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Unrelated Major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보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관리수준에 관한 비교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Oral-Health Care of Som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 이민영;유자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1-1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an attempt to stress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boost the efficiency of oral health 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3 college students. Out of the selected students, 174 were health-related majors, and 189 weren't.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Concerning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the largest number of the male students who accounted for 55.2 percent brushed their teeth once a day on average, and the greatest number of the female students who represented 52.9 percent did that twice a day. As for the influence of their major, the largest group of the health-related majors who numbered 89(51.1%) brushed their teeth twice a day,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health-unrelated majors who numbered 93(49.2%) did that once a day. The gaps between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As to the length of toothbrushing time by gender, it took more than two or three minutes for the larg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96(76.8%) and 184(77.3%) to do toothbrushing(p<0.01). The great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2(57.6%) and 183(76.9%) brushed their teeth after meals. 3. In regard to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groups of th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8(44.8%) and 115(60.8%) had chewing gum and candy with them. As to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99 health-related majors(56.9%) and 133 health-unrelated majors(70.4%) didn't put oral hygiene supplies to use. Thus,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was statistically less common among the health-unrelated major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1). 4. As for health-related concern by gender, the largest group of the male students that numbered 56(44.8%) showed the most interest in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female students that numbered 103(43.3%) were most concerned about tooth whitening. The ga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the track of their majo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5.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caling,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never got their teeth scaled regardless of gender and major, and the greatest group didn't care about scaling irrespective of gender and major, either, though they considered it advisable to do.

  • PDF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교 내 구강건강관리행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School)

  • 이선미;하정은;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6-70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대학생이 학교에서 구강건강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고,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구강건강관리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부산 소재 K대학 재학생 2,788명이었다. 남성은 1,536명(48.7%), 여성은 1,252명(51.3%)이었고, 전공별로는 보건계열이 670명(24.0%), 비보건계열이 2,118명(76.0%)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칫솔 휴대 비율은 보건계열 670명 중 473명(70.6%)였고, 비보건계열 2,118명 중 770명(36.4%)로 보건계열 학생이 칫솔을 휴대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을 휴대한 1,243명의 학생 중에서 외부에서 식사 후 칫솔질을 꼭 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해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보건계열이 74.8%로 비보건계열보다 높았고,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행태는 칫솔을 휴대하고 있는 그룹에서 학교 내 칫솔질 실천율과 치실이나 치간솔의 사용율, 음주 후 칫솔질 실천율이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에서 칫솔질 실천율을 조사한 결과, 학교에서 이를 닦는 비율은 42.8%로 나타나,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귀찮아서 이를 닦지 않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신념과 태도 및 지식을 올바르게 형성시키려면, 현 시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며, 칫솔 배분이나 칫솔 교체 사업 등과 같은 실질적인 대학생 대상 건강증진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일부 여학생들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전공별 구강보건 인식, 지식 및 행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Major of Some Female Students for Life Care)

  • 이미림;이효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49-158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학과, 비보건계열학과 여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행태 등에 관하여 비교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591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모두 치위생학과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지식 수준은 치위생학과 학생(9.73)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보건계열(9.14), 비보건계열(9.05)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행태에서는 하루에 칫솔질 3회 이상하는 학생과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는 학생, 최근 1년 이내 치과정기검진을 받은 학생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순이었다. 최근 1년 이내 치석제거의 경험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관심도와 구강 건강 중요성의 인식도가 높아졌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칫솔질 횟수가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 인식도가 높아지고 구강건강 실천도도 높아지게 되므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의 개발이나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지역 보건 및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 윤성욱;장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198명과 비보건계열 203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학년에서 3,4학년, 학과는 보건계열, 치과정기검진과 치과교육경험은 받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경로는 친구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지식의 '칫솔질 시 혀를 닦는 것이 구취예방에 효과가 있다'가 94.5%로 가장 높았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에서 보건계열이 높았다. 구강보건행태의 '혀닦기를 한다'가 평균 4.20으로 가장 높았다. '자신에게 맞는 칫솔질 방법을 알고, 시행하고 있다'와 '치주병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스켈링을 한다'가 보건계열이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의회귀분석 결과 Y(구강보건행태)=2.692+0.377(치과정기검진)+0.145(치과교육경험)+0.215(구강보건교육경로)+0.045(구강보건지식)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신체이형장애와 자가우울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between Health and Non-Health related Majors)

