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ethylcellulos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양이온성 섬유유연제 HEC-2-HP-AC Ether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Cationic Fiber-Softener HEC-2-HP-AC Ether Derivatives)

  • 강익중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603-607
    • /
    • 1998
  • Cellulose를 출발물질로 하여 ethylene oxide와 hydroxyethylcellulose를 합성하였다. Epichlorohydrin과 triakylamine을 치환반응시켜 제4급 암모늄염을 만든후, 산을 첨가하여 3-chloro-2-hydroxypropyltrialkylammonium chloride를 얻었다. Hydroxyethylcellulose와 glycidylalkylammonium chloride 또는 3-chloro-2-hydroxypropyltrialkylammonium chloride를 coupling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화합물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ammonium chloride ether와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triethylammonium chloride ether를 각각 73.9%, 74.2%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 PDF

Analysis of Double-Stranded DNA Fragment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Using Entangle Polymer Solutions in Uncoated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s

  • Lee, Jong-Jin;Lee, Kong-Joo
    • BMB Reports
    • /
    • 제31권4호
    • /
    • pp.384-390
    • /
    • 1998
  • DNA fragments (51-587 bp) were separat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using entangled polymer, hydroxyethylcellulose, in uncoated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paration of DNA fragments with hydroxyethylcellulose media were evaluated, i.e., the concentration of buffer and entangled polymer, effects of additives (methanol, ethidium bromide, EDTA), temperature, and injection methods. Maximum performance was obtained by adding 5% methanol in 0.5% hydroxyethylcellulose solution at $30^{\circ}C$. Addition of methanol in polymer media increased the resolution of small size DNA fragments (< 100 bp). On the other hand, addition of ethidium bromide and EDTA, which are commonly used in conventional DNA separation, reduced the resolution of DNA fragments in the polymer solution. It turns out that the separation behavior of DNA in entangled polymer is more sensitive to the running condition compared to that in polyacrylamide gel-filled capillary, but the reproducibility of DNA separation in entangled polymer is reliable.

  • PDF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를 겔상 메트릭스로 사용한 서방성 푸로세미드정제의 제조 (Preparation of Furosemide Retard Tablets Using Hydroxyethylcellulose as Matrix Forming Material)

  • 김충호;심창구;이민화;김신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7권2호
    • /
    • pp.47-53
    • /
    • 1987
  • Furosemide retard tablets were prepared using hydroxyethylcellulose(HEC) as a matrix material. Dissolution of furosemide from this tablet was retarded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conventional tablets and greatly dependent on HEC concentration and pH of the dissolution medium. The mechanism of retarded release was supposed to be due to HEC gel formation and drug diffusion through the gel matrix.

  • PDF

푸마르산철글리신 복합체의 약제학적 연구 (제2보) -지속성 푸마르산철글리신 정제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Pharmaceutical Studies on Ferroglycine Fumarate (II) -Studies on Optimization of Controlled Release Ferroglycine Fumarate Tablets-)

  • 신현종;이완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7권3호
    • /
    • pp.101-110
    • /
    • 1987
  • In order to reduce gastric irritation in the stomach of iron preparations, ferroglycine fumarate (FGF) granules coated with hydroxyethylcellulose was made by matrix granulator, and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method, employing the Lagrange equation,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design of controlled release tablets. The effects of stearic acid and dried corn starch on tablet hardness, friability, dissolution rate $t_{50%}$ and tablet volume were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In rabbit test, pharmacokinetic parameters $(K_a,\;C_{max}\;and\;AUC^{0-12})$ and urinary excretion rate $(K_e)$ of the controlled release FGF tabl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led release ferroglycine sulfate tablets which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optimal conditions. Controlled release FGF tablets were more stable than controlled release ferroglycine sulfate tablets in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 PDF

유동화제와 증점제의 조성비가 자기수평 칼라 모르타르의 재료분리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Segregation Reduction of Self-Leveling Color Mortar by Using Variable Composition Set of Plasticizer and Thickener)

  • 채우병;선윤숙;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101-106
    • /
    • 2009
  • We study on the segregation reduction effect of Self-Leveling Color Mortar by using variable composition set of plasticizer and thickener, Naphthalene, melamine and polycarbonate-based dispersants were employed as plasticizers for examining on fluidity of mortar mixtures. For enhancement of mortar stability without loss of it's fluidity, two types of thickener were used such as polysaccharide(PS) and hydroxyethylcellulose(HEC). As a result, the most effective mortar was composed by feeding 0.519% of polycarbonate-based dispersant with 0.002587% of PS and 0.155844% of HEC on amount of basic mortar.

