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dge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한 프로폴리스의 항-당뇨 효과 (The anti-diabetic effect of propolis using Hedge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 김미진;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447-459
    • /
    • 2010
  • 본 연구는 메타분석에서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하여 당뇨에 걸린 쥐들에게 프로폴리스를 투여하여 체중, 혈당량,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의 평균비교를 통해 프로폴리스의 항-당뇨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정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혈당량의 감소,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감소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동질성 검정을 통해 동질성을 만족하지 않은 모든 변수에 대해 랜덤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혈당량의 감소와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감소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투여기간과 투여량에 대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여기간이 체중, 혈당량, 콜레스테롤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메타분석을 이용한 카페인의 지질대사효과 (Lipid metabolic effects of caffeine using meta-analysis)

  • 김나정;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649-656
    • /
    • 2012
  • 카페인의 지질대사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카페인의 투여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눈 후 실험쥐들의 각 기관의 무게, 혈중 콜레스테롤 등 8개 변수를 관심변수로 두었다. 고정효과모형에서는 체중의 감소, 심장무게의 감소, 혈중 총지질의 감소,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 HDL콜레스테롤의 증가,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 간 중성지방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모두 동질성을 만족하지 않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한 결과 체중의 감소, 심장무게의 감소, 혈중 총 총지질의 감소,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 간 중성지방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녹차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Meta-regression analysis for anti-diabetic effect of green tea)

  • 윤아름;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4호
    • /
    • pp.717-726
    • /
    • 2011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녹차를 투여한 당뇨 유발 쥐들의 체중과 혈액 내 혈당량,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평균비교를 통해 녹차의 항-당뇨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에서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한 결과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혈액 내 혈당량과 중성지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동질성 검정을 통해 이질성을 보인 모든 변수에 대해 랜덤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체중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혈액 내 혈당량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녹차의 투여기간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해 녹차의 투여기간이 유의하지 않았다.

메타분석을 이용한 대두의 항-고지혈 효과 (A meta analysis for anti-hyperlipidemia effect of soybeans)

  • 김지은;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651-667
    • /
    • 2010
  • 항-고지혈 효과에 대한 연관 측도로 효과 인자를 고려한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하였다.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변의 콜레스테롤 농도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 그리고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다음으로 연구 간 분산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효과모형을 가정하여 분석한 모든 변수들에 대해 동질성 검정을 실행하여 연구 간의 이질성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장의 무게, 간의 무게,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에서 동질성을 만족하지 않았다.

비만치료에 있어서 환자특성에 따른 인지행동요법과 행동수정요법의 효과 비교: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Behavioral Treatment on Obesity Treatment by Patient Subtyp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차진영;김서영;신인수;박영배;임영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8-192
    • /
    • 2020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impa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behavioral treatment (BT) on weight loss and psychological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three different subtypes of obesity: simple obesity, obesity with binge eating disorder, and obesity with depression. Methods: Embase, PubMed,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nducted on or before May 2020, that used CBT to treat obesity.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tool 2 and publication bias was evaluated through the funnel plot using the trim and fill method, Egger's test, and Begg and Mazumdar rank correlation test.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an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was used to determine effect size. Results: Twenty-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a total of 22 intervention arms and 2,590 patients were included. Our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CBT, compared with BT, on weight loss distinctly differed across all patient subgroups. In the simple obesity group, CBT was more effective than BT (Hedges' g=0.138, CI=0.012~0.264); however, in the obesity with binge eating disorder group, BT was more effective than CBT (Hedges' g=-0.228, CI=-0.418~-0.038); in the obesity with depression group, the effect of CB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BT (Hedges' g=0.276, CI=-0.307~0.859).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outcomes observed in this study.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CBT on obesity treatment vary based on patient subtype.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CBT or BT should be selectively recommended as a treatment strategy for different obesity subtypes.

메타분석을 통한 심리적 스트레스와 해마용적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and hippocampus volume through meta-analysis)

  • 조민경;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27-236
    • /
    • 2018
  • 본 연구는 심리적 스트레스 경험과 해마 용적의 차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1990년도에서 2016년도까지 출판된 국외 문헌들 중 스트레스를 경험한 개인의 해마 용적을 측정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PRISMA에 따라 스트레스 경험 집단과 정상 집단 간의 해마 용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MRI를 사용하여 해마용적의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가 제시된 연구들이 분석에 사용되었고, 13편의 연구(스트레스 경험 374명, 정상 대상자 439명)가 최종 선별되었다. 스트레스원의 유형에 따라서는, 전쟁관련 연구 8편,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연구 5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체 메타분석에서 효과크기는 -0.70(-1.04; -0.37)이었고, 스트레스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전쟁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47(-0.78; -0.16),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91(-1.57; -0.26)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의 경험과 해마 용적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로 인한 환자 집단들의 해마 용적은 각 연구 간 이질성이 높은 편이었지만, 3개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해마 용적이 통제집단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근육뼈대계 질환에 대한 도수치료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Manual Therapy on Musculoskeletal Diseases : A Meta-Analysis)

