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Conjugated linoleic acid 황갈색의 인체암세포와 인체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Lack of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against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 지유철;안채린;서양곤;서정세;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99-1106
    • /
    • 2012
  • 체지방감소 효과가 있는 시판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색깔을 제거하고 이 색깔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황갈색의 시판 CLA 제품을 구입하여 crude CLA (c-CLA) 시료로 하였다. c-CLA 시료를 감압증류(10 mmHg-$220^{\circ}C$, 10 mmHg-$235^{\circ}C$, 10 mmHg-$240^{\circ}C$, 20 mmHg-$260^{\circ}C$; 30분)하여 증류된 CLA (distilled CLA; d-CLA) 시료와 증류되지 않고 남아있는 황갈색 CLA (residual CLA; r-CLA) 시료로 분리하였다. 10 mmHg-$220^{\circ}C$에서 증류하여 얻은 d-CLA 시료의 색깔은 L (brightness), a (red/blue), b (yellow/green)로 분석한 결과 무색에 가까웠고 r-CLA 시료는 황갈색이었고, 이들 두 CLA 시료의 CLA 이성체 조성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10 mmHg-$220^{\circ}C$에서 얻은 r-CLA 시료의 인체암세포(유방암 MCF-7. 폐암 A-549, 직장암 HT-29, 전립선암 PC-3)와 인체 정상세포(신경모세포 SK-N-SH)에 대한 세포독성을 d-CLA 시료와 비교하였다. 이들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r-CLA 시료와 d-CLA 시료 처리 2일 후의 세포독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10 mmHg-$220^{\circ}C$로 감압증류 하여 제거할 수 있었고, r-CLA 시료의 세포독성은 d-CLA 시료의 세포독성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세포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SKBR3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 추출물의 성장억제 및 항산화효과 (Growth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rude methanolic extract from Euonymus alatus (Thunb.) Sieb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 박영수;한지영;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4
    • /
    • 2005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추출물(CME)의 증식억제 효과, 세포사 유발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SKBR3 유방암세포주는 48시간동안 다양한 농도($0{\sim}20{\mu}g/m{\ell}$)의 CME가 제공된 곳에서 배양되었고, MMT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다. CM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6.5{\pm}0.3{\mu}g/m{\ell}$) 이며,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M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됨의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파편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ME가 ROS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들은 귀전우의 메탄올추출물이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해 강력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사를 유도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효능은 약물에 대한 노출시간과 투여량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귀전우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유방 암세포에서 Protein Kinase C 동위효소의 전위 (Translocation of Protein Kinase C Isozymes in the Breast Cancer Cell Line)

  • Won Chul Choi;Joo Young Son;Seok Jin Seo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38-647
    • /
    • 1998
  •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bryostatin, dioctanoyl glycero1 (DiC8)과 같은 Protein Ki-nase C (PKC)의 활성제는 세포질로부터 막이나 핵으로 PKC 동위효소의 전위를 유도한다. 활성화된 PKC는 일반적으로 암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그와 반대로 사람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KC의 항증식효과와 전위가 MCF-7 세포에서 조사되었다. PMA, bryostatin, DiC8로 활성화된 PKC 동위효소의 전위는 MCF-7 세포의 여러 장소에서 나타났다. PMA는 PKC $\alpha$$\beta$는 핵이나 핵막 그리고 PKC $\delta$$\varepsilon$은 세포막으로 일부 전위시켰고, 반면 DiC8과 bryostatin은 PKC $\alpha$$\beta$를 각각 핵과 핵막으로 전위를 유도하였다. PKC 활성제의 항증식 효과에 있어서 PMA ($IC_{50}$/ values of 1.2$\pm$0.3nM)와 DiC8 ($IC_{50}$/ values of 5.0$\pm$1.1$\mu$M)는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켰다. Bryostatin 역시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켰지만, PMA로 관찰된 것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즉 100nM bryostatin에 의해 16% 정도 성장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PMA는 bryo-stalin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PMA의 항증식 효과는 낮았으나, 10$\mu$M DiC8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는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각 PKC 동위효소들이 다른 특이한 위치로 전위되었으며, 특히 PKC $\alpha$ 동위효소가 세포성장의 항증식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PDF

