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en-peroxide

검색결과 2,190건 처리시간 0.03초

잡초(雜草)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대한 화학물질(化學物質)과 토양(土壤) 내(內) 종자매몰(種子埋沒)의 효과(效果)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and Burial of Seeds into the Soil on Dormancy-breaking of Weed Species)

  • 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5-303
    • /
    • 1998
  •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은 불량(不良)한 외부조건(外部條件)에 적응하기 위한 기작으로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있어서 많은 난점을 발생시킨다, 잡초종(雜草種)들의 발아(發芽)와 휴면(休眠) 현상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우점(優占)는 잡초(雜草)50여종의 잡초(雜草)에 대하여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와 종자매몰(種子埋沒)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NO_3$, thiourea, KOH, $H_2O_2$ 등의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는 휴면타파(休眠打破)보다는 비휴면(非休眠)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에 효과가 있었다. 2. Pectinase는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방동사니 대가리, 개구리자리 등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3. $GA_3$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왕바랭이와 개여뀌, 개구리자리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4. 7주(週)이상 토양(土壤)에 매몰(埋沒)되었던 잡초종자(雜草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변온(變溫)은 발아율(發芽率)에 상승작용(相乘作用)을 일으켰다. 그러나 매몰(埋沒)기간이 지속되면 발아율(發芽率)이 낮아져 이차휴면(二次休眠)에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마디풀과의 Persicaria속(屬)과 명아주과의 Chenopodium속의 식물은 토양(土壤) 매몰(埋沒)에 의한 휴면(休眠) 타파(打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실크 단백질의 식이 소재로서의 응용 (Application for Dietary Resources by Silk Protein)

  • 여주홍;이광길;권해용;한상미;박경호;김성수;신봉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10
    • /
    • 2006
  • 변비를 인위적으로 유도한 동물에 분자량을 다르게 한 실크 피브로인 및 세리신 단백질을 섭식시켜 식이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소화기 기능향상과 대장 관련 질환에 유효한 실크 피브로인 및 세리신 단백질의 평균분자량(Mw) 범위는 중성 염처리 피브로인의 경우 Mw 65,000 내외, 고압 정제 세리신은 Mw 108,000 내외였다. 2. 동물 소화력 탐색 실험에 있어서 저분자보다는 고분자량의 실크 단백질을 섭취한 동을 소화산물(변)에 수분 함량이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특히 고압 정제 세리신 섭취군의 경우는 원활한 소화산물의 배출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실크 단백질을 함유한 식이소재를 동물 섭식에 27일간 섭식 시킨 결과, 세리신 섭취 군의 경우가 변비 유도를 시킨 정상군에 비하여 확실한 유의차를 나타내어 대장 관련 식이소재 혹은 관련 식품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상어 껍질과 육으로부터 산 및 Pepsin 가용성 콜라겐의 추출과 탈색조건 (Extraction and Bleaching of Acid- and Pepsin-Soluble Collagens from Shark Skin and Muscle)

  • 김재원;김도균;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9
    • /
    • 2010
  •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0.1 M이었고, 추출시간은 각각 72시간 및 24시간 이었다. 산가용성 콜라겐인 ASSC (citric acid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ASMC (citric acid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 pepsin 가용성 콜라겐인 PSSC(pepsin and citric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PSMC (pepsin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에 함유된 총 단백질 함량은 각각 88.66, 83.09, 90.33 및 84.81% (dry basis)이었으며 시판 표준 콜라겐의 88.86%와 대등하였다.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은 ASC에서는 25.70~70.31%, PSC에서는 32.94~83.09%이었다. 상어육과 껍질 (dry basis) 100 g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콜라겐의 수율은 ASC는 53.85~57.22%, PSC는 20.81~23.28%이었다.

