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rhamphus sajor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1초

Mitochondrial DNA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학꽁치 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 구조 (Low Genetic Diversity and Shallow Population Structure of the Japanese Halfbeak Hyporhamphus sajori Revealed from Mitochondrial DNA in the Northeast Asia)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7-194
    • /
    • 2019
  • 학꽁치(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mtDNA CR)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중국(Liaoning), 한국(통영), 일본(Wakasa Bay) 3곳에서 총 70개체를 채집했고, 일본 3곳(Wakasa Bay, Toyama Bay and Mikawa Bay)에서 분석된 47개체의 mtDNA CR 염기서열을 Genbank에서 다운로드했다. 분석결과 총 358 bp가 나타났고, 7개의 변이와 함께 haplotype이 7개 확인되었다. Haplotype diversity과 nucleotide diversity는 각각 0~0.295±0.156 및 0~0.0009±0.0011이고, main haplotype을 94%의 개체가 공유했다. 매우 낮은 haplotype diversity와 nucleotide diversity 그리고 starlike minimum spanning tree는 집단이 최근에 병목현상을 거친 후, 팽창되었음을 나타낸다. 집단 간에 Pairwise FST 값은 낮고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집단 간 gene flow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꽁치의 genetic homogenity는 부유조와 해류가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19 Fish Species in Sargassum Beds of Gamak Bay, Korea

  • Yoon, Ho-Seop;Choi, Sang-D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54-256
    • /
    • 2010
  • Length-weight relationships were estimated for 19 fish species in sargassum beds of Gamak Bay: Aulichthys japonicus, Pseudoblennius cottoides, Pseudoblennius percoides, Ditrema temmincki, Acanthogobius lactipes, Chaenogobius heptacanthus, Cryptocentrus filifer, Pterogobius elapoides, Pterogobius zonoleucus, Hyporhamphus sajori, Hexagrammos agrammus, Rudarius ercodes, Lateolabrax japonicus, Pholis crassispina, Pholis nebulosa, Scomber japonicus, Sebastes inermis, Ernogrammus hexagrammus, and Takifugu niphobles. Samples were caught by surrounding net at depths of <7 m between November 2007 and June 2008. The most abundant families were Gobiidae (26.3%), Cottidae (10.5%), and Pholididae (10.5%). Estimates for parameter b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W=$aL^b$) ranged between 2.491 and 3.354.

치어의 먹이선호도 및 포식이 낙동강 동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영향. (Prey Preference of Juvenile Fish Based on the Laboratory Experiments and its Impact on Zooplankton Community of the Nakdong River)

  • 장광현;김현우;라긍환;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130-136
    • /
    • 2004
  • 저수지화성향을 띤 낙동강은 수체가 정체되는 시기에 높은 동물플랑크톤 밀도를 보인다. 이 시기의 높은 치어개체군 밀도는 지각류 개체군 밀도의 감소와 윤충류 개체군 밀도의 증가를 유도하는 주요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실험을 통해 치어의 먹이선호도와 포식이 낙동강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여러 종류의 치어의 먹이선호도 및 크기가 다른 치어의 먹이선호도를 실험실 수조내에서 평가하는 한편, 대형 수조에서 이들 치어의 포식이 동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종류의 치어 (Hyporhamphus sajori, Rhinogobius brunneus, Opsariichtys uncirostris) 및 크기가 다른 치어 (O. uncirostris) 모두지각류 Moina micrura에 가장 높은 먹이선호도를 나타냈다. 야외수조에서 실시된 실험에서 치어의 포식은 지각류 M. micrura를 억제하는 한편 윤충류인 Polyarthra spp.의 우점을 유도하였다. 본 실험결과. 치어의 섭식은 낙동강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가막만 모자반 군락지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Sargassum Beds in Gamak Bay, Korea)

  • 윤호섭;안윤근;최상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2011
  • 가막만 모자반 군락에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월별로 두릿그물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1종 582 개체, 5,3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한 어종 중 복섬(Takifugu niphobles),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농어(Lateolabrax japonicus)가 전체 개체수의 55 %를 차지하였다. 12월과 1월에는 어류가 채집되지 않았고,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증가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6월에 높았고, 7월과 8월에는 감소하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높은 값을 보였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출현기간이 비교적 긴 우점종인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와 복섬(Takifugu niphobles)이, B 그룹에는 봄에 주로 출현한 볼락(Sebastes inermis), 살망둑(Chaenogobius heptacanthu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거물가시치(Trachyrhamphus serratus), C 그룹에는 가을에 주로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가 포함되었다.

일일어획자료를 이용한 여수 해역의 정치망 어획물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Using the Daily Catch Data of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Yeosu, Korea)

  • 황선도;김진영;김주일;김성태;서영일;김종빈;김영혜;허선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3
    • /
    • 2006
  • 2001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돌산도 율림 앞바다, 2002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연도 앞바다, 그리고 2003년 4월부터 12월 사이에 돌산도 임포 먼바다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일일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파악하고, 연도별, 장소간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2001~2003년에 여수 해역에서 정치망에 의해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방어류 (Seriola spp.), 갈치(Trichiurus leptur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줄삼치(Sarda orientalis),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덕대(Pampus echinogaster), 밴댕이(Sardinella zunasi), 고등어(Scomber japonicus), 황아귀(Lophius litulon), 꼴뚜기(Loligo beka) 등이 양적으로 우세하게 어획되어 여수해역에서 정치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은 주로 표영성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안역에서는 밴댕이, 덕대,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꼴뚜기, 외해역에서는 삼치, 방어류, 갈치, 덕대, 살오징어, 검복(Takifugu porphyreus), 참돔(Pagrus major)의 표영성 주거종 (pelagic resident species)이 우세하였으며, 멸치는 남해 전체에서 계절적으로 연안과 외해를 이동하는 대표적인 우점종이었다. 봄에 연안에 밴댕이와 멸치가, 수심이 보다 깊은 외해에는 내유하는 멸치와 황아귀, 방어류 등 대상으로 어기가 시작되어 여름에 갈치, 삼치, 고등어, 방어류, 줄삼치, 덕대, 살오징어 등의 외양종이 연안과 외해에 회유하여 어획량이 높았다. 가을에는 연안에서 삼치, 멸치,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 독가시치 (Siganus fuscescens),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등이 우점하였고, 외해에서는 삼치, 덕대, 학공치(Hyporhamphus sajori), 고등어, 갈치 등이 여름에 이어 계속 출현하였으나 어획량은 감소하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계절성을 보였다. 남해안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출현종은 대부분 부어류이었으며 그 변화 정도가 심하였으나, 대형정치망 일일 어획자료은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는데 유의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