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공공도서관의 재난대비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untermeasure Plan for the Disaster Protection in Public Library of Korea)

  • 김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85-110
    • /
    • 2006
  • 최근 세계 각 지역에서 지진과 태풍 및 쓰나미와 같은 각종 재난과 재해에 관한 뉴스가 보도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지진이나 테러 등의 영역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도서관 역시 많은 이용자가 출입하는 장소로 각종 재난의 대책을 미리 준비하여야할 기관이다. 이에 연구자는 서울. 대전, 전북지역의 공공도서관 75곳을 대상으로 비상시 재난대책에 관한 현 실정을 분석하였다. 각 도서관마다 재난의 유형별 발생 원인과 복구방안 등을 검토하였고, 도서관 운영 중 재난관리상의 요소와 시설 및 장비요구 인적담당요원의 고용과 배정실태 및 이용자를 위한 안전강좌의 시행과 교육방법등 4가지요소를 기초로 면밀히 조사 분석하였다. 검토 후 각 요소별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함께 그 해결방안 및 미래 재난대책을 위한 개선점과 제안점 등을 정리하였다.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89
    • /
    • 2008
  • 학교도서관에서 공간의 의미는 학교도서관 이용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여타 도서관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공간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서비스 공간을 지향하는 Information Commons 개념의 도입을 통해 학교도서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내 필수시설을 최소화하고 유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중심 디자인과 개방성을 지향함으로써 학교 내 커뮤니티와 수업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이용자 정보요구 및 정보행위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 김혜영;김기영;민윤경;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05-336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대학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가진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탐색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심층면담 참여자들은 사회, 교육, 연구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적합성, 최신성, 고유성, 신뢰성, 현장성, 편의성'의 6가지 특성을 띠는 심층적 정보요구를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매체와 인적자원, 그리고 장소매체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행위를 수행하는 가운데, 참여자들의 신분이나 주제분야, 소속대학을 뛰어넘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문제로서 '개개인의 미디어·정보활용역량 차이, 대학간 자원인프라 격차, 저작권과 소통채널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서비스 방향성으로 '개인화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서비스, 정보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장소매체로서의 도서관, 인적교류장소로서 자원인프라플랫폼, 접근성 높은 정보매체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기업체(企業體) 정보자료실(情報資料室)의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 방안(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Corporate Library and Information Units)

  • 김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52-79
    • /
    • 1995
  •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란 정보가 자산이라는 개념 하에 정보의 경제성에 기초를 둔 새로운 정보관리 방법이다. 이것은 정보기술(情報技術)의 발달로 정보의 중요성이 고조되면서 효율적인 관리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특히 기업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정보자원관리의 이론과 방법을 기업체 정보자료실의 정보관리에 적용하여 기업 정보관리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이 정보자원관리를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전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하는 데 기반을 두고,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를 담당해야 할 주체로 정보자료실(情報資料室)이 가장 적합하다는 전제 아래 기업체 정보자료실을 중심으로 한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 실행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의 이론과 실제를 문헌을 통하여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자원관리 모형을 구축하였다. 정보자원관리(情報資源管理) 모형은 정보자원 인벤토리, 정보요구분석, 정보비용의 측정, 그러고 정보가치의 평가로 이루어졌다.

  • PDF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f Five Laws of Libraries and its Influence on the Library Profession: Issues and Challenges

