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Fluidity Concrete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7초

유동화공법에 의해 제조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시공 및 원가분석 (The Execution and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Applying Flowing Concrete Method)

  • 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9-136
    • /
    • 2004
  • High fluidity concrete(HFC) requires high dosage of superplasticizer to acquire sufficient fluidity, and high contents of fine powder and viscosity enhancing admixtures to resist segregation. The use of high amount of admixtures to make HFC at batcher plant in ready mixed concrete company is one of the reasons to raise the manufacturing cost of HFC. For this reason, new type of manufacturing method of HFC are described using both flowing concrete method and segregation reducing superplasticizer(SRS) in order to gain economical profit and offer the convenience for quality control.. As dosage of melamine based superplasticizer increases, it shows that fluidity and bleeding increase, while air contents and ratio of segregation resistance decrease. It also shows that addition of viscosity agent into superplasticizer reduce bleeding and improve segregation resistance of concrete. Dosage of AE agent into superplasticizer containing viscosity agent recovers loss of air contents during flowing procedure. Combination of proper contents of superplasticizer, viscosity agent and AE agent make possible to develope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ticizer. Compressive strength of high fluidity concrete applying flowing method with it is higher than that of base concrete. No differences of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compacting methods are found. For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ing using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icizer, under same strength levels, although material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due to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ticizer cost, labor cost and equipment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is cheap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However, based on the strength differences, high fluidity concrete shows lower material cost, labor cost and equipment cost than that of plain concrete due to decreasing in size of member and re-bar caused by high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유동화공법에 의해 제조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원가분석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Applying Flowing Concrete Method)

  • 한민철;손성운;오선교;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99-102
    • /
    • 2002
  • This paper discusses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icizer with 350kgf/cm2 of design strength and 60$\pm$5cm of slump flow in order to verify the cost down effect of high fluidity concrete compared with that of plain concrete with 350kgf/cm2 of design strength and 18cm of slump and with 210kgf/cm2 of design strength and 15cm of slump. According to research, under same strength levels, although material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due to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ticizer, labor cost and equipment cost of high fluidity concrete is cheap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However, based on the strength differences, high fluidity concrete shows lower material cost, labor cost and equipment cost than that of plain concrete due to decreasing in size of member and re-bar caused by high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 PDF

자철석 분말 및 동슬래그를 잔골재로 활용한 중량 콘크리트의 유동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lowability of the Heavyweight Concrete using Magnetite Powder and Copper Slag as Fine Aggregate)

  • 문훈;김지현;정철우;이재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5-196
    • /
    • 2018
  • The Research is underway to utilize heavyweight concrete for various applications. One of them is to use heavy concrete as a marine concrete such as a breakwater to resist wave. Marine concrete is often complex in shape and requires high fluidity. When the heavyweight concrete is high fluidity, there is a high risk of segregation due to the high density of the coarse aggregate. Therefore, we evaluate the fluidity of heavyweight concrete using heavy fine aggregate. As a result of the fluidity evaluation of the heavyweight concrete, the fluidity of the heavy fine aggregate was similar to that of ordinary concre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heavy fine aggregate in the development of high fluidity heavyweight concrete will be one of the methods.

  • PDF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Exposed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Fly Ash and Limestone Powder)

  • 최연왕;오성록;김지훈;김경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67-75
    • /
    • 2013
  • 최근 노출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출 콘크리트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점차 복합한 단면 및 조밀한 철근으로 인하여 기존의 노출 콘크리트용 일반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출 콘크리트에 고유동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배합은 OPC 및 LSP10을 기준배합으로 하였으며, FA 혼합률(0, 10, 15 및 20)에 따라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은 소요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에 따라 유동성 및 표면마감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노출 콘크리트용 고유동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증점제를 이용한 고유동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경화상태의 특성- (A Funda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High-Fluidity Concrete Using Viscosity Agent - Properties of Hardened Concrete -)

  • 김기철;박상준;조병영;윤기원;최응규;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8-20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the viscosity agent of a cellulose system with W/C of 35~50% in hardened state. It is proven that properties of high fluidity concrete in hardened state is nearly the same with normal concrete in the same W/C and no strength difference by tamping method do not appeared. Therefore, no tamping method is thought to be reguired in high fluidity concrete.

