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Valve Disease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16초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Cardiac Surgery Using Minimal Incision)

  • 김광호;김정택;이서원;김혜숙;임현경;이춘수;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3-378
    • /
    • 1999
  • 배경: 최근에 시작된 소절개선을 이용한 심장수은술 환자에게 미용상 효과가 좋으며, 통증이 적으며 빠른 회복을 가져온다. 본 교실에서는 그간 실시한 소절개심장수술의 현황을 임상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이후 1998년 11월까지 총 31례의 소절개술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실시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1세에서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흉골좌연종절개술을 실시한 예는 9례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공심폐기의 사용없이 박동상태에서 내유동맥으로 좌전행지관상동맥에 우회술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1례는 내유동맥의 비꼬임으로 술 후 1주일 째 재수술한 경우였다. 흉골우연종절개는 1례로 승모판교련절개술 후 재발된 협착증에 대해 승모판치환술을 실시한 경우였다. 소흉골절개선으로 수술한 예는 21례로, 승모판치환 및 삼첨판성형술이 6례, 승모판치환술 5례, 중복판치환술 2례, 대동맥판치환술 1례, 좌심방점액종 1례, 심방중격결손증 2례, 심실중격결손증 2례, 우심실 자창 1례였다. 처음 5례는 T형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대동맥기저부의 노출이 좋고 흉골 봉합시 안정감이 높은 화살모양의 흉골소절개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간, 인공심폐 구동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수술 1일까지의 흉관배액양, 흉관 거치기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은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선 예들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 예는 2례였으며 1례는 흉골소절개선으로 승모판치환 수술 1일에 대동맥 삽관부위의 파열로 출혈 사망하였고, 다른 1례는 흉골좌연종절개선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2일에 부정맥으로 사망하였다. 사망의 원인과 수술절개선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합병증은 뇌색전증 1례, 창상의 혈종 1 례가 있었다. 결론: 소절개선으로도 정중흉골절개선과 마찬가지로 심장 수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에서 승모판막 수술의 유용성 (Efficacy of Mitral Valve Surgery in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MR))

  • 정성호;이재원;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57-365
    • /
    • 2005
  • 배경: 관상동맥 질환에 동반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을 가진 환자들은 장기 생존율이 좋지 않다. 게다가 중등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에 대한 치료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 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만을 시행한 군과 승모판막 수술을 함께 시행한 군을 비교하여 승모판막 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진단받은 34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술만을 시행한 군을 I군(n=23), 승모판막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을 II군(n=11)으로 하였다. 각 군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69.3\pm4.3$개월과 $53.1\pm4.9$개월이었다. 결과: 양 군에서 수술 사망은 없었고, 만기 사망은 I군에서 1명 있었다. II군에서 모든 환자들은 고리(Ring)를 이용한 승모판륜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직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는 II군에서 더 만이 감소하였고, 마지막 추적 관찰한 심초음파 검사 상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인자들은 양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 군의 5년 생존율 또한 차이가 없었다($95.5\%\;vs\;100\%$, p=0.48). 결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가진 선택된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만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수술 전 심박출계수가 낮거나 NYHA class가 낮은 환자들에서는 수술 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서는 승모판막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또한, 승모판막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좌심실용적과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가 많이 감소하였는데 심실기능과 장기 생존율에 대한 이러한 인자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첨판 패쇄부전증에 이환된 개에서 NT-proBNP농도, 비만, 당 관련 인자 및 지방 관련인자간에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NT-proBNP and Obesity,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이승곤;남효승;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6
    • /
    • 2012
  • 사람에 연구에 따르면 심부전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NT-proBNP농도는 비만, 비만 관련인자들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아직까지 수의분야에서는 입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이첨판 패쇄부전증(CMVI)에 이환된 73마리 개 집단에서 NT-proBNP와 비만 및 비만 관련인자들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절식시 혈당 농도, 지방관련 인자(i.e., total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fructosamine, insulin 및 NT-proBNP 농도를 측정하였다. Insulin/glucose ratio 역시 계산하였다. NT-proBNP 농도는 CMVI에 의한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농도변화가 관찰되었으며, body condition scores (BCS), insulin 및 fructosamine 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혈중 NT-proBNP농도 간에 상관관계 역시 확인되었다. 또한 NT-proBNP농도는 비만과 관련 있는 인자인 fructosamine과 insulin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개에서 NT-proBNP농도와 비만 정도와 상관관계를 입증한 첫 보고이다.

