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o Storytelling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영웅서사 콘텐츠와 글로컬 스토리텔링 전략 -웹툰 <좀비가 된 나의 딸>을 중심으로- (Hero's journey content and glocal storytelling strategy)

  • 서성은;강지원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9-112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영웅서사 콘텐츠의 글로컬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많은 디지털 게임이 영웅서사를 기반적 틀로 활용한다. 그러나 게임 스토리텔링은 곧 영웅서사로 인식될 정도로 천편일률적인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웹툰 <좀비가 된 나의 딸>이 보여주는 새로운 영웅서사 활용방식에 주목했다. <좀비가 된 나의 딸>은 전형적인 영웅서사 플롯 위에 비전형적이며 한국적인 캐릭터를 창조했다.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진 플롯과 함께 지역적 캐릭터를 내세움으로써 지역과 세계의 조화를 목표로 하는 대안적 글로컬 스토리텔링을 구현하고 있다.

영화 '캡틴아메리카' 시리즈에 나타난 영웅 캐릭터의 서사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the Hero Character in the Movie 'Captain America' Series)

  • 박찬익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1-118
    • /
    • 2019
  • Chapter 1 and 2 of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ology of modern storytelling using the hero narrative structure. This involved analyses of Joseph Campbell's monomyth structure, which is the prototype model of modern storytelling and Christopher Vogler's story structure in which the monomyth structure is classified into 3 Acts and 12 Stages. In addition, the movie 'Captain America' was analyzed based on Vogler's narrative structure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es results, the hero of 'Captain America' fully follows Christopher Vogler's hero narrative structure but in some cases, he does not follow the existing hero narrative structure.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because heroes of modern tales have different birth backgrounds from mythical heroes. There is also a difference even in the stage where a hero completes all adventures and returns home between modern tales and myths due to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a modern hero epic. Through this analysis, the modified modern hero narrative structure is evaluated to be appropriate as a basic model for modern storytelling. Further, it is expected that those who frame a film script can complete a new hero epic while following the structure of syntagmatic systems by selecting a level among Northrop Frye's paragmatic systems based on this structure and considering story themes and heroes'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게임에서의 '영웅 스토리텔링' 모델화 연구 (Study of Hero-storytelling Model in Console Games)

  • 최영미;배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09-116
    • /
    • 2006
  • 영웅스토리텔링의 기초인 '비범한 탄생', '낯선 세계로의 이입', '탐험, 모험', '영웅의 탄생', '귀환'의 순서는 게임 스토리텔링에서도 기초가 된다. 특히 이 과정 중 다음 단계로의 진입이 게임에서 Stage가 갖추어야 할 특성중 하나가 된다. 이때 영웅 스토리텔링의 관문이 가져야 할 특성은 크게 1) 외부적 한계 2) 내부적 한계의 극복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 대한 보상의 과정을 거쳐, 내부적 인정, 외부적 인정의 단계를 가지는데, 이것이 게임에서 핵심이 되는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이 단계가 게임 스토리텔링으로 전이되면 다음과 같다. 1-5단계가 기반적 스토리로, 6-9단계가 게임 진행으로, 10-12는 게임의 규칙이나 장르로 변형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에 적용 가능한 영웅 스토리텔링의 스토리 시스템화를 위하여, 게임 스토리텔링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 영웅 스토리텔링이라는 것을 밝히고, 사례를 분석하여 게임에서의 영웅 스토리텔링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구조주의적 스토리텔링 모델의 게임에의 적용 가능성 (An Apply of Structuralistic Storytelling Model to Game Design)

  • 박태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20
    • /
    • 2011
  • 구조주의적 스토리텔링 모델인 영웅스토리텔링 모델을 통하여 컴퓨터게임의 스토리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주로 전통적 매체를 대상으로 적용되었던 스토리텔링 모델을 게임에 적용하려한 것은, 그 모델이 단순히 이야기의 캐릭터와 사건을 정리한 수준의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본성을 추구하여 만들어진 것이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영웅스토리텔링 모델을 이용하여 고전적 게임인 테트리스를 분석하였는데 7원형과 12여정이 테트리스에서도 유효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게임이용자가 직접 주인공이 되는 게임스토리의 특성을 배려할 필요가 있었다.

