서 시간별로 관찰한 충체회률은 감염 1일이내에는 38∼66%의 높은 율을 보였으나 1일 이후에는 35일까지 0.7%이하의 낮은 회수률을 보였다. 그러나 prednisolone을 투여한 군에서는 감염후 21일까지도 16∼80%의 높은 충체회수률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마우스는 strain에 따라 요꼬가와흡충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다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이 낮은 ICR계 마우스도 prednisolone을 주입하면 감염 3주까지 높은 충체회수률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임신 18일째 ICR 마우스에 있어서 체중과 골화와의 상관성

  • 정운구;김정란;한상섭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9-319
    • /
    • 1994
  • 의약품등의 배아(태자) 독성물질에 의해서 유도될 수 있는 태자체중의 감소와 골화지연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식독성 시험에 있어서 자궁내 발육지연 (intrautering growth retardation)으로 평가된다. 태자체중은 측정이 매우 용이한 변수에 속하지만 골화지연의 평가에는 유해인자 (noxa) 의 작용시 기형이 유발되지 않는 골격부위가 가장 적합한데, 어느 골격부위가 발육지연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가장 적합한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태자체중과 골화의 상관성 조사가 필수적이다. 연구결과 골격형성은 골격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크게는 거의 골화가 종료된 부위 (예: 흉골) 와 골화가 진행증인 부위 (예: 천미추) 로 구분되었고 주요 골격부위의 골화와 태자체중의 관계를 조사한 바, 골격부위에 따라서 상이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로는 ICR 마우스에 있어서 천미추의 골화짐 수가 태자제중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천미추의 변이계수는 타 골격부위에 비해서 그다지 높지 않았다. 따라서 ICR 마우스를 이용한 생식독성시험에 있어서 천미추의 골화 진행도는 의약품등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발육지연 효과의 평가를 위한 가장 적합한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ICR 마우스에서 핑크왐피 추출물의 3주간 반복 투여 독성 연구 (3-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study of Clausena excavata extract in ICR mice)

  • 박주형;조영락;김영민;강재신;오좌섭;안은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23-127
    • /
    • 2019
  • 핑크왐피는 피부병, 말라리아, 복통, 이질 및 장염 치료를 위한 약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핑크왐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컷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핑크왐피를 3주 반복 경구 투여하여 최대무독성용량을 평가했다. 핑크왐피를 100, 250, 500, 1000, 및 2000 mg/kg으로 투여한 결과,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사망률, 임상 증상, 체중 변화, 혈액 학적 검사 및 혈청 생화학 검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경미한 변동은 핑크왐피의 투여로 인한 영향이 아닌 정상 범위 내에서의 변화로 간주 되어진다. 결과적으로, 핑크왐피는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독성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핑크왐피의 최대무독성용량은 2000 mg/kg 이상으로 간주되었다.

산삼배양추출물의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복강 투여 소핵시험 (Micronucleus Test of Wild Ginseng Culture Extract Using the Marrow Cells in ICR Mice)

  • 송시환;양덕춘;정세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8-63
    • /
    • 2005
  • 시험물질 산삼배양추출물의 유전독성 평가를 위해 수컷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1 회 투여 최고량은 예비 시험에서 결정하였다. 약 7주령의 수컷 마우스에 시험물질 0, 500, 1,000 및 2,000 mg/kg의 용량을 1일 1회 2일간 복강내 투여하고, 최종 투여로부터 약 24시간 후에 골수세포를 수거하여 소핵 유발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개체당 2,000개의 다염성적혈구(michromatic erythrocyte, PCE)중에 나타나는 소핵을 가진 다염성적혈구(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 MNPCE)의 수를 계수한 결과,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 증상에서도 모든 시험군은 투여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시 체중에 있어서는 시험물질 최고 용량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삼배양추출물은 위 시험 조건에서, 본 시험에 사용한 마우스 골수세포에 소핵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편백 정유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Acute Oral Toxicity Test of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on ICR Mice)

  • 임창우;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4-219
    • /
    • 2018
  • 본 연구는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작용, 살충작용, 항아토피 활성, 항염증 효과, 혈압강하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마우스에서의 급성경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편백 정유를 마우스에 0, 125, 250, 500, 1,000, 2,00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각각 1회 경구투여한 결과, 마우스 암 수 모두 2,000 mg/kg에서 모두 생존하였으며, 모든 투여군의 체중 및 모든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지표값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 정유의 마우스에서의 $LD_{50}$은 2,000 mg/kg body weight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ICR 마우스 위장관 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 빈도 :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of the ICR mice: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 함태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3-132
    • /
    • 2001
  • ICR 마우스 위장관 8개 부위(위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에서 위장관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를 somatostain, serotonin, glucagon, chloecystokinin(CCK)-8, secretin, pancreatic polypeptide(PP) 및 gastrin 등 총 7종류의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던 결과 somatostain, serotonin, glucagon, CCK-8, secretin, 및 gastrin 면역반응세포의 7종류의 내분비세포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장관부위에서는 주로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개방형 세포(open-typed cell)들이 관찰된 반면 위저부와 유문부에서는 주로 원형의 폐쇄형 세포(close-typed cell)을이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의 부위별 분포는 위장관 각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Somatostain 면역반응세포들은 대장을 제외한 위장관에서 전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전 위장관에 걸쳐 관찰되었으며, ICR 마우스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저부와 직장에 국한되어 관찰되었으며, 각각 중등도 및 소수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 십이지장 및 회장에서 각각 다수, 중등도 및 극소수의 빈도로 관찰되었다. 한편 secretin 면역반응세포들은 각각 소수 및 극소수의 빈도로 십이지장과 회장에 국한되어 출현하였고, gastr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에 국한되어 다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PP 면역반응세포들은 전 위장관에 걸쳐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ICR 마우스의 위장관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상대적 빈도는 다른 포유동물과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일부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

마우스에서 Naegleria fowleri에 의한 뇌수막염 발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Meningoencephalitis by Nuegleria fowleri in Mice)

  • 안명희;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53-258
    • /
    • 1984
  • Naegleria fowleri를 마우스 비강을 통하여 감염시킨 뒤 P.A.M. 발생율 및 발병후 생존기간을 마우스 주별 체중별, 성별, 접종아메 바수에 따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N. fewleri를 감염시킨후 P.A.M. 발생은 ICR마우스보다 BALB/C마우스에서 많았으며 감염후 평균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2. 마우스 성별에 따른 N. fowleri감염후 P.A.M.발생율 및 발병후 평균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3. 체중이 다른 여러 실험군에서 P.A.M. 발생율 및 사망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발병후 마우스의 평균생존 기간은 체중이 가벼운 실험군에서 짧았다. 4. 감염시킨 아메 바수에 따른 P.A.M. 발생율은 영양형 Ix104이상 감염 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0.5x104인 경우 P.A.M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