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functional food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4초

꼬리진달래 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Extract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민진;유상미;김도연;허태임;이준우;박지애;박창수;김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8-944
    • /
    • 2018
  • 우리나라 특산, 희귀 식물로 알려져 있는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를 기능성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하여 발효 소재를 만들고 발효 소재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개선 활성을 조사 하였다. 고형분 함량 3%의 꼬리진달래 추출물에 L. rhamnosus를 3%가 되게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하여 $5{\times}10^9CFU/ml$의 높은 농도의 유산균이 배양 되었고 총페놀 함량은 배양 전 130 GAE mg/ml에서 157 GAE mg/ml로 증가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DPPH, ABTS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elastase 저해 활성은 발효 전과 비교 하였을 때 각각 1.3, 1.5, 2.4, 5.6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유산균을 이용 하여 발효하였을 때 새로운 발효소재로 식품 및 화장품 산업 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된다. 하지만 발효에 의한 천연 성분의 변화 및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 생리활성 관련 작용 기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 김희연;임상현;박유화;함헌주;이광재;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08-315
    • /
    • 2011
  •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alpha}$-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털부처꽃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한국 성인 체지방량 감소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에 관한 인체적용시험 (Eficacy and Sfety Human Study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for Reducing Body Fat Percentage of Korean Adult)

  • 박원형;선승호;차윤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32-841
    • /
    • 2013
  • This research, as a basic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food, is aimed at assessing the body fat reduction effect and for application to human body for such reduction in actual clinical settings by preliminary extraction of 2 types of wild edible greens,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Subjects over the age of 19 and less than 60 years old with BMI value range of $23.0kg/m^2{\sim}29.9kg/m^2$ were recruited through screening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with 25 subjects, through randomized allocation. With both patients and evaluators wearing blindfold,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4 capsules of 500mg of composite preparat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3 times a day for a period of 8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4 capsules of 500mg of placebo (fake food) with the same appearance as the preparation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day for a period of 8 weeks. After having carried out evaluation on physical examinations (body weight, BMI and body fat ratio, etc.), laboratory tests (general blood test, biochemical test of blood and urine test), lipid test, the chang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2 groups and within the groups in BMI and body fat ratio, which are the primary effectiveness evaluation at each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serum lipid and WHR, obesity related KOQOL, KEAT-26 which are the secondary effectiveness evaluations. There was no change between the 2 groups and within the groups in vital sign, CBC, BC and uri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ext.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BMI, body fat ratio and serum lipid. Additional confirmative clinical application test is needed in the future.

브로콜리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 임은정;김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5
    • /
    • 2009
  • 브로콜리 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가루 양에 대한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을 0%, 3%, 5%, 7%, 9%로 각각 달리 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3% 첨가구를 제외하고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퍼짐성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퍼짐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손실율은 3%와 5%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7%와 9% 첨가구는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증가하였다. 팽창율은 5% 첨가구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왔고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9%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왔다.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3%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브로콜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외관, 향기, 색,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5%와 7%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향기는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와 7%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색은 3%와 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고, 7%와 9%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과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7%가 가장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는 브로콜리 분말을 쿠키 제조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개발 가능성 검토 결과, 브로콜리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을 고려한 기호식품의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 된다.

  • PDF

함초 씨앗의 화학적 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iea Seed)

  • 임금숙;김란;전경미;최현숙;조훈;고하영;최창남
    • KSBB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372-379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iea seed. The lactic acid content of seed was about 2.0 fold higher than that of stem. Among various free sugars, the maximum fructose of seed, glucose of stem, and mannose contents of root were obtained, 176.3, 125.6, and 112.8 mg/100g, respectively. The maximum leucine content of seed among the essential amino acid was obtained, 853.7 mg/100g, which was about 3.0 or 6.0 folds higher than that of root or stem. In the case of glutamic acid of seed, it was 2,388.7 mg/100g, which was 5.6 or 9.8 folds higher han that of root or stem. The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of seed was 30.14%. The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s of seed, stem, and root were 43.87, 23.88, and 27.8 mg/100g, respectively. The catechin content of seed was an order of epigallocatechin (723.2 mg/100g) > epigallocatechingallate (654.3 mg/100g) > epicatechin (443.5 mg/100g) > gallocatechin (314.1 mg/100g). Especially, the non-gallated catechins content was about 2.0 folds higher than that of gallated catechins content.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ed increased from 38.7 to 65.9% when the hot-water extract content of seed at pH 1.2 increased from 1.0 to 5.0 mg/mL. However, it was decreased to 25.7% at pH 6.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seed was increased from 13.2 to 44.6% when the extract content increased from 20 to 100 mg/mL. These results show that S. herbaciea seed has a good potential to be used as a source of material or additive in cosmetics, food, and drug compositions.

