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ne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22초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 이유미;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7-473
    • /
    • 2008
  • 참나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효능을 검토하였다. 참나물 에탄올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12.01%이었으며, 이를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이 1.90%로 가장 높았으며, n-hexane, n-butanol, chloroform, ethylacetate 순이었다. In vitro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41\;{\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도 n-hexane 분획이 1.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가 1.97로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는 n-hexane 분획이 88.40%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도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지질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분획 중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te, chloroform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참나물은 식품으로의 이용가치뿐만 아니라 참나물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력의 우수함을 통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해 본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를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hexane extract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using dental caries)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57-3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의 항충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 균체 부착과 생물막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MIC=125 ㎍/mL).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이 세포막에 작용하여 세포의 핵산 성분이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 S. mutans의 부착과 생물막 형성을 90% 이상 저해하였다. GTase 활성은 50 ㎍/mL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S. mutans의 생육과 생물막 형성을 공통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당귀 n-hexane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exane Fraction of Angelica acutilob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s)

  • 추명희;최현숙;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4-372
    • /
    • 2004
  • 일당귀의 n-hexane분획이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oxygen free radical대사와 지질과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일당귀 n-hexane 분획70 mg/kg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35$\%$ ethanol 10 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7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35$\%$ ethanol 10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140 mL/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율, 식이효율 및 혈청중 ALT, AST 측정과 간손상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간조직중 유리기 생성계 효소인 XO활성, 유리기해독계 효소인 SOD, calaase 및 GSH-Px활성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 및 GSH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분획의 항산화력은 n-hexane, ethylacetate, chloroform,n-butanol 및 water 분획순으로, n-hexane 분획의 항산화력이가장 우수하였다. 6주간의 체중증가율과 식이효율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상승되었고, 알코올투여로 상승된ALT 및 AST활성도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 조직중 XO활성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상승되었으며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저하는 되었지만 유의성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알코을 투여로 상승된 SOD활성은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catalase와 GSH-Px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 반응성 산물량은 정상군과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군간에 차이는 없었고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많은 증가를 나타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감소되었다. 알코올투여로 감소된 GSH 함량은 일당귀 n-hexane분획을 투여하여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일당귀의 항산화작용은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활성억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GSH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어지며, 또한 혈청중 ALT 및AST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써 일당귀가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쑥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 곽정훈;서운교;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220-223
    • /
    • 2001
  • Melanin 생합성에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올 생 쑥과 건조 쑥 용매 추출물로부터 검색하였다. 쑥은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열수 추출을 하였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건조 쑥의 ethan야 추출물의 hexane 분획에서 회수올은 각각 15.2%와 15.5%로 가장 높았다. 각 용매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건조 쑥 추출불보다 생 쑥 추출울이 더 높았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과 hexane 분획에서 각각 98.9%와 9 96.7%로 큰 저해활성을 가졌다.

  • PDF

인삼박 n-Hexane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of n-Hexane Extract from Ginseng Marc)

  • 인만진;채희정;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47-250
    • /
    • 2014
  • 인삼 추출물 제조 부산물인 인삼박의 지용성 성분을 n-hexane 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인삼의 n-hexane 추출물과 비교하였다. 인삼박의 hexane 추출물(HEGM)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88.8 mg/100 g으로, 인삼의 hexane 추출물(HEG)의 82%를 함유하고 있었다. HEGM의 DPPH 유리 라디칼 소거활성은 $IC_{50}$이 2.07 mg/mL이었고,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HEG가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20.0{\mu}g/mL$)와 대장암세포 (SNU-C4, $GI_{50}=37.0{\mu}g/mL$)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과 동일한 양상으로 HEGM도 폐암세포($GI_{50}=34.0{\mu}g/mL$)와 대장암세포($GI_{50}=45.2{\mu}g/mL$)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박에서 얻어진 HEGM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n-Hexane 및 Benzene이 백서 경골신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exane and Benzene on Tibial Nerve for Rats)

  • 이영수;노재훈;문영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0권2호
    • /
    • pp.236-246
    • /
    • 1987
  • n-Hexane and benzene are organic compound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as industrial solvents. However, they are also increasingly recognized as important pollutants in wor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p analyze neurotoxicity of benzene and n-hexane. In this study, tibial nerve of Sprague-Dawley rats were observed after exposing them to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unds (6000 ppm of n-hexane and 2000 ppm of benzene) which were known to be the levels to cause subacute toxicity for the three different periods; two weeks, four weeks, and six week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1) Myelin sheath thickness of nerve fiber for two n-hexane exposed groups (four weeks and six weeks) were both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benzene exposed group. 2)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erve fiber diameter and myelin sheath thickness for both exposed and control group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yelin sheath thickness from equal diameter nerve fibers between benzene exposed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 greater number of thin myelin sheath were observed for n-hexane expos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us, it is concluded that n-hexane tends to reduce the rate of growth of nerve fiber more than the benzene and control group. While these results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enzene and n-hexane, the duration of exposure was not long enough to apply these results to real working environments. In addition, to further understand the mechanims of nerve degeneration caused by organic solvents, both epidem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should accompanied by this kind of study.

