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polymer

검색결과 626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선 동시조사법을 이용한 고관능성 Hybrid Polyolefine 음이온교환섬유의 합성 (Synthesis of High Functionalized Anion Exchange Fibers Using Hybrid Polyolefine by $\gamma-Ray$ Mutual Radiation)

  • 조인희;곽노석;강필현;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0권3호
    • /
    • pp.217-223
    • /
    • 2006
  • 방사선 동시조사에 의해 폴리올레핀 복합 섬유 표면에 고관능성 아민화 이온교환섬유를 합성하였다.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그래프트율도 증가하였으며 GMA 농도 50%에서 그래프트율은 최대 365%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래프트 반응은 극성용매에서 일어나며 Mohr's salt, 황산의 함량 $1.0\times10^{-3}M$, 0.1 M에서 그래프트율은 최대 190% 이었다. 아민화 반응은 아민화제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메틸아민의 경우 반응성이 가장 좋았으며 트리에틸아민의 반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온교환섬유의 함수율과 이온 교환용량은 아민화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비표면적은 그래프트 반응과 아민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천연고무 배합물에서 가교형태 변화가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ross-linking Typ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in Carbon Black-Filled Natural Rubber Compound)

  • 박병호;정일권;박성수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01
  • 대표적 가교형태 변화에 따른 유사한 stress-strain 특성을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공정특성 및 전반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천연고무 기본 배합에서 촉진제나 황 공여체(sulfur donor) 증가에 따라 induction time은 길어지나, 가류속도는 빨라졌다. 가교계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영향은 매우 적은 반면 신장율은 conventional vulcanization (CV)계에서 efficient vulcanization (EV)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Blow-out이 발생하는 시간을 가교형태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CV

  • PDF

유기화 점토, 작용기화 그래핀 및 유기화 점토/작용기화 그래핀 복합체 등의 필러를 사용한 Poly(lactic acid) 나노 복합체의 물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Nanocomposites with Various Fillers: Organoclay, Functionalized Graphene, or Organoclay/Functionalized Graphene Complex)

  • 권기대;장진해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232-239
    • /
    • 2014
  • 용액 삽입(solution interca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나노 필러들을 포함하는 poly(lactic acid)(PLA)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유기화 반응 처리된 벤토나이트 점토(NSE), 옥타데실아민(ODA)을 산화 그래핀(GO)에 반응한 ODA-GO, 그리고 유기화 처리된 벤토나이트와 ODA-GO의 복합체인 NSE/ODA-GO 등이 PLA 복합체 필름을 얻기 위한 나노 필러로 각각 사용되었다. 3가지 나노 필러들은 0-10 wt%의 함량으로 사용되었고 PLA 복합체 필름들의 열적-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산소 투과도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얻은 결과에서 NSE/ODA-GO 복합체는 약간 뭉쳐있었지만, NSE나 ODA-GO 등의 필러들은 PLA 매트릭스에 분산이 매우 양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PLA 복합체 합성을 위해 사용된 3가지 필러 중에서, 열적 안정성에서는 NSE/ODA-GO가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기계적 인장 성질이나 산소 차단성에서는 각각 NSE와 ODA-GO가 가장 우수하였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phthalazinone ether sulfone ketone) (SPPESK)/Silica Hybrid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s

  • Kim, Dae-Sik;Shin, Kwang-Ho;Park, Ho-Bum;Lee, Young-M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413-421
    • /
    • 2004
  • Sulfonated poly(phthalazinone ether sulfone ketone) (SPPESK) membranes and sol-gel derived SPPESK/silica hybrid membranes have been investigated as potenti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pplic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SPPESK membrane, the SPPESK/silica membranes exhibited higher water content, improved proton conductivity, and lower methanol permeability. Notably, the silica embedded in the membrane acted as a material for reducing the fraction of free water and as a barrier for methanol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 From the results of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studies, we suggest that the fractions of bound and free water should be optimized to obtain desirable proton conductivities and methanol permeabilities. The highly sulfonated PPESK hybrid membrane (HSP-Si) displayed higher proton conductivity (3.42 ${\times}$ 10$^2$ S/cm) and lower methanol permeability (4.15 ${\times}$ 10$\^$7/ $\textrm{cm}^2$/s) than those of Nafion 117 (2.54 ${\times}$ 10$^2$ S/cm; 2.36 ${\times}$ 10$\^$6/ $\textrm{cm}^2$/s, respectively) at 30$^{\circ}C$. This characteristic of the SPPESK/silica membranes is desirable for future applications related to DMFCs.