  • PDF

점증폴리머의 레올로지 특성이 마스카라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eological Properties on Mascara by Water-soluble Gelling Agents)

  • 최선경;노영혜;추정한;최영진;강학희;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9-1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O/W 제형 마스카라에서의 레올로지 특성과 함께, 마스카라 내의 수상 폴리머에 따른 발림성과 볼륨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스카라의 레올로지 특성은 최종 마스카라 내용물과 점증 수용액으로 측정하였으며, 수상 점증 폴리머는 hydroxyethylcellulose(HC), carboxymethylcellulose(CMC), hectorite, sodium magnesium silicate(SMS),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HS), polyacrylate 13/polyisobutene/polysorbate 20(PPP)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2.0 wt%의 수용액 점도에서 아크릴계 점증 폴리머인 HS와 PPP가 가장 높은 부착력을 가졌으며, 이는 마스카라의 품질 특성 중 볼륨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또한 HC와 SMS, HS를 0.2 wt% 함유한 마스카라를 oscillation stress가 $1.0{\sim}1,000s^{-1}$의 범위에서 저장계수를 측정한 결과 높은 진동힘 구간인 $100{\sim}1,000s^{-1}$ 구간에서 SMS의 저장계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이는 마스카라 특성 중 발림성 항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는 O/W제형의 마스카라에서 수상 점증제의 구조적인 특성이 마스카라 물성에 크게 영향을 주어 최종적으로 볼륨과 발림성 등의 사용감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새로운 증점제 Purecell 첨가 시 샴푸와 크림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tability of Shampoo and Cheam Adding New Thickening, Purecell)

  • 안봉전;이진영;손준호;이창언;박태순;박정미;이인철;배호정;송미애;편정란;조영제;이성우;박정호;이창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70-76
    • /
    • 2006
  • Purecell,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ether, was developed as a thickener and evaluated its functions for stability and safety when it was ad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a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thickener Natrasol, Purecell have a basic chemical backbone of hydroxyethylcellulose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osmetic industry. pH and viscosity of Purecell was lower than those of Natrasol, however, a similar pH value to was shown when the Purecell was added into a shampoo or cream. The Purecell was stable to temperature and light. When 0.5% of the Purcell was added to a shampoo having cationic surfactant, a separation occurred due to the same cationic surfactant of the Purecell and shampoo. However, the shampoo and cream made with Purecell improved a smoothness and adaptability of hair. It also showed a negative response for Patch test of human, indicating the Purecell was safe for use.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및 특성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ad Type Superabsorbent Resin)

  • 안교덕;윤민중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60-766
    • /
    • 2014
  • 종래의 역상 현탁중합 방법을 개선하여 서방성 재료로 적합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고 그것의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단량체로 아크릴산과 아크릴 아마이드를, 가교제로는 N,N-메틸렌 비스아크릴 아마이드를 사용하였다.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로 조절하였고 분산안정제로 에틸셀룰로오스와 폴리부타디엔계를 조합하여 사용하였고, 분산상으로는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단량체 수용액과 비중을 유사하게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결과, 입자의 표면에 수십 nm 직경의 기공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비드 입자의 크기는 단량체 수용액의 점성을 조절함에 따라 $500{\sim}3000{\mu}m$ 범위의 크기 분포를 보였다. 비드의 흡수량 및 흡수속도는 입자크기에 반비례하였으며 1 g 수지가 5시간 동안에 흡수하는 최대 수분량은 평균 170~200 g이었다. 한편, 이러한 흡수량은 수용액의 pH 변화에 의존하였으며 pH 5~11 범위에서 최대의 흡수량을 보였으며, NaCl과 $MgCl_2$ 염이나 에탄올과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 증가에 따라서는 흡수량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흡수 후 방출 거동을 관찰한 결과 상온에서 700시간으로 서방성 재료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콜로이달 골드 합성 및 스킨케어 화장품 응용 (Synthesis of Colloidal Gold and Application of Skin Care Cosmetics)

  • 김대섭;정승현;김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325-1334
    • /
    • 2021
  • 이 연구는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촉매제를 사용하여 콜로이달 골드를 합성하는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진 항노화 엠플에 응용하였다. 하이드로젠테트라클로로아우레이트테트라하이드레이트에 아스코르빅애씨드,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를 환원촉매제로 사용하여 나노 콜로이드를 합성하였다. 촉매제인 아스코르빅애씨드의 함량의 질량이 증가될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의 질량이 증가될수록 입자크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콜로이달 골드 반응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잔탄검과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100~500 nm의 입경분포를 가진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최적의 합성조건은 18℃, 20~75 mmHg의 감압상태, 교반속도 10~50rpm, 1~4시간동안 반응하여 획득할 수 있었다. 합성된 콜로이달 골드의 외관은 진한 핑크색, pH=5.5, 비중은 1.0032, 점도는 80~310 cps로 특이한 고유 냄새를 가지고 있었다. 스킨케어 화장료의 응용으로, 안티에이징 엠플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처방과 제형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