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자와의 파트너십을 활용한 과학고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탐색 (Explo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using Partnership with Scientists)

  • 오창호;조현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211-22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과학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18명의 과학고 교사와 23명의 전문가가 2주간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와 시사점을 얻기 위해 설문과 인터뷰가 수행되었으며, 참여관찰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연수 프로그램은 과학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과학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전문 연수 프로그램으로써 과학자가 파트너십을 활용한 연수를 제안하였다.

  • PDF

Analysis of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Seo, Kyoung-Hee;Lim, Soo-Min;Park, Min-Jung;Sonn, Jong Kyung;Kim,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91-140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teachers and 1,389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included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dealt with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asse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compared to thei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uch. Second, the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male teachers in the case of the teacher variables, and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erception level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and both the preferences and reality leve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action was lower in big cities than in small citi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 송신철;홍보라;김남희;한화정;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30-1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도구는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의 필요성, 과학 과목의 수업 내용, 과학 과목의 수업 효과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융합형 과학 학습보다는 분과적인 과학 과목의 운영을 선호하고 있었다. 융합형 과학 과목의 수업 내용이 일상생활과의 관련성, 수업 내용의 참신성, 융합형 과학 과목의 흥미 등은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반면 수업 내용의 이해에 대해서는 고등학생들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융합형 과학 과목의 수업 효과 영역에서 고등학생들과 과학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 수업을 통해 첨단 과학이나 과학사, 과학과 기술, 과학과 사회의 연관성 등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상식과 사회적 쟁점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과학 교사들은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학생들은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과학의 가치, 과학적 탐구의 가치, 과학에 대한 관심 등에 대해서 융합형 과학 수업이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서는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융합형 과학 수업이 과학 탐구 과정의 이해나 과학 글쓰기와 토론 활동, 과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체적으로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교육 실태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us of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 이무;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87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tatus of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in 1982 and 1986. The same questionaire was used for the survey of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by Yu in 1982. The questionaires were responded by the principals. science head teachers.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1. The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has been declined. 2. The support for sciene science education has been reduced. 3. The entrance exanination for university or college is the serious bottleneck of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4. It is very hard for science teachers to teach science as inquiry through the true experiment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 PDF

초등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련된 몇 가지 배경 변인 연구 (A Study on Some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고한중;최무원;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92-200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76 freshmen and 260 seniors from an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34 teachers from 2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ju. Variables concerning pre-service teachers include their sex, career/study tracks (science or non-science), and the number of science courses taken either at high school or at university. Variables concerning in-service teachers include their sex, academic degree, the frequency and typ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in-service training, and their teaching career experienc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ores of senio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reshmen and in-service teachers, whereas the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cores of sen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men. Among variables investigated, sex, career/study track, the number of science courses taken at high school, and the frequency and typ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in-service training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 PDF

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Perspectives of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Factors Affecting College Science Learning)

  • 홍미영;강남화;김주아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75-88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등학교 과학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은 전공별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주는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과의 경우에는 수학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화학과와 생물학과의 경우에는 영어 능력과 기초 과학 지식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생과 과학 교사 두 집단 모두 기초 과학 지식과 수학 능력이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으로, 대학생들은 탐구 기회 확대, 과학교사들은 선택과목의 필수 이수 확대라고 각각 응답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 이수아;전영석;홍준의;신영준;최정훈;이인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97-1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develop any implications which may arise in relation to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19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al report regarding their science lessons. 30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also answered the same questionnaire. By means of inductive categorical analyzing,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icultie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science lessons fall into three categorie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9.8%)',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78.3%)', 'teaching methodology(11.2%)'. (2)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experienced similar difficulties. However, distribution differed from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39.0%)',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35.6%)', 'teaching methodology(27.1%)'. (3)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lack of time to prepare for science classes, insufficient substanti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 lack of adaptive suppor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과학고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Beliefs of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 노희진;김동욱;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이 사례 연구의 자료는 한 과학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세 명의 과학교사로부터 얻었으며, 면담과 수업관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과학고 운영과 교사의 수업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도 함께 수집되어 상호검증을 통한 일 치도 확인 방법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많은 교사는 교사중심의 신념 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적은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학생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과학고 근무경력이 중간인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으나, 실제 수업은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신념과 실제 수업의 불일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 과로부터, 학교 문화가 교사의 신념보다는 더 강하게 교사의 실제 수업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과 학고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의 신념은 영재교육보다는 대학 입학을 위한 지식 교육을 위한 교사 중심으로 변 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고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니엘 전지를 구성하는 염다리의 역할에 대한 고등학생, 화학교사,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개념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Conception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Chemistry Teacher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out Salt Bridge of Daniel Electronic Cell)

  • 박진희;김동욱;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44-55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 화학교사들, 그리고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니엘 전지에서의 염다리 역할에 대한 개념 유형을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개념의 어려움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의 서술내용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였다. 예비 교사들의 생각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점검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염다리를 통한 이온의 이동에 관한 관점은 가지고 있었으나,염다리가 닫힌 회로를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학생들과 예비교사의 경우에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과 학생들이 염다리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은 교과서의 불충분하고 다양한 설명 때문일 가능성이 있었다.

STS(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에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service Program for STS(Science-Technology-Society) Education)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0-106
    • /
    • 1999
  • 본 연구는 공통과학 연수에서 STS 교육에 접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STS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연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직 과학교사들에게 체계적인 STS 교육을 실시하여 과학교육 현장에서 STS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교사들은 STS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STS 교육 연수 개설을 찬성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STS 연수에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관련 학습자료와 연구분야에 관한 자료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