재발성 심실성 빈맥이 동반된 승모판하 좌심실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 Submitral Left Ventricular Aneurysm and the Patient Present with Recurrent Ventricular Tachycardia)

  • 김영삼;조정수;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80-183
    • /
    • 2010
  • 승모판하 좌심실류는 흑인들에서 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심실성 빈맥을 동반한 승모판하 좌심실류의 수술 치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68세 남자로 수술은 통상적인 저체온 심폐 바이패스 하에서 진행하였다. 심첨부를 들어올리고 좌심실 후방 기저부에 위치한 심실류에 직접 종절개를 넣고 먼저 심실류의 목에 해당하는 부위의 심내막을 돌아가며 고주파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을 시행한 다음 승모판 및 판막하 구조물을 피해 첨포를 이용한 심실내 심실류봉합술(endoaneurysmorrhaphy)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현재 술 후 2년 정도 경과한 상태로 부정맥의 재발이나 승모판 기능이상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Fontan 수술후 발생한 대동맥판막역류에 대한 aortic root의 재 건술 - 1례 보고 - (Aortic Root Reconstruction for Aortic Insufficiency Developed after Fontal Operation - 1 case -)

  • 강문철;황성욱;이철;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37-140
    • /
    • 2002
  • 선천성 심기형 환아들의 장기생존이 향상되면서 소아연령에서의 대동맥판막의 문제는 드물지 않게 경험하게 되며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아연령에서도 대동맥판막수술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과거 심장외측통로폰탄술식을 받은 10세 환아가 점차 심해지는 청색증과 운동시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술전 시행한 심초음파 및 심도자검사에서 간내 측부순환에 의해 간정맥에서 폐 심방으로 체정맥혈류가 유입되고 있었으며 방실판막은 중등도의, 상행대동맥의 확장 및 대동맥륜의 확장으로 인한 대동맥판막의 심한 폐쇄부전을 동반하고 있었다. 수술은 먼저 폐 심방으로 연결되는 간정맥을 결찰하고 체외순환을 가동하고 심정지를 시킨 후 상행대동맥의 축소성형 및 대동맥등 축소화를 포함한 대동맥근 재건술및 방실판막에 대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환아의 호흡곤란 및 청색증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Starnes 수술의 증기결과 - 1예 보고 - (Midterm Result of Starnes Operation - A case report -)

  • 성시찬;손봉수;김영규;박진수;장윤희;이형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96-700
    • /
    • 2007
  • 심한 엡스타인 기형을 갖고 있는 한 신생아에서 Starnes 수술 후 중기 수술 결과를 보고한다. 환아는 출생 당일 청색증과 함께 심한 심비대로 입원하였다. 생후 19일째 심방화 우심실의 축소술과 함께 삼첨판 성형술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관상정맥동을 우심실 족에 두면서 삼첨판을 첩포로 폐쇄시키고 체폐동맥 단락술을 시행하였다. 생후 16개월에 양방성 상공정맥-폐동맥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30개월에 심외도관 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현재 환아는 생후 56개월로 특별한 신체적 제한 없이 잘 지내고 있다. 최근 추적 심장검사에서 동율동 상태로 매우 작은 우심실과 함께 정상적 좌심기능을 보여주고 있고 우심실에 혈전 형성의 증거는 없었다.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 성적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to the Early Results of the CABG)

