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p Rota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정상인에서 수동적인 뻗은다리올림 시 생체되먹임 장치의 압력과 허리골반 움직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the Pressure of Biofeedback Unit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Straight Leg Raising in Healthy Subjects)

  • 정도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18
    • /
    • 2018
  • Background: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PSLR) is the common clinical test to measure of hamstring muscle length. Hip flexion angle contributes to change the lumbopelvic rotation during PSLR.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is commonly used to detect lumbopelvic movement during lower limb movements. Thus, there may b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Ob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Methods: Thi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ere used to measure the lumbopelvic angle during PSLR, while recording the pressure of PBU according to angle of PSLR by 10 degree increment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umbopelvic and angle of PSLR (Pearson's r=.83, p<.05), between the pressure of PBU and angle of PSLR (Pearson's r=.75, p<.05), and between lumbopelvic motion and pressure of PUB (Pearson's r=.83, p<.05). Linear regression equation using lumbopevic angle as an independent factor was as follows: Pressure of PBU = 47.35 + (2.55 ${\times}$ angle of lumbopelvic motion) ($R^2=.69$, p<.05).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pressure of PBU can be used to indirectly detect the amounts of lumbobevic motion during muscle length test or stretching of hamstring.

Analysis on Lower Body Type of Korean Women in Their Early 20's

  • Kang, Yeon-Kyung;Chang, Hee-Kyung;Byambasuren, Enkhzul;Kim, Youn-Joo;Sohn, Hee-Soon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6호
    • /
    • pp.148-1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wer body types of women and provide information of body improvement of Korean adult female clothing product to ready-made clothes companies.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arts of the lower body of adult women at the age from 19 to 24 years,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categorize body types. For study, it was measured 150 female women in Seoul. Data was analyzed by used SPSS/WIN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s of the subjects in their early 20s are 159.8cm in height, 67.0cm in waist circumference, 91.6cm in hip and 52.0kg in weigh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5^{th}$ Korean's human body size on measurement data, 20 items out of 33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for 66 body measure and calculation items to draw the body construction factors of the women's lower body in their early 20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orthogonal varimax rotation to clarify the measurement of factors and to derive explanatory factors. As result of Cluster analysis, body types' characteristics divide into 3 types. Type1 has tall and fat body form, type2 has shortest and curvy body form and type3 has average height and the most skinny body form.

고관절용 인공관절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Test of Artificial Joint for Hip Joint)

  • 석승휘;박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9호
    • /
    • pp.1033-1039
    • /
    • 2012
  • 인공관절은 관절부의 뼈가 파괴되거나 관절 손상을 입어 관절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사용된다. 고관절용 인공관절 시스템의 일차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공관절이 삽입된 직후 인공관절에 반복하중을 가하여 대퇴골과 인공관절 사이의 상대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정확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공관절이 대퇴골을 파고드는 변위와 대퇴골에서 인공관절이 회전한 각의 변화량을 정확히 측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관절용 인공관절 시스템의 일차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상대 변위측정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술 방법의 차이 및 대퇴골 자체 강성의 차이에 따른 일차 안정성을 사체에서 얻은 대퇴골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만성 허리 통증 노인의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버그 균형 척도, 보행 시 운동학적 움직임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Berg Balance Scale, and Kinematic Data during Gait Analysis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Back Pain)

  • 황영인;김기송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79
    • /
    • 2021
  • PURPOSE: Chronic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cause problems of gait and balance in elderly peop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Berg balance scale (BBS), and kinematic data measured while analyzing the gait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A total of 2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ODI, BBS, and kinematic data of lower extremities were measured while walk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ignificance was measured at .05. RESULTS: ODI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 13, and 14 items of BBS (p < .05), and left hip external rotation and right ankle abduction respectively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p < .01). 13 items of BB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igh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phase of gait (p < .01). In addition, 14 items of BB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ight and lef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p < .01). CONCLUSION: While attempting to predict chronic low back pain and balance issues, it may be useful to check the righ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In the future, it would be helpful if some simple tests could be designed to assess balance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Study on the Adjustment Method of Bicycle Shoe Cleat for Bicycle Fitting System

