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the Flick-Flack Salto Backward Stretched of Success and Fall Occurs on the Balance Beam

평균대 백핸드 수완 동작 성.패 시 실수요인 규명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errors from EGR posture on the balance beam, which is bending flick-flack salto backward stretched national team players through kinematic analysis, and present training methods for them so as to provide scientifically useful information to coaches and athlet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errors in boyd center position and speed change were the speed change of left and right body centers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peed changes. The left and right acceleration changes were greater in failed posture than in successful postu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ccelerations in E3 and E5 were the key factors that affected the backward somersault and landing. The angular speed changes which varied between success and failure were notable in head and shoulder joints. In individual results. The section when the angular speeds of head and shoulder joint must be the greatest was E4. In this section, when the body is extending instantly in a bent posture, increasing the angular speeds of head, shoulder and hip joints can improve the duration of staying in the air and the rotation radius of a somersault.

본 연구는 현 국가대표 선수들을 대상으로 평균대에서 백핸드 수완 동작의 성공과 실패를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기술의 실수 요인을 규명하여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과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력 향상에 기여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신체중심 변위와 속도 변화에서 실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좌우 신체중심 속도 변화와 수평과 수직 속도 변화로 나타났고 좌우 가속도 변화는 성공시 보다 실패시 동작이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E3과 E5에서 수평과 수직 가속도가 뒤 공중돌기와 착지구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간으로 나타났다. 성공과 실패시 차이가 나타난 각속도 변화는 머리와 견관절 결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머리와 견관절 각가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 하는 순간은 E4라고 판단되며 이 구간에서 신체가 굴곡된 자세에서 순간적으로 신전하는 동작을 취할 때 머리와 견관절, 고관절 등 각 관절의 각가속도를 크게 증가시켜 공중 동작의 체공시간과 회전 반경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자(1988). 평균대 겹 뒤공중돌아 내리기 동작의 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 대학원.
  2. 이기정, 김영란 (2002). 평균대 오르기 동작시 도약단계의 반력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6(1), 49-55.
  3. 이대형, 이용인, 권오석 (2002).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위한 체조지도서. 서울: 형설출판사.
  4. 이종락, 안완식 (2000). 평균대 Back Handspring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9(3), 664-673.
  5. 윤희중, 류지선, 김동민, 김영란 (2000). 평균대 경기 시앞 공중돌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9(2), 291-305.
  6. 최인애, 한용규 (1985). 평균대 공중 돌아 내리기 동작의 역학적 분석. 한양대학교 체육과학. 5.
  7. 최인애 (1991). 손짚고 옆돌아 몸펴 뒤 공중 돌아 오르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0(2), 253-262.
  8. 최윤택 (2002). 여자 평균대운동에서 손짚고 뒤돌기(Back Hand spring)하여 뒤 공중 돌아내리기(Back Somersault Dismount) 동작의 기술 분석. 교육이론과 실천, 12(2), 349-362.
  9. Brown, E., Witten, W., Espinoza, D., & Witten, C. (1995). Attenuation of ground reaction forces in dismounts from the balance beam. In T. Bauer (ed.), Proceedings of the XIII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chanics in Sport. pp. 114-117. Thunder Bay: Lakenead University.
  10. Brown, E., Witten, W., Weise, M., Espinoza, D., Wisner, D. J. L., & Witten, C. (1996). Attenuation of ground reaction forces in salto dismounts from the balance beam. In J. Abrantes (ed.), Proceedings of the XIV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chanics in Sport. pp. 336-338. Lisboa: Universidade Tecnica de Lisboa.
  11. Federation of International Gymnastics. (2006). The code of points: Artistic gymnastic for woman. Switzerland.
  12. Hars, M., Holvoet, p., Gillet, C., Barbier, F., & Lepoutre, F. X. (2005). Quantify dynamic balance control in balance beam: measure of 3-D forces applied by expert gymnasts to the beam. Computer Methods in Biomechan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Suplement 1, 135-136.
  13. Spiros, P., Yoong-Hoo, K., & William, A. S. (2006). Biomechanical research in artistic gymnastics:A review. Sport Biomechanics. 5(2). pp. 261-291. https://doi.org/10.1080/14763140608522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