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tension School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39초

흰쥐에서 고용량 아질산이온 함유 마늘 발효농축액에 의한 뇌혈류 변화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Following Fermented Garlic Extract Solution with High Content of Nitrite)

  • 유혁;;구호;천현수;유수진;김민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26-333
    • /
    • 2020
  • Nitrate-nitrite-nitric oxide (NO) pathway is a major alternative source of NO and is essential for NO - dependent physiological functions in body. Food supplements having nitrate/nitrite can improve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hypertension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or vasodi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fermented garlic (F. garlic) having high concentration of NO2- on changes in blood flow and nitric oxide synthesis in the cerebral cortex of rodents.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detected by a chemi-luminescence detector was higher in F. Garlic compared with NaNO2 solution under artificial gastric juice with pH 2.0. Ether F. garlic or NaNO2 diluted with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was directly applied into around the needle probe of laser Doppler flow meter that was located on epidural surface of the cortex. Direct application of F. garlic resulted in increase of cerebral blood flow detected by a laser Doppler flow meter with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NaNO2 solution, F. garlic produced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at lower concentration of NO2-. Pretreatment of methylene blue, a guanylyl cyclase inhibitor prevented upreg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by the treatment of F. garli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F. garlic with 250, 500ppm of NO2- caus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NO in the cortical tissue but NaNO2 solution with 500ppm of NO2- did not. In summa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 garlic with high content of NO2- induce increase in cerebral blood flow through nitric oxide-dependent signal pathway.

국내 40세 이상 위암 환자의 성별에 따른 혈액생화학적 특성, 영양섭취비교: 제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횡단연구 (Comparison of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by sex in gastric cancer patients over 40 years in Korea based on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이현주;오성원;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60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x-associated differences in the dietary intake of gastric cancer patients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7th (2016-2018)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2 gastric cancer patients aged over 40 years (75 male, 47 femal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food security, comorbidities,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fasting plasma glucose (FPG),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and quantity and quality of dietary intake were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Results: Males had higher rates of having a spous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than females. The proportion of males with a normal range of FPG, BUN, and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that in females. The total cholesterol levels above the normal range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We also found that females had a higher percentage of intakes below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and intakes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for carbohydrates, niacin, phosphorus, and iron than males.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phosphorus and folat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for vitamin C, thiamine, niacin, folate, calcium, and phosphorus, and the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lower in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s: In Korean gastric cancer patients, management of comorbidities such as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lowering FPG, and raising HDL-cholesterol level management is required for males, whereas management of lowering total cholesterol and raising hematocrit is required for femal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nutritional intakes were poor in gastric cancer patients, especially in females, who had a lower nutritional intake than males. We suggest t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overall nutritional intake in both male and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n particular, we propose that support is urgently needed for females whose nutritional intake is lower than that of males. In addition, family, social, and national support for nutritional management of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s highly necessary.

Study Design and Baseline Results in a Cohort Study to Identify Predictors for the Clinical Progression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From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SCo) Study

  • SeongHee Ho;Yun Jeong Hong;Jee Hyang Jeong;Kee Hyung Park;SangYun Kim;Min Jeong Wang;Seong Hye Choi;SeungHyun Han;Dong Won Yang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7-161
    • /
    • 2022
  • Background and Purpose: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refers to the self-perception of cognitive decline with normal performance on objective neuropsychological tests. SCD, which is the first help-seeking stage and the last stage before the clinical disease stage, can be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myloid positive and amyloid negative groups of SCD patients. Methods: A cohort study to identify predictors for the clinical progression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dementia from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SCo) study is a multi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otal, 120 people aged 60 years or above who presented with a complaint of persistent cognitive decline were selected, and various risk factors were measured among these participants. Continuous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rank-sum test,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or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ssess the predictors of amyloid positivity. Results: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dicated that amyloid positivity on PET was related to a lack of hypertension, atrophy of the left temporal lateral and entorhinal cortex, low body mass index, low waist circumference, less body and visceral fat, fast gait speed, and the presence of the apolipoprotein E ε4 allele in amnestic SCD patients. Conclusions: The CoSCo study is still in progress, and the authors aim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CI or dementia in amnestic SCD patients through a two-year follow-up longitudinal study.

