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Real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현대패션에 나타난 스웨그(swag)룩 (The Swag Look in Modern Fashion)

  • 이정호;이진민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94-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dentity of the swag style which has diversified into various forms by exploring the phenomen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al values of the swag style in modern fashioi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swag from the perspective of Jean Baudrillard's hyper-reality, and a form of existence. The classifies the swag fashion styles into parody, hip hop and collage-type mix-and-match.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swag look in modern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wag look utilizes the parody technique. In the mid-2000s, the look parodied brand logos as a form of self-mocking and active self-derision toward cheap imitations. Second, the swag look borrows from the expressive factors of the hip-hop style. Born as a sub-culture based on music, hip-hop has become a way of life, as its nature became multi-cultural and trans-cultural while its fashion style gained popularity globally after the 1980s. Third, the swag look barrows from the pop-type collage form as it mixes-and-matches costume items based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hip hop, and this can be seen through items being used in new, non-formative and free styles. Comic aesthetics is revealed in parodied expression, hip-hop factors and collage-style mix-and-match. Swag as a hyper-reality manifests itself in various natures: humorous nature, negative nature and deconstructive nature through reflection and re-enactment of reality, transmutation and distortion of reality, and absence of reality respectively. However, it does not have a binding nature, which is the norm for subcultures. This characteristic, in combination with it having internal lightness, strong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a sharing of self-contentmen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general meanings of existing parody fashion, hip-hop fashion and collage fashion.

초실감 AR/VR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Displays for Implementation of Hyper-Realistic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

  • 변춘원;이현구;조현수;조남성;이정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6호
    • /
    • pp.48-56
    • /
    • 2017
  •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AR/VR) technology has a very long research history, beginning in the 1860s. As of the CES of 2016, the expectations regarding the commercialization of AR/VR technology have increased, incurring the interest of many people. AR/VR technologies will be established as a part of our everyday life, such as smartphones, by combining the breakthrough developments of displays, semiconductors, sensors, and various content development technologies. However, until recently, the results of innovativ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market growth had not been reported.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se trends by focusing on display technologies,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확장현실(XR) 기반 초실감 대테러 교육훈련체계 구축 방안 연구 (Developing an XR based Hyper-realistic Counter-Terrorism, Educ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 신규용;이세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5-74
    • /
    • 2020
  • 최근 확장현실(XR)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확장현실(XR) 기술을 활용한 교육훈련체계 개발 및 활용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군사훈련 및 대테러 훈련과 같이 큰 위험성을 동반하고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분야에서는 확장현실(XR) 기술을 활용해 실제 훈련과 유사한 훈련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훈련성과는 높이고, 훈련에 소요되는 비용은 줄이며, 실제훈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확장현실(XR) 기반 모의훈련체계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육군사관학교 주관의 콘소시움에서 기(旣)개발한 5G 기반 증강현실(AR) 통합 지휘통제플랫폼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경찰의 테러상황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확장현실(XR) 기반 초실감 대테러 교육훈련체계 구축방안 및 효과 검증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체계는 초실감 콘텐츠 및 훈련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대테러 능력향상을 위한 개인 및 팀 단위 가상훈련이 가능하고, 나아가 모의훈련장 및 실제 작전현장과 연계하여 현장 지휘통제소로도 즉시 활용이 가능하다.

FDVRRP: Router implementation for fast detection and high availability in network failure cases

  • Lee, Changsik;Kim, Suncheul;Ryu, Hoyong
    • ETRI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473-482
    • /
    • 2019
  • High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considered promising requirements for the support of seamless network services such as real-time video streaming, gaming, an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creased availability can be achieved within a local area network with the use of the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that utilizes backup routers to provide a backup path in the case of a master router failure. However, the network may still lose a large number of packets during a failover owing to a late failure detections and lazy responses. To achieve an efficient failover, we propose the implementation of fast detection with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FDVRRP) in which the backup router quickly detects a link failure and immediately serves as the master router. We implemented the FDVRRP using open neutralized network operating system (OpenN2OS), which is an open-source-based network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failover performance test of OpenN2OS, we verified that the FDVRRP exhibits a very fast failure detection and a failover with low-overhead packets.

XR환경에서 초몰입형 캐주얼 공 게임을 위한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Hyper-Immersive Casual Ball Games in XR Environment)

  • 김민지;이수호;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345-34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 홀로렌즈를 이용한 초몰입형(혹은 과몰입형) 캐주얼 공게임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가상현실콘텐츠는 시각적인 몰입만을 전달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과몰입형 콘텐츠도 매우 중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XR환경에서 사용자에게 과몰입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체험하는 형태의 콘텐츠들은 대부분 과몰입형적인 특징을 가지며, 본 논문에서는 실제 그와 유사한 공 게임을 XR환경에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의 몰입을 개선시킨다.

