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no investigate and to compar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ducators regard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reby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t follows. 1.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1) th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2)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3)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4)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and (5)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y supervisors. 2. To identify problems and revision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suggest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90 home economics teachers in 500 girls’middle schools and 13 teacher educators in 21 universities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For this study, the Habedi’s instruments were used through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1. The areas wit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2. Regarding problem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s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indicated difficulty in performing adequate student teaching because of reduction in class hours, and lack of student teachers’positive attitude in performing student teaching, while teacher educators indicated having reluctancy of cooperating school to admit student teachers, and difference in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because of disparity among cooperating schools. As solutions about the problems of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course should be limited to the students qualified for teaching and that class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 in real class should be emphasized, whil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should be performed adequately by providing institutions to control student teaching practice teacher should be made efficient by examining the scales of cooperating school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Intelligence(MI).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of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of this study are performed as follows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2 middle school student & 127 girls' high school. And The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Korean Creativity Research Institute(1998). Multiple Developmental Assesment scale were administrated as data gathering tools And end-term exam scores on 9 subject were collected as the measure of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Home Economics achievement were collected with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ment. The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MI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Mus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high school students(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were found.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nother 8 subjects. 2) In middle school stud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were found But in high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reativity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were not found 3) In MI and Home Economics achievements correlation.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ment.
서울 소재 11개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실태를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가정교과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가정교육전공 교육목표는 공통적으로 가정과 교사의 재교육, 전문성 향상과 유능한 가정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졸업 이수학점은 대부분 30학점이고, 교직과목은 $6{\sim}8$학점, 전공과목은 $16{\sim}21$학점, 논문 학점은 $3{\sim}6$학점이었다. 전임교수의 확보가 부족하고, 3개 학교만이 사범대에 가정교육과가 개설되어 있었다. 교직과목은 교사자격 검정령에 의한 과목이 공통으로 개설되었다. 전공과목은 가정교과교육, 의류학, 식품영양학 영역의 교과목 개설 비중이 높고, 소비자.가정 관리학, 아동 가족학, 주거학 영역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교육대학원생은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교과교육 전문가 양성, 교원양성기관, 교사 재교육 순으로 인식하였다. 가정교육과 학부출신과 직업이 교사인 학생은 교사 재교육에, 타과 출신과 교사가 아닌 학생은 교원양성기관에 더 높게 인식하였다.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나 특히 전공과목 중 실험 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만족도 비교는 교직과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가 아닌 교육대학원생이 교사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교사인 경우 전공과목의 학교현장 활용도가 높아 실제 수업을 할 때 전공과목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개선안으로는 전임교수의 확보와 전공과목 개설확대를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housework research studi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and th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For this purpose, 109 housework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mes, published years, the subjects and the research meth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housework was the theme most frequently studied, followed by research on the socialization of housework, housework time, the attitudes on and satisfaction with housework, and the division of housework, in that order. During the periods of 1990-2000 years, housework studies had increased, but since then have slowly decrease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o housework studies were married women. With respect to employment status of the subjects,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people were sampled in half of the studies. The sample size was over 300 in almost half of the research reviewed.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the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most frequently.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 활동을 위한 가정실습실 공간 구축 및 활용 사례를 통해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 추이와 학교 실험·실습실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 이를 가정실습실 구축을 통한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사례를 서울의 일반고교 두 곳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목 중 가정 교과 관련 과목 개설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 학교의 경우 실험·실습실의 활용도가 높으며, 학생들의 선호가 있으나, 과목 개설에서 입시 과목과의 연관성에 대한 안내를 통해 학생들의 선택의 암묵적 유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가정교과 수업 시간 축소, 개설과목 축소는 교사 충원과 연관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과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나 가정 교과와 진로 진학을 연계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가정 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이는 교과 선택으로 연장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가정 교과 관련 과목의 개설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degrees of cont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t is for developing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re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1) To find the recognition degrees of the fact that Home Economics subject is supposed to utilize for not only girls, but boys students in middle schools in 1996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2) To find the degrees of necessity 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3) To fin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degrees of understandings, attitudes, and s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 between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tilized to 1,205 six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P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It was low that the recognition degrees of the fact that Home Economics subject is supposed to utilize for both girls and boys in middle school among both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important to disseminate the curriculum change in Home Economics practice to the public. 2) It was high that the recognition degree of necessity 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recognition degre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is , $\circled1$the recognition degrees of students were lower than their parents; $\circled2$ the recognition degrees of parents who have high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who have low education ; $\circled3$ the recognition degree of an environmental field was highest. 3)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recognition degrees of understandings, attitudes, and sk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s: The recognition degrees of girls fat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boys fathers those of in understandings and sk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recognition degrees of girls fat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of girls in attitude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is survey on marketed Kimchi was performed in 455 housewives living in daegu city area and investigated for marketab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Kimchi.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 1. Subjects percepted marketed Kimchi as convenient and economical. 2.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has bought the marketed Kimchi products was 68.6%, some factors-ages, academic career, income, family system-were investigated. 3. Subjects bought the needed amount for 1-2days at hygienic store, by one's experiences and prefered Baechu-Kimchi 4. The most urgent improvement for the marketed Kimchi is it's standard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ology, subjects, problems, and revitalization) by college students and its process, to provide base materials to be used in revitalizing an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750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X^2$ 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multiple comparison. For the educational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people responded it was "to positively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and commonality." As for methodology, the paper found that there were two elements, namely, consolidation form and specific form;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responses given by different genders, bu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different grade levels and majors. Looking a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s was given to the equality of different culture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aught most frequentl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onclusion, by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looked a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cess. Above all, in term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re must be more systematic studies on school field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budgetary support of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as curriculum preparation (frequently revised since 2007)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education. This study promotes changes in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enrichment of Home Economics content and the classroom-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attitudes towards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education. This study enhances the comprehension of Home Economics and understanding by educators on the importance of Home Economics. The training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tive of application,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change in the view of Clothing Life education, and level of expectation and contributions of the program towards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ing. The trainees were motivated by the opportunity to practice, uniqueness of the curriculum of the training program, and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enhancem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very high. Regardless of subjects, trainee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ractical exercise, cultural & artistic approach, and integrated teacher training in Clothing Life education. The teachers of other subjec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Home Economic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This study explored the organiz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HE)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critically review the change process of HE curriculum as well as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consistently shown in the revision process of high school curriculum, the huge increase of the number of subject organized resulted from the intensification of the selective-centered curriculum strengthening the choice for school and students. However, HE was reduced to som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nd a single subject 'HE Science' as a selective subject was subsequently combined with Technology after the $7^{th}$ curriculum period. Consequently, HE hard to organize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revised 2015 curriculum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Second, the choice of HE in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as measures to organize the HE curriculum of high school to cope with changes that result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career selective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should be more diversely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a future society that results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E education community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to be organized as a selective subject when revising a subsequent curriculum, by newly establishing subjects necessary to students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liberation with pedagogists and scholars for subject content as well as by producing/getting approval from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