Clinical Results of Drug-Coated Balloon Treatment in a Large-Scale Multicenter Korean Registry Study

  • Sang Yeub Lee;Yun-Kyeong Cho;Sang-Wook Kim;Young-Joon Hong;Bon-Kwon Koo;Jang-Whan Bae;Seung-Hwan Lee;Tae Hyun Yang;Hun Sik Park;Si Wan Choi;Do-Sun Lim;Soo-Joong Kim;Young Hoon Jeong;Hyun-Jong Lee;Kwan Yong Lee;Eun-Seok Shin;Ung Kim;Moo Hyun Kim;Chang-Wook Nam;Seung-Ho Hur;Doo-Il Kim; Stent Failure Research Group (SFR) Drug coated balloon (DCB) registry investigators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6호
    • /
    • pp.444-454
    • /
    • 2022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 with drug-coated balloon (DCB) in a large real-world population. Methods: Patients treated with DCBs were included in a multicenter observational registry that enrolled patients from 18 hospitals in Korea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7. The primary outcome was target lesion failure (TLF) defined as a composite of cardiovascular death, target vessel myocardial infarction, and clinically indicate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t 12 months. Results: The study included 2,509 patients with 2,666 DCB-treated coronary artery lesions (1,688 [63.3%] with in-stent restenosis [ISR] lesions vs. 978 [36.7%] with de novo lesions). The mean age with standard deviation was 65.7±11.3 years; 65.7% of the patients were men. At 12 months, the primary outcome, TLF, occurred in 179 (6.7%), 151 (8.9%), 28 (2.9%) patients among the total, ISR, and de novo lesion populations, respectively. A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acute coronary syndrome, previous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reduc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2C lesion and ISR lesion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12 months TLF in the overall study population. Conclusions: This large multicenter DCB registry study revealed the favorable clinical outcome of DCB treatment in real-world practice in patient with ISR lesion as well as small de novo coronary lesion.

위전절제술 후 식도 공장 문합부 양성협착에 대한 고찰 (Benign Stricture of Esophagojejunostomy after Radical Total Gastrectomy)

  • 오승종;백용해;홍성권;최민규;허진석;노재형;손태성;김용일;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46-251
    • /
    • 2005
  • 목적: 위악성 종양으로 위전절제술 및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합부 양성협착의 빈도와, 위험인자 및 이에 대한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자동문합기를 사용하여 루앙와이 식도공장 문합술을 시행 받은 658명에서 추적관찰 기간 중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43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협착은 직경 9mm 내시경의 통과여부로 정의하였다. 결과: 남자는 292명, 여자는 144명이었고, 평균(mean) 나이는 53.7세$(23{\sim}81)$세였다. 436명 중 33명에서 문합부 협착이 진단되었으며 이 중 재발에 의해 협착이 발생한 9명을 제외한 2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나이, 자동문합기의 직경,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역류성 식도염 여부, 당뇨 및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들과 양성협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문합부 양성협착이 발견된 모든 환자에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시행 후 모든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위험인자들과 문합부 양성협착의 발생빈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없었으나 문합부 혈류와 관계된 인자들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내시경 풍선 확장 시술을 시행하고 1회의 시술로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내시경 추적검사가 요구된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Tei 지수를 이용한 우심실기능 평가 (Assessment of Righ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ing Echocardiographic Tei Index)

