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lderly People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6초

예방의학을 위한 Smart-Telemedicine 시스템과 비즈니스 모델의 설계와 분석 (Smart-Telemedicine System Design and Business Model Analysis for Longitudinal Healthcare)

  • 김찬영;권두순;이재범;김진화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9
    • /
    • 2012
  • 최근 의료서비스 추세는 소비자의 교육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의료기관이 추구하는 일방적인 형태의 의료서비스에서 벗어나 보다 차별화되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리가 가능한 능동형 의료서비스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텔레메디슨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한 혈압, 혈당, 심장박동, 체온 측정기 등에 블루투스와 이동통신 모듈의 결합을 통해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환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환자의 건강 상태 패턴을 분석하여 예방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한 능동형 유비쿼터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의료서비스 환경이 상호 연결되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스마트폰과 모바일 의료검진 디바이스를 통해서 양방향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등장하는 스마트 텔레메디슨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환자들이 효과적인 의료 검진을 위해 장시간 이동하고 대기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의 종적 건강 데이터관리를 통해서 환자 스스로가 건강관리를 하게 한다. 또한 개인화된 맞춤형 예방 건강관리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의료서비스 비즈니스 상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방의학적인 스마트 텔레메디슨 시스템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와 분석 및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stimated Evacuation Time for the Emergency Planning Zone of the Kori Nuclear Site, with a Focus on the Precautionary Action Zone

  • Lee, Janghee;Jeong, Jae Jun;Shin, Wonki;Song, Eunyoung;Cho, Cheol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196-205
    • /
    • 2016
  • Background: The emergency planning zone (EPZ) of the city of Busan is divided into the precautionary actions zone (PAZ) and the urgent protective action planning zone; which have a 5-km radius and a 20-km to 21-km radiu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site,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a severe accident occurred at Shin-Kori nuclear unit 3 and evaluated the dispersion speed of radiological material at each distance at various wind speeds, and estimated the effective dose equivalent and the evacuation time of PAZ residents with the goal of supporting off-site emergency action planning for the nuclear site. Materials and Methods: The total effective dose equivalent, which shows the effect of released radioactive materials on the residents, was evaluated using the RASCAL 4.2 program. In addition, a survey of 1,036 residents was performed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and the resident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road and distance was analyzed using the VISSIM 6.0 program. Results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VISSIM and RASCAL programs, it would take approximately 80 to 252.2 minutes for permanent residents to move out of the PAZ boundary, 40 to 197.2 minutes for students, 60 to 232.2 minutes for the infirm, such as elderly people and those in a nursing home or hospital, and 30 to 182.2 minutes for those temporarily within the area. Consequently, in the event of any delay in the evacu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residents would be exposed to up to $10mSv{\cdot}h^{-1}$ of radiation at the Exclusion Area Boundaries (EAB) boundary and $4-6mSv{\cdot}h^{-1}$ at the PAZ boundary.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evacuation time for the residents is adequate in light of the time lapse from the initial moment of a severe accident to the radiation release.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evacuation tim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system of close collaboration to avoid traffic congestion and spontaneous evacuation attempts.

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for Apartment Remodel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조용경;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7-65
    • /
    • 2019
  • 재건축을 통한 도시주거환경의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시점에 노후아파트가 리모델링을 통해 개선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면 결국 도시는 쇠퇴하고 슬럼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정부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인식하여 주로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마련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으로 법을 개정해왔으나 리모델링은 아직도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소유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비용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택소유주와 투자자들에게 객관적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효과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분석 모형을 통해 가구특성, 주택특성, 시간경과 변수로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분석은 표본선택 오류를 고려한 Heckman 2단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1단계 리모델링 여부(선택 확률)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가구원수, 순자산, 주택만족도, 건축년도(11~20년), 건축년도(21~30년), 건축년도(30년 초과)로 나타났다. 2단계 리모델링 투입 비용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순자산, 면적, 건축년도(30년 초과), 단위주택가격으로 나타났다. 분결 결과를 통해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충당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허용 중심의 현행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이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실증되었다. 더불어 연령 변수와 관련하여 고령자라 하더라도 순자산과 소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경기도의 고령자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에서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투입비용이 줄어드는 것과 달리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 규모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보조의료기기의 사용목적 및 대상에 따른 규격적용 방안 및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pplication of Standard and Performance Test According to Purpose and Subject of Respiratory Medical Device)