  • PDF

영화에 표현된 환상적 사실주의 (Magic Realism) 시각화 연구: 이미지의 재현성과 환상성의 경계 (The Fantastic Realism (Magic Realism) representation on film Visualization research: The boundaries of Fantasy and reproducibility of Images)

  • 나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95-501
    • /
    • 2016
  • 영화는 항상 실재(reality)와 허구(imagination)를 바탕으로 시대의 문화를 반영해 왔으며 영화에서의 시각 효과는 주로 현실을 더욱더 현실감 있게 표현하거나 가상을 현실로 인식시켜주는 역할을 해 왔다. 본 연구는 환상적 사실주의가 갖는 이미지를 이창동 감동의 오아시스를 통해 내표된 의미와 그 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환상적 사실주의는 이미지로서 영화내의 시간과 공간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보고자 하는 욕망과 보이고자 하는 욕망을 거울이라는 이중적 의미의 도구를 사용하여, 현실과 상상의 공간을 분리하였다. 또 비둘기라는 매개를 통해 현실 세계에 재현되었다. 영화 내러티브 구조에서 가시화된 공간과 비가시회된 공간을 분리시키고, 현실과 비현실적 공간의 분리, 의식과 무의식의 공간의 분리, 현실과 현실공간을 권력 구조로 분리하여 사용되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황상의 이미지는 우리에게 더 실재처럼 다가오고, 이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무의식의 공간을 표현해 낼 것이다.

ICT기반 가상현실(VR) 미디어에 대한 담론 :몰입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Discourse on ICT Virtual Reality Media : Focusing on Immersible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ies)

  • 김정규;김종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33-338
    • /
    • 2021
  •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의 기술에 대한 담론들을 넘어 학술적 대상으로 가상현실의 발전과 진화를 위해 인지과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적 쟁점(윤리, 인격 등)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요구됨을 필역하였다. 즉, 가(假)를 넘어 가(加)로 넘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 진화가 논의될 시점이다.

청소년의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그림책 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Reading Therapy through After-school Picturebook Making Activity Program for Adolescents)

  • 지상선;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69-385
    • /
    • 2022
  • 본 논문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창작활동을 통한 자기내면 발견과 치유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 창작활동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6명의 중학생이며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5단계 설계로 구성 적용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인터뷰와 자기 그림책 해석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그림책 창작은 자기의 원본보다 더 초과적인 하이퍼 리얼리티(hyper-reality)를 통한 자기 세계를 구성할 수 있다. 둘째, 괴물이라는 두려운 존재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견지할 수 있으며 의식의 고양과 통찰력을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창작이 자신의 존재를 이 세상에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고 이를 통해 자기와 일상생활의 의미를 탐구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의 근거로 그림책 창작 활동이 원본과는 다른 또 다른 세계의 창조, 낯설게 하기 장치를 통한 잠재적 의식의 자극효과와 그림책 창작의 자기존재 정립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실감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발전 전망 (Hyper-reality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Prospects)

  • 조용성;현은희;배성준;정혁;안성덕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9권2호
    • /
    • pp.1-11
    • /
    • 2024
  • The metaverse is expected to evolve into an immersive environment based on photorealistic stereoscopic imaging to integrate real and virtual worlds. To transition from flat images to immersive stereoscopic images, such as light fields and holograms, a continuous cycl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reached in media, content, and device technologies, ranging from acquisition and generation to transmission and synthesis as well as reproduction and interaction. Additionally, owing to the multitude of components involved in the metaverse, proper service realization will be challenging without concurrent advancements in compu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such components. We introduce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media, contents, and devices at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ward the next generation of stereoscopic images.

디지털시대 패션에 나타난 사이버페미니즘 연구 (제2보) -미적가치를 중심으로- (A Study of Cyberfeminism in fashion in the digital era (Part II) - Focused on aesthetic values -)

  • 김현수;양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0-2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s of the cyberspace mentality on fashion as a visible symbol of feminity and to analyze terms of its aesthetic value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relevant theories across cultures and disciplines are reviewed and an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spiritual objectives in cyberspace. Then, major issues facing the digital society. symbolized in the computer networks, are reviewed in terms of feminine identity and physical beauty from a feminist's viewpoint. Lastly, the aesthetic values found in the spatial meditation of a new dimension (reality versus virtuality) is comparatively analyzed. The virual reality technology and bio-medical technology are combined to be represented in fashion to create a more realistic virtual world than the real one. Such a world may well be characterized by virtuality, artificiality, masquerade, and fantasy. The intrinsic values which are revealed as psychiatrical or psychological implicated values featuring virtual or artificial implications may well be characterized by distopia, hyper, hybridity and Sur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