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ticultural activity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9초

파인 오일과 수산화동 혼합물에 의한 고추 세균점무늬병과 탄저병의 방제 효과 (Protective Activity of the Mixtures of Pine Oil and Copper Hydroxide against Bacterial Spot and Anthracnose on Red Pepper)

  •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11-215
    • /
    • 2014
  • 본 연구는 파인 오일과 수산화동의 혼용에 의한 고추의 세균성 점무늬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파인 오일만 단독 처리한 경우 발병엽률 59.6%와 방제 효과 28.9%로 나타났지만 파인 오일과 수산화동을 4:1로 혼용 처리하였을 때 발병엽률 20.0%와 방제효과 76.1%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파인 오일만 단독 처리한 경우 발병률 79.1%와 방제 효과 7.4%로 나타났지만 파인 오일과 수산화동을 4:1로 혼용 처리하였을 때 발병률 49.9%와 방제 효과 41.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추의 세균성 점무늬병과 탄저병의 발병을 파인 오일과 수산화동을 4:1로 혼용 처리함으로서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Identification of Plant Response to the Human Behavior of Crushing Plants

  • Kim, Kwang Jin;Kim, Hyeon Ju;Son, Deokjoo;Jeong, Na Ra;Yun, Hyung Gewon;Han, Seung Won;You, Soojin;Kim, Chan-joong;Lee, Seon Hw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93-600
    • /
    • 2019
  • We identified how plants affected by the human behavior of crushing plants respond and what kind of plants responded sensitively. We investigated Lactuca sativa "Gaesebadak", Syneilesis palmata and Peucedanum japonicum as plants that humans use for edible purposes, and Achyranthes japonica and Bidens bipinnata as wild plants that stick to people's clothes and disperse seed. Plants exposed to human breathing air were compared with those exposed to human breathing air after being crushed. Methyl jasmonate (MeJA), a chemical word, was measured using Syft/MS, which detects real-time VOC, and related genes were analyzed. The amount of MeJA of Syneilesis palmata and Peucedanum japonicum as edible plants was greater than that of non-edible plants that disperse seeds using humans. The amount of MeJA ranged from 0.20 ppb to 0.35 ppb when the control group were not exposed to human breathing air. On the other hand, MeJA decreased after increasing for the first hour in human breathing air. Also, MeJA affected by human breathing after crushing plants was higher than that affected by just human breathing air. Peucedanum japonicum showed the most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with human breathing after crushing plants and the treatment with just human breathing. In addition, the gene activity of JAR1 and JMT increased 3 hours after the treatment with human breathing after crushing plants. Therefore, in the treatment with human breathing after crushing plants, the concentration of MeJA and the activity of related genes showed the same tendency to increase. As a result, the plant that responded sensitively to human behavior was Peucedanum japonicum. Plants released MeJA as a chemical word in the treatment with human breathing air after crushing plants.

국화과 식물 16종 지상부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탐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Effects of Aerial Part Extracts Obtained from Sixteen Compositae Species)