  • 이정우;공광식;김동연;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3-21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xamine the high-level evidence of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on musculoskeletal diseases. Methods: Domest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that conducted clinical trials associated with manual therapy on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s. A total of 591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8 were identified, with 18 studies satisfying the inclusion data. The stud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PICO). The search outcomes were items associated with pain and physical function. The 18 studies included in the study were evaluated by using the R meta-analysis (version 4.0). The quality of 18 randomized control trials was evaluated by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ROB). The effect sizes were computed as the correcte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Subgroup and meta-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used. Egger's regression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publication bias. Cumulative meta-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error. Results: The following factors showed the large effect size of manual therapy on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s: pain (Hedges's g = 2.66; 95% CI = 1.47 ~ 3.85), and physical function (Hedges's g = 2.15; 95% CI: 1.22 ~ 3.08). The subgroup analysis only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type of manual therapy (pain) and outcome (physical func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ta-regression analysis. Publication bias was found in the data, but the results of the trim-and-fill method showed that such bias did not largely affect the obtained data. Furthermore, there were no data errors in the cumulative meta-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manual therapy on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s in pain and physical function. Subgroup analysis suggests that only the type of manual therapy for pain and the type of outcome for physical function differed in effect size.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Dementia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채공주;이미경;남은숙;이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0-530
    • /
    • 2021
  • 목표: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PsycINFO에서 종합적인 문헌검색을 하였고 메타분석에서는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 차이(Hedge's g)와 95% 신뢰 구간은 요약 측정으로 산출하고 랜덤 효과 모델과 역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13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오류 위험 평가를 위한 코크란 평가도구를 근거로 질 평가를 하였다. 결과: 효과 크기(Hedge's g)는 1차 결과 변수인 인지기능 0.31[95% CI:-0.02, 0.65], 초조행동 -0.03[95% CI: -0.17, 0.11], 2차 결과 변수인 불안 -0.61[95% CI: -1.17, -0.05], 우울 -0.44[95% CI: -0.88, 0.00]이었다. 음악중재 유형별 하위그룹 분석 결과 복합음악요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g=0.45[95% CI: 0.03, 0.87])에 유의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복합음악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Effect of feeding fermented soybean meal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a meta-analysis

  • Irawan, Agung;Ratriyanto, Adi;Respati, Adib Norma;Ningsih, Niati;Fitriastuti, Rahma;Suprayogi, Wara Pratitis Sabar;Hadi, Rendi Fathoni;Setyono, Wahyu;Akhirini, Novi;Jayanegara, Anurag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881-1891
    • /
    • 2022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FSBM)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by employing a meta-analysis approach. Methods: A total of 16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after being systematically selected using a PRISMA protocol. Hedges' g effect size was used to quantify poole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using random-effects models at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Publication bias among studies was computed with Egger's test and visualized using funnel plo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FSBM inclusion increased final body weight (BW) (SMD = 0.586, 95% CI: 0.221 to 0.951, p = 0.002) of broiler chickens, particularly in starter period (SMD = 0.691, 95% CL: 0.149 to 1.233, p = 0.013) while in the finisher period, the effect was weaker (SMD = 0.509, 95% CI: 0.015 to 1.004, p = 0.043). Average daily gain (ADG), feed intake (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not affected with FSBM inclusion when compared to control.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FI increased in starter period (SMD = 0.582, 95% CI: 0.037 to 1.128, p = 0.036). When considering types of microorganism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e subgroup analysis, we found that Aspergillus oryzae, mixed probiotics+bromelain protease,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ADG and FI (p<0.01). Additionally, either Bacillus subtilis+protease or Bacillus subtilis alone decreased FCR (p<0.001). However,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s of FSBM inclusion had no effects on final BW (p = 0.502), ADG (p = 0.588), FI (p = 0.861), and FCR (p = 0.462). Conclusion: Substituting SBM in broiler chickens' diet with FSBM improved BW of broiler chickens, especially in the starter period whereas the effects on ADG, FI, and FCR were mostly dependent on microbial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