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ized childre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2초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Prolonged Macrolide, Corticosteroid, Doxycycline, and Levofloxacin against Macrolide-Unresponsive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Children

  • Ha, Seok Gyun;Oh, Kyung Jin;Ko, Kwang-Pil;Sun, Yong Han;Ryoo, Eell;Tchah, Hann;Jeon, In Sang;Kim, Hyo Jeong;Ahn, Jung Min;Cho, Hye-Kyung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3호
    • /
    • pp.268.1-268.11
    • /
    • 2018
  • Background: We aimed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prolonged macrolide (PMC), corticosteroids (CST), doxycycline (DXC), and levofloxacin (LFX) against macrolide-unresponsive Mycoplasma pneumoniae (MP) pneumonia in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secondary treatment ag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ith MP pneumonia hospitalized between January 2015 and April 2017. Macrolide-unresponsiveness was clinically defined with a persistent fever of ${\geq}38.0^{\circ}C$ at ${\geq}72$ hours after macrolide treatment. The cas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PMC, CST, DXC, and LFX. We compared the time to defervescence (TTD) after secondary treatment and the TTD after initial macrolide treatment in each group with adjustment using propensity score-matching analysis. Results: Among 1,165 cases of MP pneumonia, 190 (16.3%) were unresponsive to macrolide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achieved defervescence within 48 hours in CST, DXC, and LFX groups were 96.9% (31/33), 85.7% (12/14), and 83.3% (5/6), respectively. The TTD after initial macrolide treatment did not differ between PMC and CST groups (5.1 vs. 4.2 days, P = 0.085), PMC and DXC groups (4.9 vs. 5.7 days, P = 0.453), and PMC and LFX groups (4.4 vs. 5.0 days, P = 0.283). No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ST, DXC, and LFX groups. Conclusion: The change to secondary treatment did not show better efficacy compared to PMC in children with macrolide-unresponsive MP pneumon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uide appropriate treatment in children with MP pneumonia.

Viral load and rebound in children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during the first outbreak in Daegu city

  • Chu, Mi Ae;Jang, Yoon Young;Lee, Dong Won;Kim, Sung Hoon;Ryoo, Namhee;Park, Sunggyun;Lee, Jae Hee;Chung, Hai L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12호
    • /
    • pp.652-660
    • /
    • 2021
  • Background: Viral load and shedding duration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transmissio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infection.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reported on viral load or shedd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fected with sudden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tural course of viral load in asymptomatic or mild pediatric cases. Methods: Thirty-one children (<18 years) with confirmed SARS-CoV-2 infection were hospitalized and enrolled in this study. Viral loads were evaluated in nasopharyngeal swab samples using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E, RdRp, N genes). cycle threshold (Ct) values were measured when patients met the clinical criteria to be released from quarantin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9.8 years, 18 (58%) had mild disease, and 13 (42%) were asymptomatic. Most children were infected by adult family members, most commonly by their mothers.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fever and sputum (26%), followed by cough and runny nose. Nine patients (29%) had a high or intermediate viral load (Ct value≤30) when they had no clinical symptoms. Viral loa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atients. Viral rebounds were found in 15 cases (48%), which contributed to prolonged viral detection. The mean duration of viral detection was 25.6 days. Viral loa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viral rebounds than in those with no rebound (E, P=0.003; RdRp, P=0.01; N, P=0.02).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many pediatric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xperienced viral rebound and showed viral detection for more than 3 week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ral rebound and infectiousness in COVID-19.

Rotavirus성 위장염 (Rotavirus Gastroenteritis)

  • 강정옥;박승함;김기홍;이근수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19
    • /
    • 1982
  • Fifty two infants and young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ith acute gastroenteritis from February through April 1982 were examined for the evidence of infection with rotavirus by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Of 52 patients examined, rotaviruses were detected in stools of 11 patients(21%) by EM technique and 16 patients(31%) by ELIS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Z=1.2<2). During the study period, rotaviruses were detected in stools of 6(38%) of 16 patients in February, 10(30%) of 33 patients in March, and none of 3 patients in April. The age of the 16 patients who shed the rotaviruses in their stools ranged from 3 months to 6 years, and 12 patients(75%) were between 6 and 24 month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rotaviral gastroenteriti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 might have similar frequency, seasonal variation, and age distribution with other countries in temperate zone.