  • 오나래;정선아;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11-217
    • /
    • 2013
  • 신체이형장애는 정상적인 용모를 가진 사람이 용모에 대해 상상으로 변형이나 결손 등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 또는 사소한 결손을 과장되게 변형된 것으로 보는 생각 등에 집착해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 이형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 두 군을 비교하고 우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한 K대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200명 비보건계열, 200명은 보건계열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총 31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은 신체변형장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특히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모두 신체 변형 장애가 심할수록 자가우울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변형 장애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보건계열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신체 변형 장애와 자가 우울에 대한 임상적으로 구체적인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대학교 3학년의 치매 인식과 보건교육 요구도: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비교 (The Third Year Students' Recognition Level for Dementia and Health Education Needs in Universities: Comparison between Health Major and Non-health Major)

  • 이준우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6
    • /
    • 2009
  •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the correct comprehension of dementia and of health education needs by comparing the students' recognition level of dementia. Methods: Three health major departments(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three non-health major departments(the department of Englis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iology) were randomized in universities. And the 180 juniors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ir level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of recognition of dementia was analyzed. Results: There weas no difference about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between the students of health departments and non-health departmen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about other health education needs. Conclusion: Students of non-health majors who learn the subjects unrelated to dementia should get an education on dementia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recognize health education needs on dementia.

  • PDF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유무 및 계열에 따른 구강관리 행태 및 관심도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Pattern and Interest of Oral Health Care According to Smoking or not and Health - 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 이정화;전은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moking status and management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to provide basic data of giving up smoking policy for oral health management and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268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March 3, 2010 to March 10,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o compare department, the answers of that in health science department were 38.3% and the other department were 44.3%, however it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01). (2) As to compare department, the answers of that in health science department were 50.8% and the other department were 68.6%(p<0.007). (3) As to compare department(p<0.00), the answers of that in health science department were 36.7% and the other department were 55.0%, smoker group and non-health science depar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p<0.014).

일부 보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som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about Hepatitis B)

  • 정기옥;김주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the infection routes, symptoms and treatments of HBV by students of health-related departments so as to help students learn correct knowledge about hepatitis B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oral health policies to prevent hepatitis B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fection management.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666 students of health-related departments and other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Daegu City, Gyeongbuk Province were arbitrarily chosen and given a questionnaire. The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between October 1st and 31st, 2007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11 were students of health-related departments and 355 were students of other departments. 55.9% of the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and 49.0% of the other department students received immunization against hepatitis. 36.0% of the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and 31.6% of the other department students had antibodies. 2.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infection routes of HBV, the right answer "Infected through placenta" was chosen by more juniors(94.4%), sophomores(93.8%) and freshmen(74.1%) of health-related departments than other students in this order (P<0.05). The answer "Infected through sexual intercourse" was chosen by the highest percentage(75.0%) of juniors followed by freshmen(69.2%) and sophomores(31.9%) (P<0.05). 3. The percentages of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who knew that "HBV can develop into hepatic cirrhosis or liver cirrhosis were the highest among juniors(88.9%), freshmen(87.7%) and sophomores(68.8%) in this order(P<0.05). Among the other department students, the percentages of right answers to the question "Acute HBV infection shows jaundice" were the highest among juniors(75.0%), sophomores(74.8%) and freshmen(58.7%)(P<0.05).

  • PDF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리 (Stress and Oral Health Care in Nonhealth-Related Majors)

  • 우승희;주온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27-535
    • /
    • 2015
  • 조사 대상자인 235명의 대학생들은 27.2%가 치아우식증 치료 경험이 있고 48.1%가 치주질환을 치료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46.4%는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하고 54.0%는 스켈링 경험이 있으며 58.3%는 칫솔질 교육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46.4%가 구강보조용품으로 치실을 사용하였고 66.4%는 일일 3회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73.6%가 칫솔은 2~3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대상자인 235명의 대학생 스트레스를 항목별로 조사한 결과 성격에 대한 스트레스가 $3.40{\pm}0.73$으로 가장 높았다. 그 중 '뭔가를 하는 것이 귀찮다'는 항목이 $3.73{\pm}1.20$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사람의 문제에 대하여 걱정하였다'가 $2.22{\pm}1.15$로 가장 낮았다. 여학생은 외모와 성향, 가족,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235명의 대학생 중 치아우식증을 가지고 있거나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치석제거 경험이 있거나 칫솔질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즉 예방관리를 하는 집단이, 예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평균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을 위해 치료를 하는 단계에 이를 때면 이미 스트레스가 상승하고 예방적 관리가 잘 이루어질 때는 스트레스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 구강병이 발생하여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아지므로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구강질환 예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