쑥 추출물의 기능성과 쑥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 박찬성;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7
    • /
    • 2006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쑥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암활성과 쪽을 첨가한 쑥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sim}1,000ppm$에서 물 추출물은 $73{\sim}81%$, 에탄올 추출물은 $74{\sim}92%$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쪽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유방암세포 (MDA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30, 27% 였으며 폐암세포(A549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22, 23% 였다. 쑥을 첨가한 국수 생면을 $5^{\circ}C$에서 4주일간 저장하였을때 쪽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낮았으며 쑥 첨가에 의하여 국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쑥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와 적색도(a)는 건면과 삶은 면 모두 쑥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쑥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건면은 뒷맛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삶은 면은 쓴맛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쑥국수 제조시에 쑥의 최적 첨가농도는 2%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Nutrient Levels of Aqueous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Root during Liquefaction by Heat and Non-heat Processing

  • Bae, Ro-Na;Lee, Young-Kyu;Lee, Seung-K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09-416
    • /
    • 2012
  • The amount of cellular components including soluble sugar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glucosinolates (GLS) was investigated during radish root processing to develop a radish beverage. The radish root was divided into two parts, white and green tissue, and processed separately by extracting the juice from the fresh tissue and from the boiled tissue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content among the preparations. The overall palatability of both the fresh and boiled extracts from the green part of the radis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ame extracts from the white part. The sweetness of extract by boiling increased and its pungency decreased, thereby the palatability increased by being compared to the fresh radish extract. The sweetness was affected by sucrose not by glucose or fructose of monosaccharides by showing different sucrose contents according to treatment comparing palatability. Malic acid was identified as primary organic acid, and the content was higher in both the fresh and boiled extracts from the white part than in the extracts from the green part of the radish. The fresh extract from the green part of the radish contained more 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threonine and valine, and more hydrophilic amino acids including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rginine than those of the fresh extract from the white part, suggesting the green fresh part is more palatable than the white fresh part. The main sulfur compound was ethylthiocyanate in radish, and others were butyl isothiocyanate, dimethyl-disulfide, and 4-methylthio-3-butylisothiocyanate. The four GLS were detected much more in the fresh green and fresh white parts of the radish because they evaporated during boiling. The contents of the four sulfur compounds were higher in the white fresh part than in the green fresh part, which is likely the reason the pungency was higher and the palatability was lower in the white fresh part than in the green fresh part of the radish.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fresh extract compared to the boiled extracts from both the green and white part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resh radish extract is superior to obtain in terms of retaining desirable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mponents for health.

수세미 오이의 항산화 효소 및 항균 활성 검증 (Antioxidant Enzyme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ponge Gourds)

  • 이희주;문지혜;이우문;이상규;박동금;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702-709
    • /
    • 2014
  • 수세미오이(Luffa cynlindrica)는 박과 채소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용소재, 한방약재, 건강보조용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수세미오이의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재래종 수세미오이를 사용하여 수액의 무기성분을 분석하고 수액과 식물체 부위별 항산화 효소 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세미오이 수액은 K, Ca, P, Mg이 주요 성분이었으며, K의 함량이 $470mg{\cdot}L^{-1}$으로 가장 높았다. Ca과 Mg의 함량은 오이의 약 2배와 1.7배로 높게 나타났다. 수세미오이의 조직별 항산화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APX 활성이 CAT와 SOD 활성보다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로 비교해 볼 때 항산화효소 활성은 잎, 뿌리, 꽃, 과실, 종자, 수액보다 줄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세미오이 수액의 식품유해균 10종에 대한 항균 활성은 Vibrio parahaemdyticus와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하여 미미한 활성을 보였을 뿐 그 외 8종의 균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피부염 등 인체 감염을 일으키는 Candida albicans와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수세미오이의 부위별 항균활성 분석 결과, 수액의 항균활성이 식물체의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이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영유아 장내균총 정상화를 위한 프로바이오틱 유제품의 개발 (Development of Probiotic Dairy Product for the Normalization of Microbial Flora in Korean Infants)

  • 김민경;최아리;한기성;정석근;채현석;장애라;설국환;오미화;김동훈;함준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0-295
    • /
    • 2011
  • 유아의 장내 균총 정상화에 유용한 새로운 발효유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생아 분변시료에서 2,200균주를 분리하고 348 균주의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유산균의 37.8%가 E. faecalis로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유전자형을 나타낸 E. faecalis 중에서 MRS 액체배지에서 가장 생장이 우수한 E. faecalis KACC 91532를 선발하였다. 선발 유산균을 이용하여 전통식품인 타락죽을 발효하고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타락죽의 발효시 E. faecalis KACC 91532는 $6.14{\pm}0.19$에서 $7.36{\pm}0.13$ Log CFU/mL로 증가하여, 섭취량과 E. faecalis가 건강기능식품기준 및 규격에 고시되어 있는 점을 고려시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가 가능하며, 특히 유아의 장내 균 총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혈관내피세포에 부착하는 THP-1에 대한 발효마늘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Fermented Garlic Extract on Adhesion of THP-1 Cells to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 권오성;송지나;유휘종;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3-560
    • /
    • 2017
  • 마늘은 전통적으로 cycloalliin을 포함한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혈관계에서 발효마늘추출물이 어떤 효능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발효마늘추출물이 내피세포의 단핵구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농도 변화에 따른 실험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을 0.1 또는 $1{\mu}g/ml$ 농도로 전처리 하면, LPS에 의하여 촉발되는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 달라붙는 THP-1의 부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핵구의 내피세포 부착이 염증반응 초기단계에 진행되는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마늘추출물이 혈관 염증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포신호전달물질의 활성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이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eNOS와 Akt의 활성을 유도함을 알았다. eNOS의 인산화 반응은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한지 10분 후에 최대로 상승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Akt도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하고 10분 후에서 인산화 반응이 최대로 상승되었다. 산화질소 양 변화 측정에서도 발효마늘추출물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상승시켰다. 한편, 산화질소 생성을 저해하는 억제제 처리는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해 나타나는 세포부착 저해능력을 감소시켰다. eNOS와 Akt를 매개로 하는 LPS 유도 세포 부착 정도가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된다는 것은 산화질소가 세포부착에 중요 매개물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발효마늘추출물은 염증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