  • Shon, Gyoung-Ho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93-102
    • /
    • 2019
  • The nation's fraternity and elite players who have built up a global bicycle infrastructure often find it to be a problem with the bicycle's speed and speed reduction, pain in knees and hip joints, or even with the bike itself, or with the bike's own physical defects or a riding posture. However, we found that most cases of cleat adjustment errors were likely to be true. Accurate adjustment of the cleats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entire fitting process and can be the basis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bicycle rider and preventing injury. Therefore, the study was intended to give a prior study of bicycle fitting, which can improve bicycle efficiency and prevent injury when riding bicycle, and specific ways of adjusting bicycle shoe clea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cleat characteristics of Shimano, LOOK and Speedplay, which are currently used in public, and the characteristics during the cleat adjustment proces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edicated shoes using cleats and the method of using pedalling by the structure of shoes after adjusting the cleats were derived. Second, the position of the shoe and its relationship with torque in pedalling was discussed, and the method of adjusting front and back of cleats was derived. Third, leg length, ASIS, Q-Angle and Q-factor etc. were analyzed and the method of setting and adjusting cleat left and right values were deriv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ngle and cleat rotation was analyzed, the method was derived, and the torque size and angle behind the cleat adjust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spinner to indicate the torque and the effective mean torque angle after the cleat adjustment.

초등학교 야구 선수의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jump and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in elementary school baseball players)

  • 정호진;박세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61-66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야구 선수들의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총 40명으로 실시하였다. 수직 점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직 점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리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휴대용 도수 근력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다리 근력의 측정 부위는 양쪽 엉덩관절에 굽힘·폄·모음·벌림·안쪽 돌림·바깥 돌림, 무릎관절에 굽힘·폄, 발목관절의 발등 굽힘·발바닥 굽힘을 측정하였다. 수직 점프와 다리 근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과의 관계에서 우세측, 비우세측 모두 발바닥 굽힘 근력을 제외한 모든 다리 근력과 수직 점프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타격능력과 수직 점프 및 다리 근력의 관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시 몸통의 동작과 지면 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Sit to Stand Using Visual Feedback)

  • 고영건;오태영;이재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9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during sit to stand motion using visual feedback. Methods : Fifteen adults (average age: 23.53±1.7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nfrared reflective marker was attached to the body each participant for motion analysis, and the participants performed sit to stand motion while wearing a hat attached with a laser pointer, which provided visual feedback. First, the sit to stand action was repeated thrice without obtaining any visual feedback, followed by a three minute break. Next, the laser pointers attached to hats were irradiated on a whiteboard, located at a distance of 5 m in front of the chairs, on which the participants sat; a baseline was set, and the participants performed stand up movements three times under this condition. A visual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o prevent the laser pointers from crossing the set baseline. During each stand-up movement,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arker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was recorded in real time using an infrared camera for motion analysis. The trunk movement and ground reaction force were extracted through recorded data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visual feedback.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presence of a visual feedback during the sit-to-stand movements, the range of motion of the trunk and hip joints decreased, whereas that of the knee and ankle joints increased in the sagittal plane. The rotation angle of the trunk in the horizontal plane decrease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peed of the center of pressure increased, the pressing force decreased,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peed of the trunk decreased.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stand up movement of a body increase when a visual feedback is provided.

골프 드라이브 스윙시 구질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Biomechanics analysis by golf drive swing pattern)

  • 최성진;박종진;양동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9-2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볼 구질의 변화에 따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인 변인을 3차원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스윙 동작의 운동역학적인 원리를 제시하며, 볼 구질이 다른 스윙 동작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프로골퍼로 경력 3년 이상의 남자 선수 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여 골프 스윙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페이드 성공시에는 임팩트를 지나서도 계속 손목의 각도가 근소한 차이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패시에는 각 프레임의 각도가 규칙적으로 변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이트 성공과 페이드 성공에 대한 손목각도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요인과 손목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페이드 실패의 경우는 임팩트시의 몸통 비틀림각도가 성공때 보다 작아지면서 클럽헤드가 오픈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스윙의 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어깨관절의 회전력을 더 많이 사용하여 파워을 증진시키기 위한 동작이며, 골프 스윙에서 어깨회전 운동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어깨회전각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 성공시 보다 페이드 성공시에 고관절의 회전각도가 점진적으로 일정하게 각이 커졌다. 이는 고관절의 회전을 더 크게 하여 지연히팅을 보다 자연스럽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드 볼 구사시 임팩트 존에서 클럽의 페이스가 닫히는 것과 팔의 자연스러운 롤링 동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구질 변화에 따른 골프 스윙 동작을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시로 구분하여 운동학적 변인들을 3차원 동작 분석을 통하여 경기력 향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각 종목에 있어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역학적인 분석이 계속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철봉 내리기 공중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I) (Kinematic Analysis of Airborne Movement of Dismount from High Bar(I))