  • 박준현;호예지;이덕희;최재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15-221
    • /
    • 2019
  • The respiratory medical device is a medical device that delivers optimal oxygen or a certain amount of humidification to a patient by delivering artificial respiration to a patient through a machine when the patient has lost the ability to breathe spontaneously. These include respirators for us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anesthesia or emergency situations, and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as the population of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elderly people worldwide surge, the market for the respiratory medical devices it is getting bigger. As the demand for both airway pressure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or standard is applied because the reference standard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items are blurred due to the purpose, intended use, and method of use overlapping similar items in a respiratory medical device. In addition, for both airway pressure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or standard is applied because the reference standard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clear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respiratory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the purpose, intended use, and method of use and provide safe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guidelines for those items to help quality control of the medical devices. And to contribute to the rapid regulating and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fety and performance test methods through the principles of the respiratory medical devic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censing status, and related literature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rived from the safety and performance test items in the individual ventilator(ISO 80601-2-72),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ISO 80601-2-70),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humidifiers (ISO 80601-2-74) and the safety evaluation items related to home healthcare environment (IEC 60601-1-11),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guidelines drawn up through expert consultation bodies including manufacturers and importers, certified test inspection institutions, academia, etc., the final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respiratory medical device in accordance with growing technology development.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 효과 중심으로 - (Effect of Compens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for Care-Worker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 장선아;고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73-486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과 이용시설 재가복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367명의 자료를 SPSS V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에서 월평균급여, 보상 만족, 보상 공정성이 직무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에서 월평균급여, 보상 만족, 보상공정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에서 월평균급여, 보상 만족, 보상공정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에서 월평균급여, 보상 만족, 보상공정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런 자기효능감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소들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Status of Aged Women in Korea)

  • 노승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67
    • /
    • 1996
  • A total health state evaluation of Korean female elderlies was made by using the questionary scheme measuring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functions of the elderl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health maintenance of female elderlies and to develop their preventive nursing program. A total of 280 subjects over 65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the suburban area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and October in 1995. The materials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AS data processing program, and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hysical health state of Korean elderly women was evaluated to be satisfactory by showing an average score of 3.722 in 5.0 full-score scale. But this score was lower than those evaluated for the elderlies combined both sexes(4.054).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as also evaluated as high scoring 3.484, possibly due to the fact that 78% of the subjects lived together with their children's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as relatively low scoring 2.585, mainly due to that 80% of them was widows which was resulted by the 6-7 years longer life-expectancy of Korean women. 2.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health state scor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was observed, indicating the rapid ageing process occurring in this age group. The family structure wa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hysical health state of the female elderlies ; the physical health score of the women with her husband only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living with children's families, and the lowest score was obtained from those living alone. 3. The ag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s, while the religion, educational status, marriage state and family structur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aged women. 4.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subject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marriage state and family structure, showing significantly lower scores with widowers compared to the married couples. Those living with their married spouse only obtained the highest social health score, while those living along showed the lowest score. The parent and grandparentship of those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the religion, especially Catholic and Protesta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health state of the aged women. 5. The mental health state of aged w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hysical health, except for digestive system related ability and sexual ability and the highest extra home ability. 6. The mental health state of aged w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determining social health, especially with the parent and grandparentship and the family relative's role.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Sinc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states of aged people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sex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both sex can create misleading figures, the health evaluation of the elderlies should be made separately by sex. 2. Since the health state of aged women is high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structure, the spouse's role and living with married couple only should be emphasized in respect of preventive health care. 3. The social activity programs and grandparentship teach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in the nursing care program for aged people.

