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ign Stricture of Esophagojejunostomy after Radical Total Gastrectomy

위전절제술 후 식도 공장 문합부 양성협착에 대한 고찰

  • Oh, Seung-Jong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Baik, Yong-Hae (Department of Surgery, Dong Guk University International Hospital) ;
  • Hong, Seong-Kweon (Department of Surgery, Kon Kuk University hospital) ;
  • Choi, Min-Gew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eo, Jin-Seok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Noh, Jae-Hyung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ohn, Tae-Sung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ong-Il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ung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오승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백용해 (동국대학교병원 외과) ;
  • 홍성권 (건국대학교병원 외과) ;
  • 최민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허진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노재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손태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김용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김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Benign anastomotic stricture after an esophagojejunostomy using EEA stapler following a radical total gastrectomy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treatment associated with benign stri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8 to February 2001, 436 patients underwent an esophagojejunostomy with Roux-en-Y anastomosis using an EEA stapler followed by an endoscopy. Thirty three of the 436 patients(5.5%) developed an anastomotic stricture; included 24 of the 33 patients had a benign stricture. Nine patients with a malignant stricture were excluded.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436 patients was 57 years $(23{\sim}85\;years)$. Two hundred ninety two patients were male, and 144 patients were female. The median time to diagnosing the stricture was 1.5 months $(0.5{\sim}6month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of the risk factors, including the diameter of the stapling device, the status of adjuvant treatment, the status of reflux esophagitis, and a clinical history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The strictur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balloon dilatation, one to three times, with symptom relief. Conclu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However, further study of the vascularity of anastomoses and benign strictures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anastomotic strictured patients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appeared to be the first line of treatment.

목적: 위악성 종양으로 위전절제술 및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합부 양성협착의 빈도와, 위험인자 및 이에 대한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자동문합기를 사용하여 루앙와이 식도공장 문합술을 시행 받은 658명에서 추적관찰 기간 중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43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협착은 직경 9mm 내시경의 통과여부로 정의하였다. 결과: 남자는 292명, 여자는 144명이었고, 평균(mean) 나이는 53.7세$(23{\sim}81)$세였다. 436명 중 33명에서 문합부 협착이 진단되었으며 이 중 재발에 의해 협착이 발생한 9명을 제외한 2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나이, 자동문합기의 직경,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역류성 식도염 여부, 당뇨 및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들과 양성협착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문합부 양성협착이 발견된 모든 환자에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시행 후 모든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위험인자들과 문합부 양성협착의 발생빈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없었으나 문합부 혈류와 관계된 인자들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내시경 풍선 확장 시술을 시행하고 1회의 시술로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내시경 추적검사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