H9c2 심근세포에서 제주모시풀(Boehmeria quelpaertense)로부터 분리된 flavonoids의 H2O2로 유도된 독성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from the Boehmeria quelpaertense against H2O2-Induced Cytotoxicity in H9c2 Cardiomyoblast Cells)

  • 우경완;심미옥;박호;정호경;안병관;함성호;박종혁;조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18
  • 제주모시풀에서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2종의 flavonoid를 분리하여, $^1H$-, $^{13}C-NMR$, LC ESI-IT-TOF MS를 통해 구조동정 할 수 있었다. 분리된 물질이 심장세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활성 산소종의 작용기전 연구 및 심근경색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미 미생물용출에 의한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 용해 특성과 Fe 제거와 전기분해를 이용한 금속구리분말 회수 (The Characteristic Dissolution of Valuable Metals from Mine-Waste Rock by Heap Bioleaching, and the Recovery of Metallic Copper Powder with Fe Removal and Electrowinning)

  • 김봉주;조강희;최낙철;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7-222
    • /
    • 2014
  • 폐-광석으로부터 금속구리분말을 회수하기 위하여 더미 미생물용출, Fe 제거와 전기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Cu가 0.034% 함유된 폐-광석시료에 대하여 더미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Cu 용출률은 박테리아 용출-용액에서 61%, 황산 용출-용액에서 62%로 나타났다. Fe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더미 용출-용액에 NaOH, $H_2O_2$$Ca(OH)_2$를 각각 적용한 결과 $H_2O_2$가 가장 효과적인 Fe 제거제로 선정되었다. 전해질 용액을 준비하기 위하여 $H_2O_2$를 더미 용출-용액에 처리한 결과 박테리아 용출-용액에서 Fe가 99%, 황산 용출-용액에서 60%로 제거된 반면에 Cu 제거율은 각각 5%와 7%로 나타났다. 이 용액에 대하여 전기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Cu 회수율이 박테리아 용출-용액에서 98%, 황산 용출-용액에서 76%로 나타났다. 모수석 형태의 금속구리분말이 양쪽 용출-용액에서 회수되었다.

In Vitro 항산화능 측정법에 대한 특징 분석과 채소.과일 시료에 대한 적용 사례 고찰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 김민정;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53-1062
    • /
    • 2011
  • 건강한 삶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와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항산화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연물이나 식품을 소재로 한 식이성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천연물의 소재나 연구 분야의 폭이 매우 넓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 소재의 항산화능을 조사할 수 있는 측정법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약용 식물이나 상용 채소, 과일을 시료로 하여 여러 가지 radical이나 target molecule에 대한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생체외(in vitro) 측정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능 측정법의 특징을 분석하고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식품의 구성 성분은 단일물질이 아닌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측정법으로 항산화능을 평가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채소와 과일을 포함한 여러가지 식물성 식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실험에 사용되는 radical과 기전(mechanism), 실험 조건(온도, pH, 실험기기, 시료추출방법, 소요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측정법의 다양성과 사용 단위의 차이로 인해 각 시료의 항산화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항산화능 측정법의 표준화와 표현 단위의 통일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in vitro에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채소, 과일 등의 생체 내 활성은 다양한 biomechanism과 polymerphism으로 인해 그 효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in vitro에서의 항산화능 screening 결과를 바탕으로 in vivo에서의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부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큰잎모자반 효소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Sargassum coreanum)

  • 고석천;강성명;안긴내;양현필;김길남;전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94-4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갈조류 중 큰잎모자반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큰잎모자반으로부터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로부터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제조된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효소적 추출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Neutrase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당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Celluclast를 이용하여 제조된 효소적 추출물이 다소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러 가지 효소들이 복합되어진 효소가 세포벽에 있는 섬유질이나 당단백질 혹은 알긴산 고분자물질 등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수용성의 추출물은 유기용매 추출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잎모자반 효소적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은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상의 결과로 큰잎모자반은 잠재적인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Propofol protects human keratinocytes from oxidative stress via autophagy expression

  • Yoon, Ji-Young;Jeon, Hyun-Ook;Kim, Eun-Jung;Kim, Cheul-Hong;Yoon, Ji-Uk;Park, Bong-Soo;Yu, Su-Bin;Kwak, Jin-Wo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21-28
    • /
    • 2017
  • Background: The skin consists of tightly connected keratinocytes, and prevents extensive water loss while simultaneously protecting against the entry of microbial pathogens. Excessive 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can induce cell apoptosis and also damage skin integrity. Propofol (2,6-diisopropylphenol) has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propofol influences intracellular autophagy and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Method: The following groups were used for experimentation: control, cells were incubated under normoxia (5% $CO_2$, 21% $O_2$, and 74% $N_2$) without propofol; hydrogen peroxide ($H_2O_2$), cells were exposed to $H_2O_2$ ($300{\mu}M$) for 2 h; propofol preconditioning (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100{\mu}M$) for 2 h were exposed to $H_2O_2$; and 3-methyladenine $(3-MA)/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3-MA (1 mM) for 1 h and propofol were exposed to $H_2O_2$.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migration capability were evaluated. Relation to autophagy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Cell vi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_2O_2$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was improved by propofol preconditioning. Propofol preconditioning effectively decreased $H_2O_2$-induced cell apoptosis and increased cell migration. However, pretreatment with 3-MA inhibited the protective effect of propofol on cell apoptosis. Autophagy was activated in the $PPC/H_2O_2$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_2O_2$ group as demonstr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autophagosome staining.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opofol preconditioning induces an endogenous cellular protective effect in human keratinocytes against oxidative stress through the activation of signaling pathways related to autophagy.

