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Related Fitnes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3초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고령자의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SEP on elderly Women's Life Function Fitness and Health-related QOL)

  • 김윤식;신상근;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1-3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의 여성고령자들에게 재가운동 프로그램(home support exercise program)을 16주간 주3회씩 실시하여 생활기능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총17명, 평균나이:79.4)과 통제군(총17명, 평균나이:80.7)은 부산시 연제구에 거주하며 신체적 외상이나 거동에 불편함이 없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성 고령자로 구성하였다. SAS 9.2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집단간 기술통계와 동일성 검증 및 사전측정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덤벨 들기, 일어섰다 앉기, 2.24m 왕복달리기, 2분간 제자리 걷기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성을 측정하는 등 뒤 손잡기 항목에서는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점은 재가운동프로그램에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항목을 추가하여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셋째, SF-36을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는 8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실험군과 통제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다만 통증과 활력 하위요인에서 운동을 처방받은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p<.10 수준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미세하게 시사하였다.

제조업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모형구축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 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24-63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women workers from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s, food production and garment production, and analyzed by LISREL 8.54. Result: The fitness indices of the model are GFI=.87, NNFI=.91, PNFI= .74. Eight out of the ten path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ork environment$\rightarrow$social support, work environment$\rightarrow$health behavior, work environment$\rightarrow$-WMSDs, domestic work$\rightarrow$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rightarrow$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rightarrow$job satisfaction, health behavior$\rightarrow$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rightarrow$WMSDs.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WRMDs. WRMDs were accounted for 35% by the predictor variable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WMSD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WRMDs,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both physical work environment for female workers such as appropriate work station and tools fit for them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such as less job demand and more decision latitude(worker control).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Academic Performance in ROTC

  • Jekal, Yoonsuk;Kang, Sang-Mi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8-57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군사관후보생(ROTC)의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학업성취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J 대학교에 재학중인 71명의 학군사관후보생을 선발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습관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체력수준은 건강관련 체력평가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능력은 해당 학군단 장의 승인을 받은 대학성적자료(GPA)를 참가자 동의하에 수집하여 각각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참여습관, 체력수준, 대학학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체력수준별 학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 참여습관과 학업성취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주요 과목과 총체력점수, 심폐체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체력 수준별로는 체력이 높은 그룹의 ROTC가 낮은 체력 그룹의 ROTC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능력을 보였다. 또한 낮은 체력수준의 ROTC 그룹은 높은 체력수준의 ROTC에 비해 학업성취능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수준이 높은 ROTC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자율적이지만 체계적인 체력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ROTC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미래 장교를 양성할 것을 제안한다.

노인의 건강체력과 우울, 삶의 질 관계 : 인지기능을 매개변수로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천명업;최재원;강성구;유하나;이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39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체력, 우울 및 삶의 질 변인 간의 통합적 인과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 소재의 노인복지관과 노인정에서 동의를 얻은 자발적 참여자 385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인지기능, 삶의 질 및 우울의 설문지와 하체·상체 근력, 동적평형성 및 민첩성, 악력과 전신지구력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일련의 절차를 걸쳐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지기능과 건강체력, 우울 및 삶의 질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인지기능과 건강체력, 삶의 질 및 우울의 통합적 관계성에 대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 체력이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지기능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낙상예방 관련 체력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Fall-Proof-related Fitness in Older Female Adults)

  • 옥현태;주기찬;김완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and fall-proof-related fitness in older female adults. METHODS: This study promoted and sample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2 weeks, and developed a basic information questionnaire to select the subjects to be excluded from the research. The amount of energy expenditure through daily physical activity was examined, and the elderly physical fitness, and balance test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 A (${\geq}1,500kcal/week$), group B (<$1,500-{\geq}1,000kcal/week$), and group C (<1,000 kcal/week) according to their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Chair Stand Test (lower body strength), 8-Foot Up-and Go Test (dynamic balance), and CTSIB-M (modified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in Balance) was observed among groups A, B, and C (p<.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ir Sit-and-Reach Test (lower body flexibility) (p>.5). CONCLUSION: The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is an essential factor for preventing falls and it provides many health benefits for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elderly people cannot access exercise programs easily in Korea, it can be predicted that increasing elderly people's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rather than specific exercises may help prevent falls.

