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aluronidase activity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6초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62-169
    • /
    • 2010
  • 도화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도화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500ppm에서 90.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BHT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4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 ppm에서 vitamin C와 유사한 30.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열수 추출물에 비해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 효과 측정으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에서 3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acrophage 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추출물 모든 농도에서 12시간 이후부터 NO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염증 유발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작약 레드참 꽃잎의 이온화원-푸리에 변환 질량분석과 기능성 연구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FT-ICR) MAS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Flower Petal from Pa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and Evaluation of its Functional Activity)

  • 김준현;최용복;이하정;김용희;김준환;심정민;손영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8-597
    • /
    • 2016
  •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compared to that of its roo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we conducted the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FT-ICR) MAS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We detected the 24 different types of ingredients from the 70% ethanol extracts of flower petal of p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The main compounds were quercetin glucopyranosides, methyl gallate, paonioflolol and kaemperol glucopyranosides. We further tested its functional activity.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87.9-90.4% at 0.1mg/ml. This result showed that these flower extracts have approximately 5-fold stronger antioxidant potential than a previous report with root extracts (Bang et al. 1999). The result of tyrosinase inhibition assay of Paeonia lactflora extract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arbutin except significantly higher effect in the coral sunset extract at 0.1% concentration. Hyaluronidase inhibition assay showed 76.5% inhibition at 5% concentration of this flower extract, indicating that Peaonia lactiflora flower extracts have the majo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brightening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se three Paeonia lactiflora species extracts might provide the basis to develop a new natural brightening agent.

도화(桃花, Pruni persicae Flos)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Pruni persicae Flos)

  • 이진영;안봉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63
    • /
    • 2012
  • Objectives : The solvent extracts of Pruni persicae Flos were investigated for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o apply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Methods : In this study, the fractions of P. persicae Flos were extracted with 70.0% acetone and purified using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s a result, eight fractions were isolated. We performed MTT assay,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 astringent activity assay, hyaluronidase inhibition assay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Results : For anti-oxidant effec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fraction (Fr.) 2-5, Fr.-8 isolated from P. persicae Flos was above 90.0% at 100 ppm respectively.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 like activity of Fr.-5 isolated from P. persicae Flos was 92.1% at 1,000 ppm.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Fr.-6 isolated from P. persicae Flos was about 83.3% at 1,000 ppm.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y related to the anti-inflammation effect was 94.0% for Fr.-4 isolated from P. persicae Flos at 500 ppm. In the anti-inflammation effect, the Fr.-4 isolated from P. persicae Flos inhibited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Conclusions :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fractions of P. persicae Flos has a great potential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with a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길경, 황기와 오미자 혼합추출물의 NO 억제활성과 Hyaluronidase 억제활성 효과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Hyaluronidase Activities from the Combined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stragalus membranaceus, and Schisandra chinensis)

  • 강창호;곽대영;소재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44-8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정된 53가지의 생약재로부터 NO와 HAse(hyaluronidase)의 억제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억제효과가 우수하다고 확인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와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을 최종 시료로 선정하였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유효성분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추출물의 최적조건을 확인하였다. 각 소재들을 1:2:1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에서 다양한 추출조건에 따라 단일 생약재 추출물에 비해 2배에서 4배까지의 수율 증가를 보였으며, NO 억제활성 효과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율과 NO 억제활성을 고려할 경우 혼합추출물의 최적 추출 조건은 황기, 오미자, 길경의 혼합비율 1:2:1, 추출시간 12시간, 추출온도 $30^{\circ}C$, 혼합 속도 50 rpm, 추출용매로 ethyl acetate이었다. 위의 최적 조건을 적용한 혼합추출물은 H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최초 추출물(not grinded, 95% EtOH, 24시간, 실온, 0 rpm)보다 약 16% 정도의 저해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길경과 황기, 오미자의 상승작용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황기와 오미자, 길경의 혼합추출물이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의 항산화,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yaluronidase 억제 활성 증대 (Elev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and hyaluronidase of Oplismenus undulatifolius by elicitor treatment)

  • 이은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21-22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물질유도제인 elicitor를 처리한 주름조개풀의 열수,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Aase 등의 미용관련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DPPH 및 PF 등의 항산화 효과는 elicitor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elicitor 처리구가 농도의존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용활성은 elastase 및 collagenase 억제 효과에 의한 주름개선효과와 tyrosinase 저해에 의한 미백효과가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주름조개풀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의 증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HAase 억제에 의해 유래되는 염증 억제 효과도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에 의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생리활성 효소에 대한 억제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유용물질의 산업화라는 전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biomass 기법으로 매우 적당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주름조개풀 노지재배 시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elicitor를 처리하면 수확되는 주름조개풀의 단위 무게 당 유용물질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생리할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산업화를 위한 고기능성 원료생산에 효율적인 재배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의 항염증, 항산화 효능 및 피부 장벽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Barrier Improvement of Lactobacillus rhamnosus-derived Exosomes)