  • Krishnamurthy, M.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1-286
    • /
    • 2011
  • The role of information in knowledge society has changed. Library refers to information centre, which is actively involved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moting use of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ety. Modern libraries are the centres of interaction for all interested in accessing information and in participating in the marathon of the present competitive age. Information and a conducive environment of its free flow is a vital tool in all forms of human endeavour. It is the link pin of national development. For a nation to develop it needs to have and provide relevant, updated and adequate information on food security, health, democracy, population, education, family planning, youth empowerment, gender quality, environment etc. The information intermediaries are the persons to modulate these complexities and find match between the information sources and users needs to satisfaction of Ranganathan's law: Books are for use; Every reader his/her book; Every book its reader; Save the time of the reader; Library is a growing organism.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norms in modern context has been evident from experience, study, observations, discussions, etc., and only by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but also by managers, planners, and policy makers. They recognize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ir needs information needs. Libraries ar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provision and dissemination of such information. It is clearly visible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at the libraries in the knowledge society are much more than the book depositories This article looks at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particularly Ranganathan's contributions, basic statements remain as valid in substance if not in expression as -to-day as when they were promulgated, concisely representing the ideal service and organizational philosophy of libraries today.

디지털 환경에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 (A Study on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s in the Digital Environments)

  • 노지현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3호
    • /
    • pp.41-67
    • /
    • 2003
  •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의 역할과 기능이 커다란 변화에 직면하면서 그 본래의 가치보다 훨씬 평가절하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현재의 상황을 초래한 구조적인 원인을 밝혀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현단계 도서관목록이 안고 있는 각종 '부실'을 제거하고 '유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도서관 이용자가 자신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작은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는 논리적 경로로써 그동안 도서관목록은 본연의 역할에 얼마나 충실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연구는 우리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이 저하된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다음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편목 정책과 실무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ublic Libraries in Complex Facilities in Seoul)

  • 최문정;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7-101
    • /
    • 2016
  • 최근 새로운 형태의 공공도서관 즉, 타시설과 한 건물 혹은 한 대지에 같이 건립되는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이 부각되었다. 새로운 형태의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의 우호적인 지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와 요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의 운영전략 및 건립방안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28개관의 복합시설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만족도와 복합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복합시설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복합시설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인적자원, 정보자원, 서비스, 환경, 지역사회의 유대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복합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에게 더 만족할 수 있는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대한 편리한 접근성, 충분한 도서관의 규모 확보, 외부소음 방지 방안, 복합이용의 시너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타시설과 연계, 복합시설 내 타시설과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거시적 관점으로 분석한 경찰청 도서관 역할에 관한 연구: PEST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Library Analyze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Focusing on PEST Analysis)

  • 노윤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51-276
    • /
    • 2021
  • 2021년 경찰청은 자치경찰제 도입, 수사구조개혁, 국가수사본부 출범 등 명실상부한 책임수사 주체기관으로의 대전환 등 변혁기를 맞아 중요한 시기에 직면해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찰청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기 위해 거시적 환경분석 기법인 PEST 분석과 경찰청을 포함한 각 시·도 경찰청 및 부속기관의 도서관 운영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필수요소인 시설, 장서, 사서 즉 공간구성, 장서구성, 인적자원 그리고 추가로 도서관 운영 거버넌스 구축과 미래지향적인 도서관 서비스 등으로 구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경찰청 도서관의 미래지향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기업체 자료실 이용공간 및 정보서비스 활성화 전략 (KT 신사업기획본부 자료실 중심으로)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physical space and information service in KT library)

  • 김솔미;최민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8
    • /
    • 2005
  • 오늘날 정보자료의 디지털화 및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정보기술의 활용과 이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변화로 이용자들은 자료실에 직접 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물리적 공간을 단순히 자료열람의 공간으로서만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매우 필요하고 중요한 지적센터와 커뮤니케이션장으로 인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역할이 바뀌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이용자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도 잠재 이용자의 요구와 정보추구행태변화를 수용하여 이용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서비스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KT 신사업기획본부 자료실이 실제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크게 물리적 공간과 정보서비스 두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활용실태 및 관리모델 연구 (A Model to Utilize the Volunteer Service in Public Libraries)

  • 설문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258
    • /
    • 2002
  • 자원봉사의 활용은 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서, 활용 영역을 적극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자원봉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적극 활용하기 위한 관리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미국과 일본의 도서관 자원봉사 추세를 조사하였고 전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원봉사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단계별 자원봉사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공공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세부 관리 지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