High Efficiency AMOLED using Hybrid of Small Molecule and Polymer Materials Patterned by Laser Transfer

  • Chin, Byung-Doo;Suh, Min-Chul;Kim, Mu-Hyun;Kang, Tae-Min;Yang, Nam-Choul;Song, Myung-Won;Lee, Seong-Taek;Kwon, Jang-Hyuk;Chung, Ho-Kyoon;Wolk, Martin B.;Bellmann, Erika;Baetzold, John P.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4권3호
    • /
    • pp.1-5
    • /
    • 2003
  • Laser-Induced Thermal Imaging (LITI) is a laser addressed patterning process and has unique advantages such as high-resolution patterning with over all position accuracy of the imaged stripes of within 2.5 micrometer and scalability to large-size mother glass. This accuracy is accomplished by real-time error correction and a high-resolution stage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laser interferometers. Here the new concept of hybrid system that complement the merits of small molecule and polymer to be used as an OLED; our system can realize easy processing of light emitting polymers and high luminance efficiency of small molecules. LITI process enables the stripes to be patlerned with excellent thickness uniformity and multi-stacking of various functional layers without having to use any type of fine metal shadow mask. In this study, we report a full-color hybrid OLED using the multi-layered structure consisting of small molecules and polymers.

Cu-Phthalocyanine 유기장벽 두께에 따른 스핀소자의 전기적 특성 변화 양상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agnetic Tunnel Junctions with Different Cu-Phthalocyanine Barrier Thicknesses)

  • 배유정;이년종;김태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62-166
    • /
    • 2012
  • Fe(100)/MgO(100)/CuPc/Co 자성터널접합 소자의 온도에 따른 전압-전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비교적 우수한 Cu-Phthalocyanine(CuPc)의 유기박막을 에피성장된 2 nm MgO(100) 박막 위에 2~10 nm 두께로 적층하여 두 강자성 Fe(100)와 Co 전극 사이의 무기-유기 복합 절연격벽으로 이용하였다. 저온 77 K에서 측정된 거대자기저항현상은 CuPc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10 nm의 CuPc 두께의 경우 전하축적에 의한 쌍안정 스위칭 거동(bistable switching behavior)이 관찰되었다. 이 스위칭 거동은 약 240 K의 온도에 이르면서 점차 소멸되어 상온에서는 정류기와 유사한 비대칭적 전압-전류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MgO/CuPc 층상구조에대해 유기물 스핀소자의 절연격벽뿐만 아니라 Polymer Random Access Memory(PoRAM)를 위한 응용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다.

그래프트형 실록산 폴리올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Hybrid Waterborne Polyurethane by Using Graft Type Siloxane Polyol)

  • 임재우;임진형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69-574
    • /
    • 2009
  • 수분산 PUD 필름의 내스크래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카보네이트(PCD), 에스터(PCL), 실옥산(PDSBP)형의 폴리올을 혼성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을 합성하였다. 선형구조(Linear type)의 PUD보다 그래프트형(graft type)의 PUD가 유화입경이 커지는 경향이며, 이는 소수성의 실옥산 그래프트 구조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합성 PUD의 열적성질은 linear type의 PUD는 P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T_g$)는 증가하였으며, 열분해온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graft type PUD는 PDSBP의 양이 증가할수록 $T_g$는 감소하였고, 열분해온도는 거의 유사하였다. Graft type PUD는 PDSB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스크래치 특성 및 hardness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9 wt%의 PDSBP 폴리올이 혼성된 경우, 3.3 N의 내스크래치 특성과 9 H 이상의 연필경도를 가지는 우수한 PUD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eramic/glass-polymer based CAD/CAM materials: Effect of finishing and polishing techniques