사람 유방암세포주 MCF-7에 Paclitaxel 처치 후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 섭취 변화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 (In Vitro Study of Tumor Seeking Radiopharmaceutical Uptake by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after Paclitaxel Treatment)

  • 최준영;최용;최연성;이경한;김병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5호
    • /
    • pp.364-372
    • /
    • 2007
  • 목적 : 여러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이 암환자에서 치료후 반응을 보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paclitaxel 노출 시간에 따른 여러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의 유방암세포 섭취양상을 paclitaxel 노출 48시간까지 생존종양세포 수와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F-18-fluorodeoxyglucose, C-11-methionine, Tl-201, Tc-99m-MIBI, Tc-99m-tetrofosmin의 5가지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의 MCF-7 유방암세포에서의 세포섭취를 알아보았다. DMSO 노출 대조군, 다양한 paclitaxel 노출시간을 가지는 5가지의 실험군(노출시간 2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의 총 6가지 조건에서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을 60분간 섭취시킨 뒤 섭취율을 구하였다. Paclitaxel은 10 nM과 100 nM의 2가지 농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10 nM의 paclitaxel은 노출 48시간까지 MCF-7 세포의 살아 있는 세포의 비율을 약 75% 정도로 감소시켰지만, 종양세포의 5가지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 섭취는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100 nM의 paclitaxel은 노출 48시간까지 MCF-7 세포의 살아 있는 세포의 비율을 약 55% 정도로 감소시켰지만, 종양세포의 5가지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 섭취는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MCF-7 유방암세포주에서 종양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인 F-18-FDG, C-11-methionine, Tl-201, Tc-99m-MIBI, Tc-99m-tetrofosmin의 섭취율은 paclitaxel 투여 후 48시간까지 생존 종양세포 수의 감소를 반영하지 못한다.

국화과 약용 식물의 면역증진활성 검색 (Screening of immune enhancing activities in medicinal herbs, Compositae)

  • 이미경;문형철;이진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57
    • /
    • 2002
  • 국화과 약용식물들의 각 추출물은 정상세포에 대한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두 종류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의 경우, 국화과 Herb들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70%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60%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서는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4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6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8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암세포의 상대적 사멸도인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3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작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B 세포와 T 세포에 대한 생육촉진 실험 결과, Echinacea, 엉겅퀴의 증류수 추출물과 Echinacea 에탄을 추출물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배 이상, B-cell의 경우 1.5배 이상의 생육을 증진시켰으며, Echinacea 경우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sim}2.6$배 이상 B-cell의 경우 1.4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들의 IL-6와 $TNF-{\alpha}$의 cytokine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IL-6는 엉겅퀴의 에탄올 추출이 0.5mg/ml의 농도에서 96pg/ml의 분비량을 $TNF-{\alpha}$는 Echinacea의 에탄을 추출물이 94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hinacea의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간암 세포에 대한 산화는 추출물 투여 후 세포의 산화가 급격히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미루어 볼 때 국화과 약용식물들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자가분해에 의한 항암성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분리 (Isolation of Anticarcinogenic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s from a Submerged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ycelia by the Autolysis Process)

  • 김소영;김영숙;장정순;김보현;라키브 압두르;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16-1324
    • /
    • 2014
  • 신령버섯균사체(Agaricus blazei mycelia: ABM)를 대두박이 함유된 액체배지에 배양하고, 이것을 자가분해($53^{\circ}C$, pH 5.5, 120 rpm, 3 hr)하여 항암성이 강한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Gluvone 이라 명명)을 분리하였다. Gluvone은 지금까지 알려진 당단백질과는 달리 분자량이 작고(9,400 Da), isoflavone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Gluvone은 60% 탄수화물(glucose, fructose, ribose), 31% 단백질 및 2% isoflavone (daidzein, genistei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Gluvone은 S-180 복수암세포, MCF-7 인체유선암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였고,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복수암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Anticancer Activity of Extremely Effective Recombinant L-Asparaginase from Burkholderia pseudomallei