  • 우정향;신소림;장영득;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71-278
    • /
    • 2009
  • 본 연구는 국화과 식물 16종 지상부의 페놀성물질 함량, radical 소거능, $Fe^{2+}$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적합한 식물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먼캐모마일의 지상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에키나세아 지상부 추출물, ABTS radical 소거능은 산비장이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15종의 국화과 지상부 추출물은 ascorbic acid와 BHT 보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낮았으나, 산비장이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와 BHT 보다 우수하였으며 알프스민들레, 에키나세아 및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BHT 보다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았다. $Fe^{2+}$ chelating 효과는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에서 기장 높았으나, EDTA보다 chelating 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등골나물 추출물에서 기장 높았으며, 반응 4일 후에는 90.06%, 24일 후에는 40.52%의 억제활성을 보여 BHT 보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높고 오랫동안 억제활성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꽃을 위주로 사용하였던 저먼캐모마일의 잎줄기가 항산화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차후 저먼캐모마일 지상부의 활용방안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식물종에 따라 우수한 항산화활성이 각기 다르므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목적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에 맞는 식물성 항산화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 안제준;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료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훈련받은 치료사(Horticultural Therapist)가 실시하는 원예활동에 대상자가 참여하는 치료(Therapy)의 공간으로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원예치료는 대상자의 치료를 위한 '의학모형'이며 원예치료정원은 대상자와 원예치료사의 활동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특성화된 공간임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의도적 표집에 의해 모집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Delphi)기법과 AHP기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각 평가지표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과 원예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관련 공무원 75.2%, 원예치료사 87.8%로 두 직군 모두 원예치료정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원예치료를 실시함에 있어서 치료정원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두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4개의 원예치료정원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셋째, 가중치가 적용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계층분석기법을 적용, 각 지표별 상대적 중요도 및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프로그램의 계획과 활용',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가능한 환경', '보편적 디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하여 종합가중치를 활용하였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은 평가점수에 AHP를 이용한 종합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토대로 가중치와 변환점수를 분석하여,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점수표'를 최종 작성하였다.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표를 활용하여 기존에 조성된 원예치료정원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개선점을 도출할 경우, 전문가의 의견에 따른 항목별 중요도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사항별 중요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원예치료정원의 신규 조성 시에도 계획단계에서 원예치료 활동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주요 지표를 미리 파악함으로서 가이드라인이 설정이나 기타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ink oyster mushrooms (Pleurotus djamor var. roseus) grown on a paddy straw substrate

  • Raman, Jegadeesh;Lakshmanan, Hariprasath;Jang, Kab-Yeul;Oh, Minji;Oh, Youn-Lee;Im, Ji-Ho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9-200
    • /
    • 2020
  • Pleurotus djamor var. roseus is an edible mushroom isolated from the wild and cultivated on paddy straw substrat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 djamor var. roseus at different growth stages (primordia, basidiomata, and mycelia). The protein content was is in the range of 31.48 to 35.50 g/100g dw. The crude fiber content ranged from 8.0 to 14.60 g, and that of total carbohydrates ranged from 44.75 to 48.90 g. Sodium, magnesium, and calcium reached the maximum levels in basidiomata, and selenium was detected in basidiomata and mycelia (0.47 - 0.22 mg/Kg). The amino acid profile showed that all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glycine showed maximum levels in basidiomata and 15.98 ± 0.01 g/100g. The fatty acid profile showed the presence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maximum in all of the samples, ranging from 76 - 40.41%.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the scavenging (DPPH), ferric thiocyanate (FTC), and thiobarbituric acid (TBA)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rimordia, basidiomata, and mycelium were determined. Among them, basidiomata and mycelial methanol extracts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Overall, these findings show that P. djamor var. roseu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daily consumption.

Analysis of Urban Agricultural Effects by Factors According to the Urban Citizens Income Level: Socially Sustainable Effect, Negative Effect,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Effect

  • Hong, In Kyoung;Chae, Young;Jang, Yoonah;Lee, Sang-Mi;Su, Jung Nam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61-471
    • /
    • 2018
  • The role of urban agriculture should not be limited as a small-scale crop cultivation activity as it was, but it has to be considered as an entire process of a agriculture activity for the restoration of the city commun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urban lifestyle and urban farming preference, considering the overall improvement in standard of living after implementation of five day work week system. It was conducted for urban citizens who were interested in actual urban agriculture for ages 19 and over who visited the Korea Urban Agriculture Exhibition in 2018. Only 115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urban agricultur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effect, the variables that deteriorate the validity were removed and 15 variables of the urban agricultural effec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socially sustainable effect, negative effect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effec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urban agriculture depending on income level, the one-way ANOVA, which is a statistical technique for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sample means, was performe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people, the recovery of humanity through communion with nature, and the vitalization of agriculture linked with local agricultu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come level. The negative effec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come level.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n impact in relation with income level. We expect that there will be more studies on policies for the new types and models of urban agriculture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urban citizens to approach it.

