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ing cycle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초

사이클 해석을 통한 GHP 성능 예측 (Prediction of GHP Performance Using Cycle Analysis)

  • 차우호;최송;정백영;김병순;전시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1호
    • /
    • pp.15-21
    • /
    • 2015
  • 가스 엔진 히트 펌프는 가스 엔진의 축동력으로 압축기를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전력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엔진 폐열을 활용하기 때문에 하절기와 동절기에 전력 Peak 를 억제하는 공조기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제품이다. 제품 개발 시 시스템 성능 예측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초기 설정한 운전점에서 열교환기 및 압축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반복 계산을 수행하면 최종적인 운전점을 도출할 수 있고, 가스 엔진의 성능 데이터를 활용하면 가스 엔진 히트 펌프의 정확한 효율을 예측할 수 있다. 난방 성능을 예측할 때에는 엔진 폐열이 시스템에 공급되기 때문에 외부 열을 흡입하는 구간과 엔진 폐열을 흡입하는 구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25 마력 가스 엔진 히트 펌프의 성능을 예측한 값은 실제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을 경우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며 향후 성능 예측 모델을 구성되는 부품 특성을 반영하면 오차의 폭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착상 및 제상을 포함한 VRF 히트펌프의 동적 수치해석 모델 (A New Dynamic VRF Heat Hump Simulation Including Frosting and Defrosting Models)

  • 박노마;신정섭;정백영;김병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1호
    • /
    • pp.1-13
    • /
    • 2015
  • 실외 열교환기의 착상 및 제상조건 하에서 VRF 멀티형 히트펌프의 동적 거동의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열전달-물질전달 완벽 상사 가정에 기반한 간단한 착상모델과 제상 모델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착제상 모델은 용량가변 압축기 모델과, 미소면적에 대한 열 및 모멘텀 평형에 근거한 열교환기 모델을 채택한 동적 사이클 해석모델에 적용되었다. 따라서, 제안된 모델은 공간에 대해 비균질 착상을 자연스럽게 예측할 수 있다. 개발된 동적 사이클 해석 모델은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능력 및 효율을 10% 이내에서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델은 표준적인 건물의 난방시즌 운전 해석에 적용되었으며, 착상 및 제상으로 인하여 동절기의 계절 성능계수를 7% 가량 하락 시킴을 보일 수 있었다.

단일채널 내 임계영역 이산화탄소 가열과정의 열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rmal-Fluidic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During Heating Process in the Near-Critical Region for Single Channel)

  • 최현우;신정헌;최준석;윤석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8호
    • /
    • pp.408-418
    • /
    • 2017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power system is emerging technology because of its high cycle efficiency and compactness. Meanwhile, PCHE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s gaining attention in $sCO_2$ power system technology because PCHE with high pressure-resistance and larger heat transfer surface per unit volume is fundamentally needed. Thermo-fluidic characteristics of $sCO_2$ in the micro channel of PCHE should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CO_2$ of various inlet conditions and cross-sectional shapes of single micro channel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upercritical state of higher than critical temperature and pressure. Test sections were made of copper and hydraulic diameter was 1 mm.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each interval of the channel and pressure drop was also measure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from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existing correlation. In this study, using measured data, a new empirical correlation to predict near critical reg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developed and suggested. Test results of single channel will be used for design of PCHE.

병렬 연결된 다중 증발기 구조 2상 유동 순환형 열사이폰의 부분부하 및 저온운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wo Phase Thermosyphone Loop with Parallel Connected Multiple Evaporators under Partial Load and Low Temperature Operating Condition)

  • 강인석;최동규;김택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1051-1059
    • /
    • 2004
  • Two phase thermosyphone loop for electronics cooling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est its performance under the partial load and low environment temperature conditions. The thermosyphone device has six evaporators connected parallel for the purpose of cooling six power amplifier units (PAU) independently. The heater modules for simulating PAUs are adhered with thermal pad to the evaporator plates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There are unbalanced distributions of liquid refrigerant in the differently heated evaporators due to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 To reduce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s caused by partial heating, two evaporators are connected each other using the copper tube. The pressure regulation tube successfully reduces these unbalances and it is good candidates for a field distributed systems. Under the low environment temperature operating condition, such as $-30^{\circ}C$, there may be unexpected subcooling in condenser. It leads the very low saturation pressure, and under this condition there exists explosive boiling in evaporator. The abrupt pressure rise due to the explosive boiling inhibits the supplement of liquid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for continuous cooling. Finally the cooling cycle will be broken. For the normal circulation of refrigerant there may be an optimum cooling air flow rate in condenser to adjust the given heat load.