  • 최지영;김용이;진영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9-177
    • /
    • 2002
  • 본 연구는 철봉운동에서 기본이 되는 동작인 몸펴 한번 뒤돌아 내리기 동작을 단계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하여 현재 시합상황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응용동작인 몸펴 두 번 뒤돌아 내리기 동작과 몸펴 두 번 뒤돌며 한번 비틀어 내리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개개분절 간의 상호작용을 해부학적 3차원 각운동과 각속도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운동학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현재 K대학교에 재학중이며 대학 대표선수인 남자 기계체조 선수 7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인체의 모델은 Zatsiorsky와 Seluyanov(1983, 1985)이 사용한 16개의 분절로 이루어진 인체의 모델을 사용하였다. 신체무게중심이 이동방향을 설명할 수 있는 투사각도 및 투사속도는 공중동작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신체무게중심이 투사되는 각도가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신체무게중심의 투사각도는 신체무게중심의 최고점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3차원 투사속도를 살펴본 결과 Z방향(수직방향)은 공중돌기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운동진행 방향인 Y방향 속도와 좌우측 기울기를 설명할 수 있는 X방향 속도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철봉 내리기 공중동작에서의 신체분절 및 각도 변화도 중요하지만 각운동량을 만들어내기 위한 동작준비구간의 각도 변화가 더욱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상체가 철봉 아래 봉과 수직될 때부터 릴리즈 순간까지의 각도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데,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어깨관절 각도와 엉덩관절 각도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준비구간의 추기기 동작(Whip swing)의 주된 관절로 작용을 한다. 관성좌표계에 대한 상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3차원 방향의 각도 즉, 뒤돌기(somersault)각도, 틀기(twist)각도 그리고 기울기(tilt)각도로 설명이 되는데, 본 연구의 결과 릴리즈시 뒤돌기 각은 세가지 내리기 동작 유형에 따라 평균 57,7도, 38.8도 그리고 39.7도로 나타났으며, 기울기 각은 평균 -1.5도, -5.4도 그리고 -8.4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틀기각도는 평균 13.4도, 10.6도 그리고 23.3도로 몸펴 두번 뒤돌며 한번 비틀어 내리기 경우 가장 큰 수치를 나타냈다.

평균대 백핸드 수완 동작 성.패 시 실수요인 규명 (Examination of the Flick-Flack Salto Backward Stretched of Success and Fall Occurs on the Balance Beam)

  • 소재무;김윤지;김용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7-146
    • /
    • 2008
  • 본 연구는 현 국가대표 선수들을 대상으로 평균대에서 백핸드 수완 동작의 성공과 실패를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기술의 실수 요인을 규명하여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과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력 향상에 기여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신체중심 변위와 속도 변화에서 실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좌우 신체중심 속도 변화와 수평과 수직 속도 변화로 나타났고 좌우 가속도 변화는 성공시 보다 실패시 동작이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E3과 E5에서 수평과 수직 가속도가 뒤 공중돌기와 착지구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간으로 나타났다. 성공과 실패시 차이가 나타난 각속도 변화는 머리와 견관절 결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머리와 견관절 각가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 하는 순간은 E4라고 판단되며 이 구간에서 신체가 굴곡된 자세에서 순간적으로 신전하는 동작을 취할 때 머리와 견관절, 고관절 등 각 관절의 각가속도를 크게 증가시켜 공중 동작의 체공시간과 회전 반경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