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lipid

검색결과 1,030건 처리시간 0.024초

자귀나무와 결명자 추출 혼합물의 항고지혈 효과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Albizzia julibrissin and Cassia tora L. Extract Mixtures in Rats Fed with High-fat Diets)

  • 남종현;성기승;이종석;이옥환;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31-2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귀결명자추출혼합물 첨가사료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주령된 SD계 수컷흰쥐를 실험군당 12마리씩 배치하여 10주 동안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흰쥐용 사료(AIN-93G diet, 조지방 함량 7%)를 기본식이로 하여 돈지와 콜레스테롤을 각각 중량비로 7%, 1% 첨가하여 총지방함량이 15%가 되도록 고지방식이를 제조하였다. 흰쥐에게 실험 1기 (first phase) 5주 동안 고지방식이(high-fat diet)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켰다. 실험 2기(second phase)에는 고지방식이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자귀결명자추출혼합물 분말을 1.0, 2.5, 5.0, 10% 첨가군으로 하여 5주 동안 급여하였다. 자귀결명자추출혼합물 첨가사료(1.0, 2.5, 5.0%)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배변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체지방중 EFP 무게는 시료 첨가군(1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 지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시료첨가군(5.0, 10%)이 유의하게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시료 첨가군(1.0%)이 가장 높았다. 중성지방농도는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시료 첨가군(2.5% 5.0, 10%)에서 낮은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효소활성에서 G6PDH 활성은 고지방식이 대조군보다 모든 시료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한(p<0.05), 반면 malic enzyme 활성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 첨가군(1.0, 10%)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고지혈증 흰쥐에서의 자귀결명자추출혼합물 분말은 전반적인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앞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 등의 혈관 순환기 계통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비지메주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y aspergillus oryzae on the anti-obesity and lipids improvemen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이지언;최종근;박종필;임종환;서주원;이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493-502
    • /
    • 2013
  •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confirm the dietary effect of anti-obesity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iji-meju) by A. oryzae, which is well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meju microbe. We observed that body weight gain,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 as well as the activity of ROS generating enzyme and ROS scavenging enzyme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mice fed experimental diet (SCR and SCR-meju).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HC (high-fat diet control)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NC (Normal control). Conversely,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the SCR (Biji) and SCR-meju (Biji-meju)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C; these of the SCR-meju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CR group. Furthermore, serum TG and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of SCR and SCR-meju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HC, and HDL-cholesterol level of the SCR-meju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C. In conclusion, although precise mechanisms of the antiobese effects of SCR-meju in this study are unknow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experimental evidence that SCR-meju may prevent obesity and obesity related metabolic syndrome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liver disease by high-fat diet. Nevertheless, further study in this filed will be needed.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세포 손상 마우스에서 루틴 투여 후의 방사선 방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Post-treatment with Rutin on γ-Irradiation-induced Cellular Damage in Mice)

  • 강정애;윤선혜;노종국;최대성;장범수;박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88-393
    • /
    • 2015
  •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 후 루틴을 7일 동안 경구투여하여 감마선 조사로 인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한 방사선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루틴의 투여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조혈 면역계 손상을 억제하여 보호하였으며, 증가된 간독성 지표 효소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체내에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생체물질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조직을 손상시킨다. 루틴을 투여한 군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지질과산화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루틴을 투여한 군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에 항산화 활성을 회복시켰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후에 루틴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어 방사선 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김영완;김태훈;안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0-546
    • /
    • 2018
  •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beta}$-Carotene 탈색화 정도를 비교검토하였다. 그라비올라 잎의 수율은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1.76%),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그라비올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높았으나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Ca, K, Mg, Na, Mn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BHT 0.05%와 가장 근접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Cu/Fe 환원력 활성이 매우 강하였다. 그러나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TBA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eta}$-Carotene bleaching에서 높은 lipid perox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 잎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알코올 투여한 흰쥐 간세포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과 항산화에 미치는 식물추출물들의 영향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 조성환;김지철;김성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9-683
    • /
    • 2001
  • 본 실험은 알코올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콩나물, 솔잎, 표고버섯과 오가피 추출물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약 200g 정도의 Sprague-Dawley계 쥐들을 정상군, 알코올 단독투여군, 4가지 식물추출물 투여군으로 나우어서, 각 식물추출물을 알코올을 주입하기 전 8일 동안 200mg/kg b.w. 을 하루에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은 알코올을 주입하고 90분 후에 도살시켰다. 콩나물과 솔잎추출물 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단독투여군, 표고버섯, 오가피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의 알코올 탈수소효소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과 표고버섯, 오가파군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주었다. Catalase 활성은 식물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에게 일회성으로 알코올을 다량 투여했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catalase보다 우선적으로 알코올 대사에 반응함을 보여준다. 모든 식물추출물 투여군들의 지질과산화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추출물들이 알코올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증가오 항산화에 대한 효과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로바스타틴 정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Lovastatin Tablets)