  • PDF

배경가스에 따른 Hexane의 전자빔 제어 연구 (A Study of Hexane Decomposition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under Background Gases(Helium, Nitrogen, Oxygen, Air))

  • 김기준;박강남;김조천;선우영;손윤석;김기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24-730
    • /
    • 2006
  • A study on the electron beam(E-Beam) decomposi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under background gases(helium, nitrogen, oxygen, air) has been carried out. Hexane selected as aliphatic VOCs was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using a batch reactor in the dose range of $0{\sim}10kGy$ and at ambient temperature. The concentrations of Hexane were 140 ppmC, 300 ppmC and 600 ppmC, respectively. Irradiation treatment efficiency of Hexane was evaluated by the GC/FID, GC/MSD, and the by-products were analyzed by $CO/CO_2\;and\;O_3$ analyzers. In different concentration, the maximum degrees of Hexane decomposition at 10 kGy were 96.4%(140 ppmC), 88.3%(300 ppmC), and 49.9%(600 ppmC). It was found that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Hexane was higher than that of toluene at the same conditions(140 ppmC).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acetone, benzene, 2-hexanone, and 3-hexanone were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of Hexane.

흡착공정 개발을 위한 다중규모 모사: 활성탄에서의 n-Hexane 흡착에 관한 사례연구 (Multiscale Simulation for Adsorption Process Development: A Case Study of n-Hexane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 손혜정;임영일;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1087-1094
    • /
    • 2008
  • 본 연구는 활성탄을 사용한 n-hexane의 흡착공정에 있어서 분자수준에서 시작하여 공정단계에 이르는 다중규모 모사에 관하여 기술한다. 분자모사에서는 GCMC(Grand Canonical 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탄에서 n-hexane의 등온흡착식을 예측하고, 2차원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모사를 통하여 흡착컬럼 내 유체흐름에 대한 수력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공정모사단계에서는 분자모사 및 유체역학 모사에서 각각 얻은 등온흡착식과 축방향 확산계수값을 이용하여 n-hexane의 용출곡선을 얻는다. 이러한 3단계 다중규모 모사기법을 활용하여 얻은 공정모사 결과는 펄스응답의 실험결과와 비교해볼 때, 온도와 유량변화에 따른 1차 모멘트(평균 체류시간)에 관하여 약 20% 미만의 오차범위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분자수준에서 시작하는 다중규모 모사는 필요한 실험횟수를 줄이면서 흡착공정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제품폐기물 중 폴리브롬화에테르류 (PBDEs) 분석방법 비교 연구 (Evaluation of analytical method for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manufactured products waste)

  • 신선경;김형섭;전태완;김태승;김종하;이정아
    • 분석과학
    • /
    • 제20권2호
    • /
    • pp.109-1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재질로부터 시료를 분리하기 위하여 속실렛 추출방법과 용해-침전법이 적용되어졌다. 속실렛 추출의 경우 DCM, Toluene, THF, Acetone/Hexane (1:4, v/v)의 용매가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반면, ethyl ether, acetone/ethyl ether (1:4, v/v), acetone/hexane (1:1, v/v), DCM/hexane (1:1, v/v) 용매는 낮은 효율을 보였다. 용해-침전 방법의 경우 용해를 위해 사용된 용매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층실리카겔 컬럼과 플로리실 컬럼의 분획실험 결과 각각 hexane 250 mL와 70 mL로 최적 용래량이 결정되었다. 실제 폐 플라스틱 분석 결과 N.D.~1028 pp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Microwave Plasma Process에 의한 N-Hexane으로부터 다이아몬드 박막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Diamond Thin-Film from N-Hexane by Using Microwave Plasma Process)

  • 한상보;권태진;박상현;박재윤;이승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79-87
    • /
    • 2011
  • In this paper, the best conditions for the deposition of the high quality diamond thin-film from N-hexane as a carbon source in the microwave plasma process was carried out. Major parameters are the deposition time, flow rates of oxygen and hexane. The deposition time for the steady state thin-film was required more than 4[h], and the suitable flow rates of hexane and oxygen for the high-quality thin-film are 0.4[sccm] and 0.1~0.2[sccm], respectively. In addition, amorphous carbons such as DLC and graphite were grown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hexane, and it decreased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oxygen. Specifically, the growth rate is about 1.5[${\mu}mh-1$] under no addition of oxygen and it decreased about 60[%] as ca. 1.0[${\mu}mh-1$] with oxy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