  • 오윤정;신준한;김덕기;최영화;박광주;황성철;이이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343-352
    • /
    • 2001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능의 평가를 위해서 여러 가지 비침습적, 침습적 방법이 이용되나 그 정확도나 실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최근 도플러 심초음파상의 수축기, 이완기 및 박출시간을 조합한 기능지수인 Tei 지수가 우심실기능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어 저자 등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Tei 지수를 구하여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고 폐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26예와 대조군 10예을 대상으로 간헐파 도플러를 이용하여 도플러 간격을 측정하였다. Tei 지수는 등용성 수축시간(ICT)과 등용성 이완시간(IRT)의 합을 박출시간(ET)으로 나누어 구하였고, PEP, ICT/ET, PEP/ET, IRT/ET를 측정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폐기능과 Tei 지수의 상관관계를 구하였고, Tei 지수와 다른 도플러 간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Tei 지수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0.45{\pm}0.17$ vs. $0.27{\pm}0.03$, p<0.01), ICT/ET ($0.32{\pm}0.08$ vs. $0.25{\pm}0.05$, p<0.05), PEP/ET ($0.46{\pm}0.10$ vs. $0.38{\pm}0.06$, p<0.05), IRT/ET ($0.29{\pm}0.16$ vs. $0.15{\pm}0.15$, p&0.05) 등은 대조군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며 박출시간은 단축되어있었다($255.2{\pm}32.6$ vs. $314.2{\pm}16.5$, p<0.05).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중증 폐기능 장애가 있는 3기 환자는 1기나 2기 환자에 비해 Tei 지수가 증가되어 있었다.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박출시간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ICT/ET(r=0.453), PEP/ET(r=0.480), IRT(r=0.812), IRT/ET(r=0.896) 는 Tei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Tei 지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폐기능 지표와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지역사회 거주 50세 이상 성인의 동맥경직도와 염증반응인자와의 관련성 (Cross-Sectional Relations of Arterial Stiff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 류소연;신민호;이영훈;이정애;최진수;박경수;남해성;정슬기;권순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101-112
    • /
    • 2011
  • 50세 이상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baPWV로 측정한 동맥경직도 수준과 염증인자와 동맥경직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 수행된 광주광역시 동구연구(Dong-gu Study)의 기반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주민 46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전통적인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baPWV와 CRP, GGT와 WBC 등의 염증반응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평균 baPWV는 남자 $17.0{\pm}4.0\;m/s$, 여자 $16.2{\pm}3.6\;m/s$로 남, 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baPWV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 연령, 흡연상태,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공복혈당, 고혈압 또는 당뇨병의 투약 여부, 혈청 지질, 요산과 ALT 등의 전통적인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WBC (${\beta}$=0.158, p<0.0001), hs-CRP(${\beta}$=0.244, p=0.026)와 GGT (${\beta}$=0.003, p<0.0001)는 baPWV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aPWV로 측정한 동맥경직도 지표는 염증반응인자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PWV 등의 동맥경직도 측정 지표는 동맥 기능의 초기변화를 반영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약분업 실시 전후 보건소 내소환자 진료내용 변화 (The Changes in Patients and Medical Services by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in Health Center)