  • 복혜숙;김명민;최경업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2
    • /
    • 1998
  • Lovastatin is a lipid lower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and belongs to a new class of pharmacologic compounds called the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By competitively inhibiting HMG CoA reductase, lovastatin disrupts the biosynthesis of cholesterol in hepatic and peripheral cells and increases the synthesis of high-density-lipoprotein HDL) receptor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the lactone ring of lovastatin is hydrolysed to the active inhibitor of HMG CoA reductase, lovastatin acid. Lovastatin is known to have poor oral absorption and wide individual variation. In this study, bioequivalence test of two lovastatin formulations, the test drug ($Lovaload^{TM}$,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 and the reference drug ($Mevacor^{TM}$, Chung Wae Pharmaceutical Co.)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A total of 18 healthy male volunteers, $31.90\pm3.60$ years old and $72.17\;7.88$ kg of body weight in average, were evaluated in a randomized crossover manner with a 2-week washout period. Concentrations of lovastatin acid in plasma were measured upto 12 hours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eight tablets (20 mg of lovastatin per table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ion at 238 nm.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vs-time curve from 0 to 12 hours $(AUC_{0-12h})$ was calculated by the trapezoidal summation metho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C_{0-12h),\;C_{max}\;and\;T_{max}$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6.72\%,\;1.52\%,\;and\;0.88\$, respectively).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rmulations at $\alpha$=0.05 were less than $20\%\;(11.65\%,\;19.73\%,\;and\;14.81\%\;for\;AUC_{0-12h},\;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for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pm20\%\;(-1.50{\leq}{\delta}{\leq}15.00$, $-12.50{\leq}{\delta}{\leq}15.50,\;and\;-9.64{\leq}{\delta]{\leq}11.40{\leq}\;for\;\;AUC_{0-12h}$ ,$C_{max}\;and\;T_{max}$,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new generic product $Lovaload^{TM}$ was proven to be bioequivalent with the reference drug.

  • PDF

적출관류 간에서 대황, 마황 및 황금이 7-에톡시쿠마린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ei Rhizoma, Ephedrae Herba and Scutellariae Radix on the Metabolism of 7-Ethoxycoumarin in Isolated Rat Liver)