  • PDF

천식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아동의 천식치료 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Asthm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 임소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9-19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sthm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Roy's adaptation theory as a framework and examining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adaptation to asthma treatment.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43 preschool children diagnosed with asthma and required to be hospitalized for inhalation therapy. An intervention group (n=23)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20) received regular treatment.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and evaluated from June 30 to October 31 2012, a maximum 3 times every 24 hours during hospitalization. Two nurses conducted the program using the teaching method of Gagn$\acute{e}$ and Briggs; instruction design theory through questionnaires to measure perception of disease, behavior of adaptation to treatment with inhalation therapy. Results: Effects of asthm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scores for face-pain rating decreased and time of adaptation to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perception of the disease's cause and treatment.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hm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asthma treatment of preschool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tems Linked to Clinical Assessmen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Park, Sang-Duk;Yi, Sook-Hee;Kim, Jeong-Soo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5-250
    • /
    • 2021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 and Youth version (ICF-CY) is designed to record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hildren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a child's environment on their health. Obj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ly extracted ICF-CY i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items. Methods: Thirty patients (17 males and 13 females) who were hospitalized in a pediatric and youth patient unit of a rehabilitation hospit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ur health professionals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wo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dependently linked the PEDI and GMFM-66 items to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domains of the ICF-CY. Results: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ICF-CY subdomains and the PEDI subdomains (r = 0.76-0.95; p < 0.05). There were positiv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ICF-CY subdomains and the GMFM-66 (r = 0.76-0.95; p < 0.05). Conclusion: The extracted ICF codes were a valid tool for evaluating the mobility and selfcare conditions of cerebral palsy in the pediatric rehabilitation area.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분리된 보카바이러스의 계통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Human Bocavirus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Korea)

  • 안종균;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2호
    • /
    • pp.71-78
    • /
    • 2012
  • 목적: 보카바이러스는 2005년 소아의 비인두 흡입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호흡기 바이러스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이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이용한 보카바이러스의 분리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2010년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보카바이러스의 계통 및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2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분자진단이 이루어졌고 이 중 보카바이러스 양성인 검체에 대하여 보카바이러스 1-4형에 특이적인 VP1/2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여 얻은 증폭산물의 염기서열분석을 확인하여 계통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953명의 소아 중 141명(14.8%)에서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61.7%에서 다른 바이러스와의 중복감염을 보였다. 염기서열분석 결과 모두 보카바이러스 1형으로 확인되었고 보카바이러스 2, 3, 4형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모든 보카바이러스의 염기서열들은 98% 이상의 염기유사도를 보였다. 결론: 2010년 국내에서 유행한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은 유전학적으로 모두 보카바이러스 1형에 의한 것이었고, 동정된 균주들은 높은 염기유사도를 보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보카바이러스의 변이는 미미한 상태이지만 향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의 유행시 지속적인 유전자형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 PDF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호흡기 감염의 원인: 중복검출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significance of codetection of the causative agents for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 노의정;장영표;김재경;임인수;박귀성;정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661-666
    • /
    • 2009
  • 목 적 : 최근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 방법의 발달로 중복검출에 대한 높은 비율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기 감염의 원인으로 중복검출에 대한 임상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9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비인두 흡인물의 호흡기 바이러스(AdV, RSV, PIV 1, 2, 3, IFA, IFB)의 항원과 배양 검사, 혈청의 MP 항체 측정(1:640 이상 혹은 4배 이상의 항체 상승시 양성으로 함), 비인두 흡인물의 MP PCR, CT 항원의 PCR 검사, enterovirus PCR 및 배양검사, 객담의 항산균 도말 염색 및 배양 검사를 받은 환아들 중 2가지 이상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아들의 임상 양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 과 : 1)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에서 2가지 이상의 양성을 보인 환아는 총 28명이었으며 남아가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2년 3개월(19일-13세), 6개월 미만이 11명이었다. 2) 중복검출의 원인 중 RSV가 14례, PIV 3 10례, AdV 10례, MP 8례, PIV 2가 7례, CT, PIV 3가 각각 3례였다. 중복검출되는 원인으로 RSV+PIV 2 6례, AdV+MP 4례, AdV+PIV 3, RSV+MP, PIV 1+PIV 3가 각각 3례였다. 3) 임상 진단으로 폐렴 19례, 세기관지염 16례, 후두염이 3례였으며, 4) MP, 호흡기 바이러스의 각각의 유행 시기에 이들에 의한 중복검출이 있었다. 결 론 : 소아의 급성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중복검출은 영아에서 흔하며, 원인으로 RSV, PIV, AdV, MP가 많았다. MP, 호흡기 바이러스의 각각의 유행 시기에 이들에 의한 중복 검출률의 빈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 방법의 발달로 중복 검출률이 높아지고 있어 이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0일 이상 90일 미만의 발열 영아에서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Empirical Antibiotics in Febrile Infants from 1 Month to Less than 3 Months)