  • Darwesh, Doaa B.;Al-Awthan, Yahya S.;Elfaki, Imadeldin;Habib, Salem A.;Alnour, Tarig M.;Darwish, Ahmed B.;Youssef, Magdy 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551-563
    • /
    • 2022
  • L-asparaginase (E.C. 3.5.1.1) purified from bacterial cells is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as well as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the present study, the Burkholderia pseudomallei L-asparaginase gene was cloned into the pGEX-2T DNA plasmid, expressed in E. coli BL21 (DE3) pLysS, and purified to homogeneity using Glutathione Sepharose chromatography with 7.26 purification fold and 16.01% recovery. The purified enzyme exhibited a molecular weight of ~33.6 kDa with SDS-PAGE and showed maximal activity at 50℃ and pH 8.0. It retained 95.1, 89.6%, and 70.2% initial activity after 60 min at 30℃, 40℃, and 50℃, respectively. The enzyme reserved its activity at 30℃ and 37℃ up to 24 h. The enzyme had optimum pH of 8 and reserved 50% activity up to 24 h. The recombinant enzyme showed the highest substrate specificity towards L-asparaginase substrate, while no detectable specificity was observed for L-glutamine, urea, and acrylamide at 10 mM concentration. THP-1, a human leukemia cell line, displayed significant morphological alterations after being treated with recombinant L-asparaginase and the IC50 of the purified enzyme was recorded as 0.8 IU. Furthermore, the purified recombinant Lasparaginase improved cytotoxicity in liver cancer HepG2 and breast cancer MCF-7 cell lines, with IC50 values of 1.53 and 18 IU, respectively.

발계(Smilax china L.)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s of Smilax china L.)

  • 김예진;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1-698
    • /
    • 2013
  • 식품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물과 주정(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발계(SCR)의 열수 추출물(SCRW)과 에탄올 추출물(SCRW)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SCRW와 SCRE는 DPPH(SCRW; 72.9%, SCRE; 42.4%)와 ABTS(SCRW; 81.6%, SCRE; 50.3%)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BHA(53.8% DPPH, 49.5% ABTS)보다 더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 유래 신장 정상세포(HEK293)에 대해서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이 없음을 확인한 반면, 인체 유래의 암세포(유방암세포; MCF-7, 폐암세포; A549, 위암세포; AGS)에 대해서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항암제 CPA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SCRE는 AGS에 대하여 $1,000{\mu}g/mL$ 농도에서 53.6%로 탁월한 위암 세포 성장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발계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이 확인되어 약리활성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소재로써의 이용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 이미경;이현수;최근표;오덕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추출물 모두 1.0mg/m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5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78%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81%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에탄올 추출물들이 약 79%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 에서 1.0mg/ml 농도에서 5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복분자 열매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mg/ml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1.5배 이상 T세포의 경우 1.8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 추출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 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70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78.8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 염색하여 인간 면역T cell에 대한 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째부터 20%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낸 복분자 추출물들을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Heb3B)와 정상세포(HEL299)에 대한 대사(산화)활성도의 영향을 3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0.5mg/ml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 후 서서히 세포의 산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정상세포에 비하여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산화속도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각종 성인병과 관련된 효소들인 ACE, ${\alpha}-glucosidase$, GS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인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와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alpha}-glucosidase$의 작용의 경우 약간의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 못하였으며,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gul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GST 활성을 1.6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복분자를 기능성식품으로 개발 시 면역증진기능을 야기하는 기능성을 중심으로 면역증진활성을 지닌 제품을 중점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복분자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해당화 뿌리 추출물의 면역 증진 효과 (Screening of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osa rugosae Radix)

  • 이미경;이서호;최근표;유창연;이신영;이진하;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2003
  • 해당화 뿌리의 추출물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0%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6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66%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에탄을 추출물은 78%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물 추출물이 약 68%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4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해당화 뿌리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시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시료 투여 후 점차적으로 산화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 $1.2{\sim}1.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T세포의 경우 $1.2{\sim}1.5$배 이상의 생장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에탄을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61.3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에탄올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61.9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염색하여 인간 면역 T cell에 대한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4일째부터 15%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