  • 최기환;김순선;박윤주;정혜주;안미령;서수경;신윤용;김동섭;장영섭
    • 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2-430
    • /
    • 1998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Rhei rhizoma, Ephedrae herba and Scutellariae radix on hepatic metabolism, we examined the pretreatment effect of those on the metabolism of 7-e thoxycoumarin (EC). Water extracts (1g/kg) of Rhei rhizoma, Ephedrae herba and Scutellariae radix were administered orally to rats for 7 days, respectively. Livers were then isolated and perfused with 100mcM EC for 2 hours. The metabolites of EC, 7-hydroxycoumarin, sulfate conjugate and glucuronide conjugate were measured in the perfusates. The amount of glucuronide conjugates was decreased in Rhei rhizoma pretreated rats (p<0.01), however, 7-hydroxycoumarin was increased in Ephedrae herba pretreated rats (p<0.01). We examined whether the change of enzyme activity is related to the change of cytochrome P4501A1 and P4502B1 mRNA level in the perfused rat liver, which are responsible for EC metabolism. CYP1A1 and CYP2B1 mRNA level was increased, which wa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hei rhizoma nor ephedrae herba pretreatment. We also assessed the hepatotoxicity of Rhei rhizoma, Ephedrae herba and Scutellariae radix. The activities of ALT and AST were assayed at 24 hours after 7 days administration. Only the ratio of ALT over AST was increased in ephedrae herba pretreated rats (p<0.05). Lipid peroxidation was increased in Rhei rhizoma treatment (p<0.05), whil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performed after liver perfus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compared with vehicle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hedrae herba pretreatment increases the o-deethy-lation of 7-ethoxycoumarin in rats, which may be mediated by CYP1A1 mRNA induction.

  • PDF

실크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silk protein hydrolysates against tert-BHP induced liver damage)

  • 김주현;서형주;최현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5
    • /
    • 2017
  • 동물실험에서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을 투여하고 t-BHP투여한 군의 혈액 생화학적 검사 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AST, ALT 그리고 LDH가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투여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가 손상할 시에 증가하는 MDA를 간 조직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간 손상에 관여하는 효소의 누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HPLC로 간 조직에서의 GSH 측정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조직학적 검사 결과 t-BHP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과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어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실크단백질 산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 강경일;정진영;고경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3
    • /
    • 2006
  • 국내에서 선별 육종된 불로 구기자의 처리방법에 따른 간기능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CCl_4)$ 투여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조구기자 추출물(DFE), 볶은 구기자 추출물 (RFE), 그리고 생과즙(FFE)을 경구 투여한 결과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체중 100 g 당 간 무게는 처리조건에 관계없이 구기자 추출물 및 생과즙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간 무게를 나타내었다(p<0.01). 이것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섭취가 $CCl_4$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또는 간 독성에 의한 간 무게증가를 다소 완화하여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탄소$(CCl_4)$ 투여에 의하여 흰쥐의 혈청 GPT 및 GOT 활성과 LDH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볶은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RFEC)과 생과즙 투여군(FFJC) 모두 GPT,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투여군 모두 대조군(CO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 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의 MDA 함량과 GST, cytochrome P-450 활성 결과로 보아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을 섭취 시 사염화탄소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은 $CCl_4$ 투여로 인한 지질 과산화, 지방변성, 간 세포 괴사 등을 억제 시키는 간 독성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의 에탄올성 간장해에 미치는 식이 단백질과 섬유소의 영향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Fiber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조수열;박은미;이미경;장주연;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5-681
    • /
    • 1997
  • 체내에서 영양소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에탄올과 섬유소 및 단백질의 급여수준에 따른 이 들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에탄올을 투여한 횐쥐에게 단백질 급여 수준을 7%와 20%로 달리 하고 섬유소를 5%와 10% 첨가한 실험식이를 5주간 급여하므로써 이들 영양소가 에탄을 대사효소와 항산화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ADH)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 활성은 에탄을 투여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MEOS 활성은 단백질 정상 급여와 정상섬유소 급여시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 에탄을 투여로 감소된 aldehyde de-hydrogenase(AIDH) 활성은 정상섬유소군의 경우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Cytoch-rome P-450(P-450)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되었으며 에탄을 투여군에서 단백질 정상급여와 과량의 섬유소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Xanthine oxidase (XO)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저 단백군에 비하여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소 급여수준에 따른 XO 활성은 에탄올 투여군 중 단백질 정상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에탄을 투여는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결핍에 따른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 산화 함량은 단백질 결핍시 에탄올 투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에탄올을 해독키 위하여 간의 ADH와 MEOS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AIDH 보다 XO를 통해 해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대사효소 활성에 요구되는 단백질 공급과 10% 즉, 과량의 섬유소 급여 보다 5% 섬유소 급여시 에탄올성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