Propofol protects against oxidative-stress-induced COS-7 cell apoptosis by inducing autophagy

  • Yoon, Ji-Young;Baek, Chul-Woo;Kim, Eun-Jung;Park, Bong-Soo;Yu, Su-Bin;Yoon, Ji-Uk;Kim, Eok-Nyu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37-46
    • /
    • 2017
  • Background: In oxidative stres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contributes to cellular dysfunction and initiates the apoptotic cascade. Autophagy is considered the mechanism that decreases ROS concentration and oxidative damage. Propofol shows antioxidant properties, bu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 of propofol preconditioning (PPC) on oxidative injury remain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PPC protects against cell damage from hydrogen peroxide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uences cellular autophagy. Method: COS-7 cel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control, cells were incubated in normoxia (5% $CO_2$, 21% $O_2$, and 74% $N_2$) for 24 h without propofol; $H_2O_2$, cells were exposed to $H_2O_2$ ($400{\mu}M$) for 2 h; $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propofol were exposed to $H_2O_2$; and 3-methyladenine $(3-MA)+PPC+H_2O_2$, cells pretreated with 3-MA (1 mM) for 1 h and propofol were exposed to $H_2O_2$.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thiazolyl blue (MTT) reduction. Apoptosis was determined using Hoechst 33342 staining and fluorescence microscopy. The relationship between PPC and autophagy was detec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Cell viability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H_2O_2$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improved by PPC ($100{\mu}M$). Pretreatment with propofol effectively decreased $H_2O_2$-induced COS-7 cell apoptosis. However, pretreatment with 3-MA inhibited the protective effect of propofol during apoptosis.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was higher in the $PPC+H_2O_2$ group than that in the $H_2O_2$ group. Conclusion: PPC has a protective effect on $H_2O_2$-induced COS-7 cell apoptosis, which is mediated by autophagy activation.

The Gene Encoding γ-Glutamyl Transpeptidase II in the Fission Yeast Is Regulated by Oxidative and Metabolic Stress

  • Kang, Hyun-Jung;Kim, Byung-Chul;Park, Eun-Hee;Ahn, Ki-Sup;Lim, Chang-Jin
    • BMB Reports
    • /
    • 제38권5호
    • /
    • pp.609-618
    • /
    • 2005
  •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EC 2.3.2.2.) catalyzes the transfer of the $\gamma$-glutamyl moiety from $\gamma$-glutamyl containing ompounds, notably glutathione (GSH), to acceptor amino acids and peptides. A second gene (GGTII) encoding GGT was previously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In the present work, the GGTII-lacZ fusion gene was constructed and used to study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S. pombe GGTII gene.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the GGTII-lacZ fusion gene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NO-generating SNP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wild type yeast cells. The GGTII mRNA level was increased in the wild-type S. pombe cells treated with SNP. However, the induction by SNP was abolished in the Pap1-negative S. pombe cells, implying that the induction by SNP of GGTII is mediated by Pap1. Fermentable carbon sources, such as glucose (at low concentrations), lactose and sucrose, as a sole carbon source, enhanced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the GGTII-lacZ fusion gene in wild type KP1 cells but not in Pap1-negative cells. Glycerol, a non-fermentable carbon source, was also able to induce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the fusion gene, but other non-fermentable carbon sources such as acetate and ethanol were not. Transcriptional induction of the GGTII gene by fermentable carbon sources was also confirmed by increased GGTII mRNA levels in the yeast cells grown with them. Nitrogen starvation was also able to induce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the GGTII-lacZ fusion gene in a Pap1-dependent mann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 pombe GGTII gene is regulated by oxidative and metabolic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