  • Ekici, Mugem Asli;Egilmez, Ferhan;Cekic-Nagas, Isil;Ergun, Gulfe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2호
    • /
    • pp.128-137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different finishing and polishing techniques on water absorption, water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of ceramic or glass-polymer based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materials following thermocycling. MATERIALS AND METHODS. 150 disc-shaped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three different hybrid materials and divided into five subgroups according to the applied surface polishing techniques.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up to #4000 grit SiC paper grinding. No additional polishing has been done to the control group (Group I). Other polishing procedures were as follows: Group II: two-stage diamond impregnated polishing discs; Group III: yellow colored rubber based silicone discs; Group IV: diamond polishing paste; and Group V: Aluminum oxide polishing discs. Subsequently, 5000-cycles of thermocycling were applie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24 hours, 7 days, and 30 days of water immersion.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result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Tukey post-hoc tests. Besides, microhardness data were compared by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P<.05). RESULTS. Surface polishing procedur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ater absorption and solubility and surface microhardness of resin ceramics (P<.05). Group IV exhibited the lowest water absorption and the highest microhardness values (P<.05). Immersion periods had no effect on the microhardness of hybrid ceramic materials (P>.05). CONCLUSION. Surface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might negatively affect physical properties of hybrid ceramic materials. Nevertheless, immersion periods do not affect the microhardness of the materials. Final polishing by using diamond polishing paste can be recommended for all CAD/CAM materials.

Hybrid FRP Rod의 변형률을 이용한 축방향 변위추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ed Model for Axial Displacement of Hybrid FRP Rod using Strain)

  • 곽계환;성배경;장화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A호
    • /
    • pp.639-645
    • /
    • 2006
  • FRP(Fiber Reinforced Polymer)는 부식의 저항성, 고강도, 피로저항 능력 및 성형성 등에서 우수한 건설 신소재이다.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 센서는 전자기 저항, 작은 소재의 크기, 그리고 높은 내구성 등의 이점으로 smart sensor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FBG 센서의 변위 측정 기술 능력의 부족으로 현재까지는 변형률, 온도 등의 물리량 측정센서로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FRP와 FBG센서의 기능 복합화(Hybrid)를 통하여 smart FRP Rod를 개발 한 후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FBG센서에 의해 측정된 변형률 데이터를 신경망(Neural Network) 기법을 이용하여 변위 추정 모형을 개발함으로서 FBG 센서 단점인 변형률 계측만을 위한 센싱 역할을 극복하고자 한다. 인공신경망 모형은 MLP(Multi-layer Perceptron)로, 오차범위 0.001에 수렴 될 수 있도록 학습(training)을 실시하였다. 학습에는 비선형 목적함수와 역전파 학습(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의 검증은 UTM에서 측정된 변위 값과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 값을 비교함으로서 실시하였다.

고분자/그래핀 복합재료의 센서 응용 및 그래핀 함량이 센서 거동에 미치는 영향 (Chemical Sensors Using Polymer/Graphene Composite and The Effect of Graphene Content on Sensor Behavior)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25-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롤 공정으로 제작된 고분자(polydimethylsiloxane, PDMS)/그래핀(graphene) 복합재료를 기판으로 하여 간단한 표면처리 공정을 통해 센서를 구현하였고, 이 센서의 성능과 거동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고분자와 그래핀 파우더를 혼합한 전구체를 3-롤 공정으로 제조하였고, 이를 2-롤 공정에 도입하여 고분자/그래핀 기판 소재를 제조하였다. 나아가, 간단한 표면처리 공정을 통하여 센서의 요체가 되는 환형 다당류(cyclodextrin, CD)를 도입하였다. 표면처리의 유효성의 적외선 분광기를 통해서 확인하였고, 전기 신호 전달의 가능성을 옴의 법칙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간단한 형태의 센서를 구현하여, 분석 물질(methyl paraben, MePRB)을 도입하였을 때, 아주 낮은 농도 수준(10 nM)까지 감지 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그래핀의 함량이 낮을 경우 센서 측정이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높은 그래핀 함량에서 보여주는 그래핀 입자의 배향이 다소 억제되어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첨가제의 물리적인 배향이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보는 향후 유사한 시스템의 센서를 구현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