  • PDF

부모와 분거자녀간의 상호연락실태 (A Survey on Communication Status between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 박광모;강복수;이성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3-106
    • /
    • 1984
  • 부모와 분거자녀간의 연락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대구시 대구근교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부모 678명과 그들의 분거자녀 1,316명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녀가 부모에게 행한 연락 빈도는, 방법별로 보면 전화가 월 4회 이상이 26.4%로 제일 높았고, 왕내는 21.6%였으며, 편지는 1년에 1회 이상 한 사람은 18.1%에 불과했다. 왕내, 전화, 편지 모두 아들이 딸보다 그 빈도가 높았으며 전화의 경우, 아들 중에서도 차남이 장남보다 높았다. 부모가 자녀에게 행한 연락 빈도는 방법별로 보면 전화가 월 4회 이상이 16.1%로 제일 높았고, 왕내는 15.6%였으며, 편지는 1년에 1회 이상 한 사람이 11.3%에 불과했다. 왕내, 전화, 편지 모두 아들에게 하는 경우가 딸의 경우보다 그 빈도가 높았으며 전화는 아들 중에서도 차남에게 하는 경우가 장남의 경우보다 높았다. 부모의 거주지별로 보면, 왕내와 전화는 도시가 시골보다 높았고, 편지는 시골이 높았다. 자녀의 연령별로 보면, 왕내와 전화는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에게 하는 회수가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편지는 30대가 제일 높았다. 그리고 부모의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부모의 성별로 보면 왕내와 전화는 모가 부보다 높았고, 편지는 부가 높았다. 교육정도별로 보면 부부자녀 모두 학력이 높을수록 회수는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왕내와 전화는 상공업에서, 편지는 공직에서 제일 높았다. 생활정도별로 보면 생활정도가 높을수록 그 회수는 높았으나 부모가 자녀에게 한 편지는 생활정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거리별로 보면 왕내와 전화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 회수가 높았으나, 편지는 멀어질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그래서 부모와 분거한 자녀간의 상호연락을 거주지, 연령, 성,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라 그 도빈의 차이가 있으나 핵가족화로 인한 지리적인 거리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How do they influence happiness among Koreans)

  • 박영신 ;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95-132
    • /
    • 2009
  • 돈이 많이 있으면 더욱 행복한가? 돈만으로 행복할 수 없다면 무엇이 중요한가? 행복은 어디서 시작되는가? 한국 성인의 삶에서 어떠한 행복의 조건들이 작용하는가? 어떻게 하면 마음의 행복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으로부터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사람들의 행복이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에 의해 영향 받는 정도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사회경제적지위에 차이가 있는 서울시내 세 지역 주민들을 가정방문하여 성인과 노인들을 표집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은 20대에서 80대까지 총 313명(남 133, 여 180)이었다. 측정도구로는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배경정보와 정서적 지원 및 행복 척도와, Bandura(1995)에 의해 제작된 어려움극복 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구성된 두 개의 연구모형을 경로분석과 효과분석으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평균 수입이 행복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만, 월평균 수입 변인이 제외되어도 행복모형의 적합도에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돈이 있을수록 더 행복하지만, 돈이 없어도 마찬가지로 행복할 수 있음으로써,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평균 수입이 행복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으로써, 돈이 많다고 효능감이 높은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 증진의 핵심적인 활력제로서 관계적 자원이 가장 중요하였다. 즉 주위 사람들로부터의 따스한 정서적 지원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는데, 정서적 지원은 월평균 수입보다 행복에 대한 효과가 4~5배 정도 되었다. 셋째,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도 행복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즉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능감이 높을수록 더욱 행복하였는데, 자기효능감은 월평균 수입보다 행복에 대한 효과가 2배 정도 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지원과 행복 사이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였다. 넷째, 직업에서 성취감을 느낄수록 더욱 행복하였다. 직업성취는 월평균 수입보다 행복에 대한 효과가 2배 정도 되었다. 다섯째, 자녀가 성공했다고 지각할수록 더욱 행복하였다. 자녀성공은 월평균 수입보다 행복에 대한 효과가 1.5배 정도 되었다. 여섯째, 학력은 행복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자기효능감과 직업성취를 통해 간접효과가 약하게 있었다. 일곱째, 연령은 자기효능감이나 행복에 대해 의미 있는 영향이 없음으로써, 나이는 자기효능감이나 행복과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