위기상황에서 스토리텔링의 구성방식과 효과에 대한 분석 (The Structure and the Effect of Crisis Storytelling)

  • 홍숙영;조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83-693
    • /
    • 2014
  • 본 연구는 항공위기와 관련하여 언론을 통해 어떠한 위기 스토리텔링이 형성되는지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스토리텔링이 고객들의 기업에 대한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인 방법인 내용분석을 통해 스토리텔링 구조를 파악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공중들의 평가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상 기사의 10% 정도가 승무원들의 영웅적인 활약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었으며, 메시지는 '눈물, 침착, 영웅, 민첩한 대처, 헌신, 유감, 기타'로 유형화되었고, 승무원들의 영웅적인 활약상에 대한 기사들은 영웅신화의 분리, 입문, 회귀의 이야기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위기 상황에서 승무원들의 헌신적인 활동은 기업의 위기대처 능력의 평가와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수업이 과학학습동기와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lar System and Star' Using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 이석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5-11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For this study the 5 grade, 2 class was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 was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The research group had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class with teacher centered lectures for 10 classes in 10 weeks. The storytelling skill was focused on finding stories, constellation searching, story deciding, story hero deciding, story composition, storytelling complet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is stud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as split up according to attention power, relation, confidence, and sense of satisfaction. Also, space perception ability consisted of two-dimensional rotation, 3 dimension rotations, reflection, three-dimensional searching, number of block, and figure type i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pace perception ability. Also, after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good reaction by students. As a result,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d the effects of develop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it means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s potential possibilities and value to develop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lar System and Star' Using Storytelling on Science Concep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 김윤경;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7-10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concep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For this study the 5 grade, 2 class was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 was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The research group had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class of the teacher centered lectures on 11 classes in 8 weeks. The storytelling skill was focused on set the astronomical target wants to set up a story, through the small group discussion, present subject of the story, set the protagonist of the story for smooth configuration of the story, in order to smooth the flow of the story, make up a story around a hero, to make a clear story, decorated with pictures, shapes, graphs, etc, group story, complete with an astronomical(saints) in storytelling. To prove the effects of this study, science concept was split up according to knowledge, inquiry, attitude. Also, science learning motivation consisted of assignment is worth, learning beliefs about control, self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cience concept. Second,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lso, after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good reaction by students. As a result,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d the effects of developing science concep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t means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s potential possibilities and value to develop science concep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콜 오브 듀티를 통해 본 전통적 스토리 흐름의 컴퓨터 게임 적용 방법 (Applying Policy of Traditional Story-Flows to Computer Games -Based on Observations about Game 'Call of Duty'-)

  • 송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95-103
    • /
    • 2006
  • 컴퓨터 게임이 플레이어의 마음을 움직여 더 몰입되고 호소력 있는 게임이 되려면 스토리텔링이 잘 구성되어야 한다. 스토리텔링에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플롯(Plot), 즉 스토리의 흐름이 중요하다. 콜 오브 듀티는 스토리의 흐름 측면에서 잘 구성된 게임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 게임에서 전통적인 스토리 흐름 이론이 적용된 방식과 변형 적용된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컴퓨터 게임에 전통적인 스토리 흐름이 적용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영화와 게임의 호환 가능한 Story Value 분석 - 영화의 게임화, 게임의 영화화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e on Compatible Story Value between Games and Films)

  • 이자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45-650
    • /
    • 2008
  •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OSMU의 중심에 있는 영화와 게임, 두 매체간의 소재와 스토리의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공적인 사례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영화의 게임화, 게임의 영화화에 있어 성공적 스토리텔링을 좌우하는 중심 요소는 바로 Story Value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게임화와 게임의 영화화의 두 가지 경우에서의 Story Value의 비교 분석을 통해 두 매체 사이의 호환성 있는 스토리텔링 및 캐릭터 설정 방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애니메이션의 샷밀도 몽타주 패턴 (The Shot Density Montage Pattern for Annimation)

  • 신연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20-627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shot pattern through the tempo of segmented shot duration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with the unique emotion of the story. The structure of the story was classified into 3 chapters, 17 sequences, 83 scenes, 287 beats, and 1636 shots. Shot density is a method of visualizing tension in visual storytelling, and since it is a result obtained by mathematically calculating the density of divided shots, it can be helpful in designing tension delivered to the audience. Nine shot density patterns were extracted. The ascending(+) type was classified as A, B, C, D, 4, the descending(-) type, E, F, G, H, 4, and the maintenance(/) type, I, 1 type. Based on the spatiality of the 17 stages of Campbell's heroic narrative and McGee's story structure, the narrative level of the tree structure was proposed,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hot rhythm in the practical aspect of the story function was proposed to present a systematic methodology in the direction of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