Inhibition Activity of Plants on IgE-mediated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 Lee, Seung-Eun;Jeong, Hye-Gwang;Lee, Dae-Young;Lee, Jeong-Hoon;Choi, Jehun;Kim, Geum-Soog;Noh, Hyung-Jun;Lee, Jae-Won;Kim, Seung-Yu;Ahn, Young-Sup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8-726
    • /
    • 2015
  •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fifty plant extracts on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the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 (RBL-2H3 cells) were measured; the release of interleukin (IL)-4 and β-hexosaminidase from IgE-sensitized cells treated with the plant extracts was measured; and the effects of the plant extracts on cell viability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lant extracts at 20 μg/ml, including the aerial part of Magnolia sieboldii K. Koch, exhibited suppressive activities upon the release of IL-4. Furthermore, several plant extracts including methanol extracted from Lindera erythrocarpa Makino (aerial part) at the sam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Twenty-six of the plant extracts, including methanol extract of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branch), showed a cell proliferation effect of over 80% at 100 μg/ml.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f/stem of Geum japonicum Thunb. and the stamen/ovary of Nelumbo nucifera Gaertn., which exhibited effective inhibition on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IL-4 release from mast cells and showed high cell viability, could be useful candidates as anti-allergy materials.

Streptococcus pyogenes 유래 cyclomaltodextrinase 유전자의 발현 및 효소 특성 (Functional expression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cyclomaltodextrinase from Streptococcus pyogenes)

  • 장명운;강혜정;정창구;오규원;이은희;손병삼;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08-215
    • /
    • 2017
  • Streptococcus pyogenes ATCC 700294 유전체로부터 cyclomaltodextrinase (SPCD)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SPCD는 총 56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66.8 kDa의 효소이며, 기존에 알려진 CDase 계열 효소들과 37% 미만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SPCD 유전자를 클로닝하였으며, 대장균 내에서 카복시 말단에 6개의 histidine 잔기가 결합된 dimer 형태로 발현 및 정제되었다. SPCD는 pH 7.5, $45^{\circ}C$의 반응조건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eta}$-cyclodextrin, starch, maltotriose를 기질로 반응하여 maltose를 주산물로 생성하였다. 또한 pullulan을 panose 단위로 분해하며, acarbose를 glucose와 acarviosine-glucose로 가수분해하는 CDase 계열의 효소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SPCD는 다른 효소에 비해 저분자 소당류인 ${\beta}$-cyclodextrin에 대한 활성이 매우 높고, starch 및 pullulan과 같은 고분자 기질에 대해 매우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maltotriose 분해 활성이 매우 낮은 반면 acarbose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수분해 활성을 가지나, 당전이 활성은 매우 낮아 다른 CDase 계열 효소들과 구별된다.

국내 수집 야생버섯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Korean wild mushrooms)

  • 안기홍;한재구;김옥태;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0
    • /
    • 2021
  •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지에서 수집된 야생버섯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야생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10종의 야생버섯류 중에서 영지(OK1362)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3.2%), 총 폴리페놀 함량(28.9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0.0 mg QE/g)철 환원 항산화능(0.134), 환원력(0.155), 아질산염 소거능(56.3%)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그 이외에도 아까시흰구멍버섯(OK1360), 광대버섯속의 A. lanigera (OK1398), 졸각무당버섯(OK1406)이 높은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영지(OK1362)가 25.2%를 나타내며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구름버섯속의 T. lactinea (OK1457)가 24.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류 중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IgE로 감작된 RBL-2H3 세포에서 버섯자원의 항알레르기 활성 탐색 (Study on the anti-allergy activity of mushrooms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 이승은;노형준;최재훈;김금숙;이대영;김승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의 IL-4과 ${\beta}$-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IL-4 분비에 대해서는 팽이버섯 물추출물 등 5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해서는 영지버섯의 물추출물 등 8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에 대해서는 잎새버섯의 물추출물등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물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및 IL-4 분비에 대해 모두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2, 10, 50 ug/ml에서 실험된 영지버섯, 편각영지버섯, 눈꽃동충하초, 상황버섯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물추출물들은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때, 이들 in vitro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버섯 추출물들은 추가실험을 통해 항알레르기 소재로의 활용성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