Spin-coating법에 의한 $TiO_2$의 광촉매 효율 (Photocatalytic Efficiency of $TiO_2$Thin Films by Spin-coating)

  • 김범준;변동진;이중기;박달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4-269
    • /
    • 2000
  • $TiO_2$sol(30wt%, anatase)을 이용하여 스핀코팅으로 유리기판에 $TiO_2$박막을 제조하였다. 박막의 두께는 코팅주기의 횟수가 조절하였다. 한 코팅주기는 스핀코팅, 건조, 열처리를 포함한다. 박막의 반응성은 막 위에서의 자외선강도가 0.44와 2.mW/$\textrm{cm}^2$인 조건에서 벤젠기체의 광분해 속도를 통해 조사하였다. 박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표면적으로 증가로 인해 반응성은 증가하였으며, 0.44mW/$\textrm{cm}^2$일 때 4$\mu\textrm{m}$정도 이상의 두께에서 반응성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porous한 $TiO_2$박막은 비교적 넓은 유효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높은 자외선 강도하에서 박막두께에 따라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 PDF

밀도류 효과에 으히나 득령만의 성층변동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ratification in Deukryang Bay, Korea)

  • Byung-Gul Lee;Kyu-Dae Ch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3-232
    • /
    • 1998
  • 득량만의 조석주기에 따른 성층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30여개 관측점에서 관측된 수온, 염분, 밀도, 해류, 열수지, 바람, 밀도류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 관측자료를 토대로 성층현상을 규명할 수 있는 해석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 해석적모델을 이용하여 얻어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득량만의 성층을 이루는 요인은 조석, 태양열, 밀도,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층을 파과할 수 있는 조석에너지의 혼합에너지의 에너지 기여율 $\varepsilon$ 은 약 0.020 - 0.021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에너지밀도 리튬전지를 위한 망간이 첨가된 LiFePO4 양극재료 (Manganese Doped LiFePO4 as a Cathode for High Energy Density Lithium Batteries)

  • 김둘선;김재광;안주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7-161
    • /
    • 2013
  • 다공성 $LiMn_{0.6}Fe_{0.4}PO_4$ (LMFP)를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원료물질을 양론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600^{\circ}C$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입자 표면 전체에 전도성 탄소물질이 균일하게 형성된 LMFP을 제조하였다. LMFP의 결정구조는 리트펠트법에 의해 조사하였고, 표면구조와 기공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BET로 분석하였다. 제조된 LMFP는 표면적이 크고, 입자 표면에는 웹(web) 형태의 다공성 탄소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온에서 LMFP를 양극으로 사용하여 0.1 C의 전류밀도에서 초기방전용량은 152 mAh/g, 에너지밀도는 570 Wh/kg로 높았고 사이클 성능도 장기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LMFP는 높은 기공도와 균일한 탄소코팅에 의한 시너지효과로 이온확산이 용이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탄소섬유 접착 보강공법의 환경변화에 따른 부착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onding Behavior of the Rehabilitation Method Applying Carbon Fiber Subjected to the Vari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

  • 한천구;변항용;박용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접착보강공법의 박리와 연관한 부착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 특성에서는 바탕 콘크리트의 강도에 관계없이 온도 변화에 따라서 각 재료들의 변형 폭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음파 전파 속도도 온도변화에 따라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부착강도는 온도 변화가 클수록 부착강도의 값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파괴형태는 계면파괴와 모재파괴 형태로 나타났다. 건습 변화에 따라서는 4사이클까지 각 재료의 변형 및 초음파 전파 속도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건습 자체의 반복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 부착강도는 40%정도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교적 양호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동결융해 시험결과는 온도변화 요인과 유사한 경향으로서 동결융해 작용을 받을 경우 4사이클 이내에 박리가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DI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특수열처리 및 합금원소의 영향 (Effects of Special Heat Treatments and Alloying Elements on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Charateristics of ADI)

  • 김석원;한상원;이의종;박진성;우기도;김동건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9-74
    • /
    • 2002
  •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s and alloying elements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charaterisitics of specially austempered ADIs containing alloying elements such as Cu, Mo and Ni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with the effect of conventional and normal(CN) austempering treatment, two kinds of special austempering treatments which are those with pre-quenching and pre-heating were conducted. The hardness and uniaxial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echanical charateristics. The hardness of ADI treated by CN heat cycle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ADIs. Cu added ADI (Cu-ADI) tempered at 400 after austenitizing exhibited the highest fatigue life cycles. While austempering after prequenching makes the austenite with high carbon stable, which resulted in transformation to highly strengthened bainites from the carbon enriched austenite phases during tempering. The high carbon enriched banites is considered to improve the fatigue strength.

흡수열펌프에서 흡수기의 성능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Absorber in Absorption Heat Pump)

  • 민병훈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338-344
    • /
    • 2008
  • 냉 난방 수요에서 일어나는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화석연료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에너지보존을 개선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흡수식 열펌프기술은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흡수식 열펌프는 에너지를 주입하지 않고 폐열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흡수식 열펌프는 흡수기에서 흡수된 양의 증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흡수기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흡수기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메탄올과 글리세린을 작동유체로 하는 내벽에 나선형관을 설치하여 액상을 접선방향으로 공급하는 흡수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액상흐름에서 난류를 일으켜 물질 및 열전달을 증가시킨다. 흡수기의 각 위치에서 온도와 농도를 측정하여 열전달계수와 물질전달계수를 계산하였고 주입부분에서 열 및 물질전달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