  • PDF

저분체 기반 고유동 콘크리트의 Steel Concrete Panel Mock-up 부재 충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illing Performance of Steel Concrete Panel (SCP) Mock-up Member with Low-binder based High-fluidity Concrete)

  • 박기준;박정준;김성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477-483
    • /
    • 2019
  • 최근 원자력발전소 및 LNG 저장탱크 등 특수구조물의 공사 기간과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PSC 구조물 대신 프리캐스트 형식의 SCP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SCP 모듈 내부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일체 거동을 위해 스터드로 연결되어 있어 고유동 콘크리트의 사용이 요구된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많은 단위결합재량를 가지기 때문에 수화열 및 수축의 증대, 비경제적인 강도 발현 문제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분체 기반 고유동 콘크리트 최적 배합을 선정하기 위해 재료적 특성에 따른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철근의 간극 통과성능을 검토하고, 펌프카를 활용하여 펌핑 전후에 따른 콘크리트의 물성을 검토하며, 최종적으로 강재와 강재 사이를 콘크리트로 채우는 SCP Mock-up 부재에 대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의 충전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라이트 미분말을 혼입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충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ity ability, Filling ability Properties of High Fluidity Concrete with Illite Powder)

  • 이동운;이맹교;박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363-83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 콘크리트에서 일라이트 미분말을 대체한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충전성 및 압축강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라이트 미분말을 고유동 콘크리트에 5, 10, 15, 20%를 대체한 후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콘크리트 배합 후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슬럼프 플로우 시험, 500mm플로우 도달시간 및 O-lot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재령 28일에 고유동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충전 높이는 일라이트 미분말 10%를 대체하였을 때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유동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일라이트 미분말 10%를 대체하였을 때까지 강도증진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일라이트 미분말의 혼입율이 10%일 때 최적 치환율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유동 콘크리트용 분리저감형 유동화제의 최적배합비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Mixture Proportion of Segregation Reducing Type Superplasticizer for High Fluidity Concrete)

  • 한천구;김성수;손성운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75-282
    • /
    • 2002
  • 고유동 콘크리트를 제조할 경우는 유동성 향상을 위한 다량의 고성능 감수제와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다량의 분체 혹은 증점제로 말미암아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또한 품질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이 우수한 고유동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분리저감형 유동화제의 최적배합비를 결정한 다음, 유동화 공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로 유동화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 및 블리딩량은 증가하였고, 공기량 및 재료분리저항성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기에 증점제를 첨가함에 따라 양호한 유동성에서 블리딩량이 저하하였고, 재료분리저항성도 증대되었는데, 마지막으로 AE제량 증가에 따라 저하된 공기량이 회복되므로써 양질의 분리저감형 유동화제로 최적배합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경화 콘크리트 특성으로 유동화 공법으로 제조된 고유동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베이스 콘크리트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다짐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표준다짐 공시체의 압축강도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다짐 방법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결제의 인젝터 주입이 고유동 모르타르의 거푸집 누출량 저감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Possibility of Reduction of Formwork Leakage of High Fluidity Mortar by Inject Accelerator)

  • 임군수;한준희;현승용;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22
    • /
    • 2022
  • High fluidity concrete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if the cross-section of the building is complicated, it is possible to place good quality concrete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so its utility value is very high. However, it is premised on the accuracy of concrete formwork assembly. Concrete leakage through formwork gap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applying high flow concrete. In order to quickly solve the leak of high fluidity concrete caused by formwork gap occurring at the site by accelerator injection, we proceeded with research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amount of formwork leakage of high fluidity mort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jection of the accelerator could reduce the amount of mortar leakage.

  • PDF

플라이애쉬 치환율 변화에 따른 준고유동 콘크리트의 특성 (The Properties of Semi-High-Fluidity Concrete with the Variation of Replacement Ratio of Fly-Ash)

  • 유호범;김기철;윤기원;이정희;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II)
    • /
    • pp.287-290
    • /
    • 1998
  • Recently great efforts and investment have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economical production by applying new methods like minimization of man-power into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using of semi-high-fluidity concrete with viscosity agent and fly-ash, also we find out the optimum mix proportions to accomplish good quality semi-high-fluidity concre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mi-high-fluidity concrete with viscosity agent of 0.03~0.1%(W$\times$%) and the ratio of fly-ash replacement of 10~20% in W/B of 35~45%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high-fluidity-concre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