  • 김희식;현종우;김민우;이지연;장준환;배준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99-30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2K-821 균주로부터 한외여과를 통해 엑소좀을 분리하고, 피부에 대한 여러 효능을 평가했다. 나노입자추적분석 결과 3.22 × 108 particles/mL 농도의 크기가 50 ~ 200 nm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LRDEs)을 확인하였다. 염증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LRDEs를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및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LRDEs는 항염증, 항산화 및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천연 화장품 소재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elation of Chitosan oligosaccharide-induced Melanin Production to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 Melanoma Cells

  • Yun, Yoon-Mi;Young, Cho-Nam;Kim, Kyung-Won;Lee, Ji-Yun;Kim, Chang-Jong;Soo, Sim-S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23.1-123.1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n oligosaccharide on skin care, we measur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and elastase and hyaluronidase activity. Chitosan oligosaccharide itself did not have any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nd did not affect the proliferation of B16 melanoma cells. Chitosan oligosaccharide dose-depednetly increased mealnin production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MSH. However, chitosan oligosaccharide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tyrosinase activity and tyrosinase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omitted)

  • PDF

연쇄구균의 세포벽 단백질이 L929 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ELL WALL PROTEINS OF STREPTOCOCCUS SPECIES ON MICROSTRUCTURAL CHANGES OF L929 CELLS)

  • 오세홍;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549-576
    • /
    • 1995
  • Bacteria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ative agents of the pulpal and periapical diseases. Streptococci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facultative anarerobic bacteria in the infected root canals. 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have a direct effect in the pathogenesis of the pulpal and periapical infections. Hyaluronidase produced by bacteria has been implicated in dissemination of the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ell wall extract of streptococci on the L929 cells using inverted microscope and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Hyaluronidase production of streptococcal strain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cell damage and the activity of enzymes. Bacterial cell wall extracts of S. sanguis, S. mitis and S. uberis isolated from infected root canals and ATCC type strains of S. mutans (ATCC 10449) and E. faecalis (ATCC 19433) were prepared by sonication and confirmed with SDS-PAGE. Silver stain of SDS-PAGE of sonic extract was efficient at $100{\mu}g$/ml concentration of cell wall protein, while Coomasie blue stain was efficient at $100{\mu}g$/ml concentration. Inverted microscope showed that sonic extract-treated L929 cells were round and detached from the substratum while others lost their fibroblastic shap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that streptococcal extracts induced death of L929 cells. Sonic extracts of streptococci had variable effect on microstructure of L929 cells. significant chromatin condensation was observed in the nucleus of the cells. Disappearance of cell surface microvilli and nuclear fragments with dense chromatin were observed. The cell nucleus had an irregular shape and numerous large vacuoles were seen in the cytoplasm and some breaks of the cell membrane could be seen. Cell organelles were in various stages of destruction and cristae of mitochondria were disoriented or disappeared. Eighteen strains of streptococci did not produce hyaluronidase.

  • PDF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로부터 추출된 phenolic 화합물의 hyaluronidase 억제 효과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ind Saururus chinensis)

  • 박기태;오상룡;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에서 92종의 한약재로부터 물과 ethanol을 용매추출물에 대하여 HA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E. officinalis(86.8%), T. orientalis(80.8%), C. semen(66.5%), M. azedarach(74.7%), S. pubescen (61.3%), S. chinensis(49.15%) 등이 높게 나타났다. Ethanol 추출물에서는 A. altissima와 S. chinensis 추출물이 90% 이상의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항염증 활성이 높게 측정된 S. chinensis가 선발되었다. 선별된 삼백초의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용매로 물과 ethanol을 선택하여 추출 최적조건을 살펴보았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50% ethanol을 사용하여 12시간 추출이 최적이었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해서는 ethanol이 물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삼백초 추출물의 염증억제 활성은 $100{\sim}250{\mu}g/mL$ phenolic 농도로 첨가했을 때 70~80%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 시 오히려 염증 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삼백초를 초미세 분쇄 하였을 때 추출 수율과 염증억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 기술은 한약재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추출수율의 증가를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린볼 사과(Green ball apple; Malus pumila Mill.) 적과의 항산화 및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저해 효과 (Inhibition effect against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 고유진;김예은;김현남;이은호;조은비;;권순일;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43-50
    • /
    • 2020
  • 그린볼 사과 적과의 phenolic compound를 50-200 ㎍/mL 농도로 처리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94.69과 92.24%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200 ㎍/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00.30과 99.16%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PF는 200 ㎍/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76, 1.76 PF를 나타내었다. TBARs는 phenolic compound 농도가 200 ㎍/mL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각각 101.46, 99.64%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염증에 관련이 있는 HA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150 ㎍/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33.28, 32.1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용식품활성을 나타내는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phenolic compound 농도가 200 ㎍/mL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각각 47.33, 40.92%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의 주름과 탄력에 관련이 있는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46.19, 65.58%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그린볼 사과 적과는 항산화, 항염증, 주름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