  • 변정희;송보경;김영아;고훈;유석동;임택진;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2호
    • /
    • pp.91-100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30일 이상 90일 미만의 발열이 있는 영아에서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발열이 있는 이전에 건강했던 영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소견, 항생제 사용에 대해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다중 역전사 중합 연쇄반응검사로 검출하여 1-3일 후 보고되었고, enterovirus는 중합 연쇄반응검사로 검출하여 수시간 만에 보고되었다. 결과: 366명의 대상자 중 129명은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237명은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입원 전 발열기간이 긴 경우와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 아파보일 때, CRP 상승 시 경험적 항생제 사용이 많았다.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의 재입원율이 낮았다. Entero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검출된 대부분의 환자는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RT)-PCR 결과는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T-PCR은 항생제 처방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enterovirus PCR은 항생제 처방에 영향을 주었다. Respiratory virus multiplex RT-PCR 결과가 신속하게 보고된다면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2005년 하절기에 충남지역 소아에서의 장바이러스 감염원인 (Cause of enteroviral infection in children in chungnam area summer, 2005)

  • 전세윤;최석주;김용배;남해선;박귀성;백경아;박준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186-1193
    • /
    • 2006
  • 목 적 : 장바이러스 감염은 하절기에 소아에서 비교적 흔하게 일어나는 바이러스 감염이다. 임상증상으로 비특이적인 열, 무균성 뇌수막염, 위장관 질환, 피부 발진, 수족구병 등을 일으키며 드물게 심근염, 심외막염, 횡단성 척수염, 사지마비 등 치명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장바이러스 유행에 대한 보고는 있었으나, 충남지역에서 장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조사 및 연구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2005년 5월부터 8월까지 장바이러스 감염으로 의심되어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에 입원한 소아를 대상으로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원인 바이러스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같은 기간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자 중 임상적으로 장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었던 환아 157명을 대상으로 입원 후 급성기에 뇌척수액 또는 분변을 채취하여 장바이러스 세포병변효과 관찰 및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동안 장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어 입원하였던 환아는 157명이었고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환아는 32명(20.4%)이었다. 양성 환아 중 남자가 20명, 여자가 12명으로 남녀비는 1.67:1 이었다. 이들의 임상증상은 발열이 93.7%로 가장 많았으며 두통(90.0%), 뇌막자극증상(65.0%), 복통(30.0%) 순이었다. 분리된 장바이러스는 Echovirus 18형 17례, Coxsackievirus B5형 6례 였으며, 그 외 Echovirus 9형 2례, Coxsackievirus A6형 1례, Coxsackievirus B3형 1례 분리되었으며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5례였다. 결 론 : 이번 연구로 Echovirus 18형을 국내 최초로 분리하였으며, 2005년 하절기에 충남지역에서 Echovirus 18형을 포함한 여러 장바이러스 감염 원인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장바이러스 감염 환아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지속적인 역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leal Perforation with Norovirus Gastroenteritis in a 3-Month-Old Infant

  • Wi, Seol Woo;Lee, Su Jin;Kang, Eun Kyeong;Cho, Sung Mi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2호
    • /
    • pp.130-133
    • /
    • 2017
  • Noroviruses have been recognized as the leading cause of epidemic and sporadic gastroenteritis since the advent of molecular diagnostic technique. They have been documented in 5-31% of pediatric patients hospitalized with gastroenteritis. Although norovirus gastroenteritis is typically mild and self-limited, it causes severe, but sometimes fatal, conditions in the vulnerable population such as immunocompromised patients, young children, and the elderly. Bowel perforation due to norovirus infection is rare. We report a case of small bowel perforation with norovirus gastroenteritis in the infant with Down syndrome during the hospitalization with pneumonia. Severe dehydration may cause bowel ischemia and could have triggered bowel perforation in this case. Physicians should be alert to the potential surgical complications followed by severe acute diarrhea, especially in high risk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