  • 김대식;양진영;구원모;문승철;이건;이헌재;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43-1048
    • /
    • 1998
  • 연구배경 : 허혈성심질환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조기 성적 및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인자에 대하여 임상분석을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6년 6월부터 1998년 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환자 42명의 연령, 성별, 술전 심박구출률, Canadian heart classification, 허혈성심장질환의 위험 인자, 술전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 내흉동맥 사용 유무, 이식 혈관 수, 체외순환시간 등과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생존 및 사망률, 사망원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술후 합병증은 17명에서 발생하였다. 합병증이 발생한 군의 평균연령은 61$\pm$11.9세로 발생하지 않은 군의 평균 연령 51세$\pm$10.5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체외순환 시간은 합병증이 발생한 군은 198$\pm$42.5분, 발생하지 않은 군은 158$\pm$47.4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8). 그 외의 인자들은 통계학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추적 조사 기간은 12.5개월이었으며 수술사망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생존이 확인되었다. 수술사망은 2명(4.7%)이었고 그 중 1명은 대동맥판막치환술을 같이 시행받았던 환자로 술후 다발성 장기 기능부전으로 사망했고 또 다른 1명은 술후 폐렴, 창상감염 및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환자의 연령과 체외순환시간이 관상동맥우회술후 합병증 발생에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그 외의 인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심실중격결손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인강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4호
    • /
    • pp.620-629
    • /
    • 1989
  • A clinical analysis of 138 case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operated on from 1983 to June 1988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as don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VSD were 27.6 % and 41.0 % respectively of 500 open heart surgery cases and 334 congenital heart disease. 2. The range of age when the VSD was repaired was 3 months to 45 years, the mean age was 10.4 years and the 53.6 % of patients were under 7 years. The sex ratio was 6:4 in males favor. 3. The two common symptoms were frequ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and dyspnea whose frequency was 62.5 % and 58.7% respectively. 4. 52% of the patients was below 25 percentile of the standard body weight. 5. The most common chest PA findings were cardiomegaly and increased pulmonary vascularity. 6. On anatomical classification, perimembranous type was most common [65.5%], subpulmonary arterial type was 27.6 %, perimembranous plus subpulmonary arterial type was 3.4 % multiple VSD was 0.8 % and LV-RA defect was 2.6 %. 7.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founded in 39 cases [35.5 %] and PDA and aortic valve prolapse were most common associated anomalies and extracardiac anomalies were founded in 6.7 % of patients. 8. Mean extracorporeal circulation time was 68 min. and mean aortic cross-clamping time was 42 min. 9.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26 % of patients and the most common one was minor wound infection. 10. Right bundle branch block developed in 54.8% of the patients who had right ventriculotomy, 40.0% of the patients who had right atriotomy and 10.5% of the patients who had pulmonary arteriotomy. 11. The overall operative mortality was 5.1 % and the operative mortality of the patients who body weigh under 10 Kg was 23.8%.

  • PDF

신생아 폐쇄성 엡스타인 기형에 대한 변형 Starnes 술식 (Modified Starnes Operation for Neonatal Stenotic Ebstein Anomaly)

  • 이승현;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9호
    • /
    • pp.633-636
    • /
    • 2005
  • 출생 직후 Carpentier-Edward D형의 Ebstein 기형을 진단 받은 신생아가 심한 저산소증 및 심부전의 증상을 보여 생후 16일째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 상 거대한 우심방 및 심방화 우심실, 작은 기증적 우심실, 삼천 판막의 중격엽 및 후엽의 심한 하향 전위 및 전엽의 우심실 전벽 유착 등이 관찰되었고, 전형적인 협착성 엡스타인 기형으로 양심실 교정이 북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변형 starnes 술식을 적용하였다. 즉 폐동맥판막 및 전위된 삼첨판막 개구창을 일차 봉합 폐쇠하고 광범위한 심방 중격 절제술 등을 시행한후 우심실 전벽과 심실 중격 사이를 우심 첨부에서부터 다중 봉합하여 막성 중격 주변으로 10mm 정도 남기고 심방화 우심실 내부를 모두 봉합 폐쇄하였다. 또한 폐혈류 유지를 위하여 4mm ringed Gore-Tex 도관을 무명동맥에서 주폐동맥까지 연결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여 술 후 17일째에 퇴원하였으며, 6개월 후 큰 문제없이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도맥 단락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저자 등은 심한 협착성 엡스타인 기형 환자에게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심방화 우심실을 혈역학으로부터 제외시키는 변형 Starnes 방법을 적용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the Cox Maze Procedure Concurrently with Other Cardiac Operations

  • Kuh, Ja Hong;Song, Joon Young;Kim, Tae Youn;Kim, Jong Hun;Choi, Jong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3호
    • /
    • pp.171-176
    • /
    • 2017
  • Background: In elderly patients who have atrial fibrillation (AF), surgical ablation of the arrhythmia during cardiac surgery may be challenging. Despite the reported advantages of ablating AF with the Cox maze procedure (CMP), the addition of the CMP may complicate other cardiac operations.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CMP in elderly patients concurrent with other cardiac operations. Methods: From October 2007 to December 2015, we enrolled 27 patients aged >70 years who had AF and who underwent the CMP concurrently with other cardiac operations. The mean preoperative additive European System for Cardiac Operative Risk Evaluation score was $8{\pm}11$ (high risk). Results: Only 1 hospital death occurred (4%). The Kaplan-Meier method showed a high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92%). At mean follow‐up of 51 months, 23 patients (89%) had sinus rhythm conversion. The postoperative left atrial dimensio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8 patients who had reduction plasty for giant left atrium ($53.4{\pm}7.5cm$) and the 19 patients who did not have reduction plasty ($48.7{\pm}5.7cm$). Conclusion: In patients aged >70 years, concurrent CMP may be associated with a high rate of sinus rhythm conversion without increased surgical risk, despite the added complexity of the main cardiac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