순환운동이 50대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lation exercis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pressure and blood vessel elasticity of obese women in the 50s)

  • 김연주;김지현;하수민;김정숙;김종원;윤병곤;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56-768
    • /
    • 2017
  • 본 연구는 50대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순환운동이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위해 비만중년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운동그룹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당 40분간, 주3회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 수행강도는 50-70% HRmax, 저항운동은 1-RM의 40-60%로 수행되었으며, 순환운동 전 후에 측정한 자료의 그룹 내 차이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운동 전 후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그룹은 건강 체력 중 BMI(p<.05)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1)이 증가하였으며,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심폐지구력,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1).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이완기 혈압은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PWV는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이상의 결과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증진 및 비만치료를 위한 순환운동은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생애주기별 신체활동 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 호서지역 보건소 프로그램 중심으로 - (Status and Operational Activation of Life-Cycle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 - Focused o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Programs in Hoseo Region -)

  • 이왕록;박상균;김대훈;오윤지;김영삼;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27권2호
    • /
    • pp.35-42
    • /
    • 2021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fe-Cycle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s (PATPs) in Hoseo Region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the 81 PATPs performed in 36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region. The basic data was collected by Official Documents, the Homepage of the Centers, Telephone Interview, and e-mail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s. All the data were classifi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Rural, Urban-Rural Intergration and Urban Region), the Life Cycles (Children, Youth, Adult and Old Adult) and the Health-related Fitness Variables (Strength/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Aerobics). The ACSM's (American College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PATPs. In the results, the number of the PATPs was too low compared to the population. Also, the PATPs were not considered to the Life-Cycl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The management of the PATPs was principally inadequate.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the PATPs were deficient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Fitness. In conclusion, the number of the PATPs should be increased proportionally compared to the population, operated and developed on the Specificity of the Life-Cycle Population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Further, the PATPs should be managed on the scientific knowledge of physical activity therapy.

농촌 지역 일부 노인에서 신체 기능 정도에 따른 활동 제한도, 비만도 및 영양소 섭취 수준의 변화 양상 비교 (Comparison of Self-living Ability, Obesity Indice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Physical Fitness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s)

  • 서희재;김복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7-586
    • /
    • 2009
  • Aging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energy expenditure, thermogenesis and energy requirements. Maintenance of physical fitness of the elderly has been reported to reduce the rate at which the basal metabolic rate, muscle strength, skeletal muscle mass and bone density deteriorate. Skeletal muscle disease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physical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disability, emotional problems, body compositions, obesity indices and nutrient intake levels according to physical fitness with the elderly in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physical fitnes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0.05),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p<0.001), Body Mass Index(BMI, p<0.001) and abdominal obesity(p<0.05), while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eneral Self Efficacy Scale(GSES)(p<0.001) and nutrient intake(p<0.05). When changes in these facto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ange of quartile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FAB Scale), GSES(Q1=35.3, Q2=43.5, Q3=53.2, Q4=51.9, p<0.001), BMI(Q1=36.1%, Q2=34.7%, Q3=33.2%, Q4=28.6%, p<0.01), abdominal obesity(Q1=1.02, Q2=0.99, Q3=0.97, Q4=0.94, p<0.001) and nutrient intake(Q1=71.1%, Q2=75.4%, Q3=80.6%, Q4=80.2%, p<0.05) differed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tter physical fitness would lead to a reduction in negative factors including physical disability and obesity indices, but to an increase in positive factors such as GSES and nutrient int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in a local society.

응급구조 전공과 체육 전공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비교 연구 - 대전·충남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Strength between a major in EMT Students and a major i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 조병준;김학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9-1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strength, between EMT student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Nine a major in EMT student volunteers, and nine a major in physical education student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at study as subjects. The basic physical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isokinetic strength were measured.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y was analyzed by SPSS PC+ for window version 10.0. The difference in the mean of each variabl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analysis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c physical fitnes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ception flexibility. The difference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back strength, balance and power i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lean body fat. The difference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body fat%, body fat mass in the physical education students. 3. There was significant defference in the isokinetic strength between the two group. The difference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peak torque, peak torque B/W%. It was conclud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students may not have an effect of flexibility; however, back strength, balance, power, body composition, isokinetic strength, could be enhanced due to the long-term period of 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gular participation of regular exercise help the untrained men achieve health-related fitness.

  • PDF

사용자 정보 분석 기반 모바일 피트니스 시스템 (Mobile Fitness System based User Information Analysis)

  • 이종원;한개;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49-2154
    • /
    • 2016
  • 현대 사회는 건강한 삶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연구 및 서비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IT 분야에서는 의료 분야의 정보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개발된 시스템들은 PC 및 스마트 TV를 활용하거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료 분야의 정보 및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지만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정확히 분석하는 알고리즘이나 시스템은 개발 단계인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BMI(Body Mass Index) 지수와 BMR(Basal Metabolic Rate) 수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기존의 피트니스 시스템들처럼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소모한 칼로리 값을 보여주는 것과 달리 사용자의 신체에 적절한 운동 강도, 적정 수준의 운동량, 적합한 운동 기구를 추천해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추천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