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deum vulgare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4초

보리(Hordeum vulgare) 추출물의 항변이원성 (Studies on the Antimutagenicity of extract from Barley (Hordeum vulgare))

  • 이은주;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68-474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imutagenicity from Barley (Hordeum vulgare). In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In vitro test), the extract of Barley (Hordeum vulgare) inhibited mutagenic activity of 4-NQO and Trp-p-1 with 59 mix.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In Micronucleus test (In vivo test), the methanol extract of Barley (Hordeum vulgare) inhibited micronucleus formation in bone marrow by cyclophosphamide. The $\beta$-glucan of Barley (Hordeum vulgare)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59-77% in mutagenic activity of 4-NQO by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he mutagenicity of Trp-p-1 with S9 mix. by Salmonella typhimurium TA98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24-56%. The methanl extract (M) was fractionated with ether (MI), ethylacetate (M2), buthanol (M3) and water (M4). The Antimutagenicity of Trp-p-1 with 59 mix. by Salmonella typhimurium TA98 in Barley fraction showed the following: methanol extract (99.58%)>ether fraction (98.05%)>buthanol fraction (56.90%)>water fraction (56.72%)>ethyl acetate fraction (28.72%). Among them, ether fraction in TA 98 showed strong antimutagenicity effects (85.56%, 98.05%) against mutation induced by 4-NQO and Trp-p-1. As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increased (1.25~5 g/kg/10 cc), micronucleus formation in bone marrow by chemical mutagen (CP)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50% (p< 0.05).

  • PDF

S. mutans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 및 탐식작용조절 (Antibacterial and phagocytosis control of natural extracts on S. mutans)

  • 김민영;황혜정;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13-1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치아우식원인균인 S. mutans에 미치는 항균 및 탐식작용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산 새싹보리가루와 솔잎가루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와 탐식작용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mutans 집락형성은 새싹보리 추출물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으나, 솔잎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HP-1 세포의 S. mutans에 대한 탐식작용을 확인한 결과, 새싹보리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솔잎 추출물에서는 면역세포의 탐식작용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솔잎 추출물은 치아우식예방을 위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리 (Hordeum vulgare L.) 유식물의 녹화에 미치는 오존의 영향 (The Effects of ozone on the greening of barley (Hordeum vulgare L.) seedling)

  • 박강은;정화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45-553
    • /
    • 1996
  • The effects of 0.2 ppm ozone on the developing chloroplast of barley (Hordeum vulgare L.) seedling during greening were examined by chlorophyll contents, photosynthetic electron tiansport activity, Fo, Fv and fluorescence quenching coefficient. Chlorophyll contents of seedling treated with ozone were not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during the 96 h greening experiment, but PS II activity of the chloroplasts of seedlings treated with ozone was decreases by- l5%. Fo was slightly decreased but Fv was decreases by 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In fluorescence quenching analysis, qP and qE were decreased by 11% and 9%,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on site of PS II is the site affected mostly and PQ pool is also affected slightly by 0.2 ppm ozone.

  • PDF

표고버섯과 보리에서 추출한 ${\beta}-glucan$이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glucan$ from Lentinus edodes and Hordeum vulgar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송지영;윤기주;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02-807
    • /
    • 2001
  • 표고버섯과 보리에서 추출한 ${\beta}-glucan(M500,\;B500)$을 Alloxa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6주령의 ICR 마우스에 10 일간 경구 투여를 실시하고 식이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 혈액과 간장 중의 지질 성분 및 각종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서 B500군과 M500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2 배에 가까운 식이 섭취량이 관찰되었으나 이에 따른 체중 변화는 시료 투여군에서 당뇨 대조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혈중 포도당 농도는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실험기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나, B500군과 M500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p<0.05).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약 1.7배 정도 증가하였다. B500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M500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0.05). 혈액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에서 표고버섯과 보리의 ${\beta}-glucan$을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체중 및 혈중 포도당 농도가 감소되었고, 특히 보리 ${\beta}-glucan$은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표고버섯과 보리의 ${\beta}-glucan$이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오존이 보리(Hordeum vulgare L.) 엽록체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zone on Photosynithetic Activity in Chloroplast of Barley (Hordeum vulgare L.))

  • 정화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99-407
    • /
    • 1995
  • 보리(Hordeum vulgare L.) 유식물의 녹화시기에 따라 오존이 엽록체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백화된 보리 유산물을 녹화하는 중에 오존(0.5 ppm과 1.0 ppm)을 4시간 동안 처리하여 엽록소 함량, 광계 I과 II 활성 및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였다. 녹화를 시작하므로 엽록체가 발달되는 초기에 오존이 미치는 영향은 24시간 녹화구에서 엽록소 함량을 많이 감소시켰으나 48시간 녹화한 경우에는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24시간 녹화구에서는 처리한 오존의 농도가 0.5 ppm에서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Fo, Fv, Fm 및 qE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Fv/Fo와 qPsms 감소하지 않았으며, 48시간 녹화구에서는 Fo, Fv, Fm 및 qE가 많이 회복되었다. 엽록체의 발달 증가에 오존이 미치는 영향은 오존의 농도가 0.5 ppm에서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광계 II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광계 I활성은 감소시키지 않았고, Fv와 Fv/Fm 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형광 소멸 분석에서는 qP와 qR이 특히 많이 감소하였다.

  • PDF

NaCI이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엽록소 형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I on the Chl Fluorescence of Barley (Hordeum vulgare L.) Leaves)

  • 정화숙;임영진;박강은;박신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15-102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 barley(Hordeum vulgare L.) 7 day old seedling treated with 0.2M, 0.4M, 0.6M, 0.8M, and 1.0M NaCI concentration containing Hepes buffer(pH 7.5). Barley was affected by NaCI treatment. The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of barle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I concentration. However,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of barley were not greatly influenced by o.8M and 1.0M NaCl. Fv, Fv/Fm and qP were gradually decreased by higher concentration of NaCI. qP, qNP, qR and qE were gradually decreased by 6hr. During barley chloroplast was development NaCI affected chlorophyll synthesis than photosynthetic activity. Whereas barley seedling leaves were more influenced photosynthetic activity than chlorophyll contents by NaCI.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새싹보리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process of Hordeum vulgare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재준;박대희;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49-956
    • /
    • 2017
  • 본 연구는 새싹보리를 이용하여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생리활성물질의 최적 추출구간을 설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에탄올 농도(0-100%), 마이크로웨이브 전력(60-300 W), 추출시간(4-20분)을 종속 변수로 설정한 후, 빠르고 추출 수율이 좋은 마이크로웨이브추출법을 이용하여 16구의 다른 추출 조건을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설정하여 새싹보리를 추출하였다. 이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R^2$는 0.9 이상으로 5% 수준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폴리페놀의 최적 추출조건은 에탄올 농도 58.94%,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209.04 W, 추출시간은 18.17분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52.7%,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73.03 W, 추출시간은 5분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소거능 활성의 경우, 에탄올 농도 75.84%,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210.79 W, 추출시간 은 6.5분으로 나타났다. 조건에 따른 TPC, TFC 그리고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의 예측값은 각각 3.84 mg GAE/g, 3.00 mg RE/g 그리고 35.43%의 수치를 나타냈다. 최적 범위 내 임의의 점, 즉 에탄올 농도 40%,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120 W, 추출시간은 18분에서 실험값은 3.38 mg GAE/g, 2.64 mg RE/g, 그리고 37.94%를 나타냈으며 예측값과 실제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