  • 천재경;감신;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75-86
    • /
    • 2002
  • 의약분업실시 전후 보건소 투약환자의 특성변화, 질병양상변화 그리고 진료내용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의약분업 전인 2000년 3월과 의약분업 후인 2001년 3월 각각 한 달 동안 경상남북도에 소재한 4개 보건소(도농복합형 시보건소 2개소, 군보건소 2개소)를 의약분업 전과 후에 이용한 투약환자 5,890명(의약분업 전)과 3,496명(의약분업 후)을 대상으로 건강 보험 및 의료급여 청구서를 이용하여 투약환자의 성, 연령, 주 진단명, 의료보장종류, 내소일수, 투약일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의약품 처방의 변화를 알기 위해 급성 호홉기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자에 처방한 약제 종류수, 주사제 사용률, 항생제 사용률, 고가소염제 사용률를 조사하였다. 투약환자의 질환별로는 분업 전에 비해 급성호흡기 질환자는 49.7%, 고혈압환자는 18.1%, 근골격계질환자는 70.5%, 당뇨병환자는 8.5%, 소화기계질환자는 71.2%, 만성호흡기질환자는 76.4% 감소하였으며, 요도감염질환자는 의약분업 전에 비해 66.7% 증가하였다. 의약분업 전후 평균 내소일수의 변화는, 성별로는 남녀 모두 의약분업 전 보다 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의료보장형태별도는 건강보험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의료급여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질환별로는 고혈압, 당뇨병, 근골격계질환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의약분업 전후 평균 투약일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질환별로는 요도감염을 제외한 다른 질환들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요도감염은 증가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의약분업 전후 급성호흡기질환자에 대한 평균 처방 약제 종류수는 4.9개에서 4.7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주사제 사용률은 63.8%에서 7.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항생제 사용률은 33.7%에서 19.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 다(p<0.01). 의약분업 전후 근골격계질환자에 대한 평균 처방약제 종류수는 3.7개에서 3.2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주사제 사용률은 64.9%에서 1.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고가 소염제 사용률은 29.1%에서 39.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상의 결과 의약분업 후 내소환자의 평균 내소일수는 감소한 반면 평균 투약일수는 증가하였다. 의사의 처방형태의 변화로는 평균 약재 종류수는 감소하였고 주사제나 항생제 처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고가 소염제의 처방률은 증가하였다.

  • PDF

뇌동맥류의 조기수술 전 재출혈 방지를 위한 항섬유소용해제 투여의 효과 (The Effect of Antifibrinolytic Therapy in Prevention of Rebleeding before Early Aneurysm Surgery)

  • 이창영;임만빈;이장철;손은익;김동원;김인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9호
    • /
    • pp.1065-1071
    • /
    • 2001
  • 파열된 뇌동맥류의 조기수술이 계획된 환자에서 수술전까지 단기간에 걸친 항섬유소용해제 투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 137례에 대하여 60례를 AMCA 투여군으로, 77례를 비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재출혈, 증상적 혈관연축, 뇌수두증의 발생빈도 및 전체적인 치료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재출혈의 발생빈도는 AMCA 비 투여군에 비해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AMCA의 장기투여에서 증가를 보인 증상적 혈관연축과 뇌수두증의 발생빈도는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치료성적은 AMCA 투여군에서 비 투여군에 비해 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조기수술이 계획된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AMCA의 단기간 투여는 재출혈율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sCRP와 맥파전달시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HsCRP and Pulse Transit Time)

  • 김윤진;민홍기;김영주;전아영;전계록;예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18-222
    • /
    • 2007
  • 동맥경화정도를 반영하는 hsCRP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와 경화 정도에 의한 혈류속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맥파전달시간 (pulse transit time, PTT)와의 임상적 연관에 대해서는 잘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sCRP와 PTT의 연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1월 29일에서 3월 2일까지 부산의 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의 수진자중에 당뇨와 고혈압 고지혈증 경력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233명을 대상으로 PTT을 측정하고, hsCRP와 관련 변수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군은 hsCRP값에 따라 4분위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중앙값과 범위를 보면 1분위군은 0.02 mg/이 (0.01 ${\sim}$0.02), 2분위군은 0.04 mg/이 (0.03 ${\sim}$ 0.05), 3분위군은 0.08 mg/이 (0.06 ${\sim}$ 0.12), 4분위군은 0.24 mg/이 (0.13 ${\sim}$ 16.8)이었다. 각 군에 따른 PTT와 체질량지수, 혈중지질, 혈당, 혈압의 차이를 일원분석을 할 결과 H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상관분석에서 hsCRP는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p<0.05), PTT와 저밀도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PTT는 hsCRP,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이완기혈압, 수축기혈압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0.05), 고밀도 콜레스테롤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독립변수를 hsCRP군으로 하고, 반응변수를 PTT로 한 일반선형모델의 단변량 분석결과 hsCRP군에 따라 PTT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5),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연령과 성별 외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을 함께 통제한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