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Related Fitnes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성인 여성의 혈압수준에 따른 체력의 차이 (The Difference of Fitness according to Blood Pressure Level in Korean Women)

  • 소위영;최대혁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135-147
    • /
    • 2009
  • 최근 우리나라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더불어 운동부족 등으로 고혈압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운동요법으로서의 고혈압 처치 및 예방을 위하여 다각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혈압강하와 관련된 운동의 효과 분석, 운동프로그램의 유용성 분석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자는 국민건강 관점에서 볼 때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 수준 차이에 대한 확인은 고혈압 예방 및 처치를 위한 핵심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후에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연구 과제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확인하여 고혈압 예방에 대한 체력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심폐기능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가치 있는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2004년 1월 2일부터 2008년 9월 31일까지 S시 Y구 보건소 내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고혈압검사가 포함된 종합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88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미국 고혈압 합동위원회의 제7차보고서(JNC7)의 고혈압 기준에 따라서 정상군, 조기고혈압군, 고혈압1기군과 고혈압2기군으로 나누었다. 심폐기능의 평가는 안정시심박수와 폐활량으로 체력의 평가는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으로 하였고, 고혈압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위험변수인 체질량지수, 음주, 흡연을 보정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여 체력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가지의 모든 심폐기능 변인, 7가지의 모든 체력 변인에서 대부분의 연령대별로 4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상군에서 고혈압군으로 혈압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심폐기능과 낮은 체력수준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타요가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tha Yoga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Health-Related Fitness of Obese Middle-Aged Women)

  • 김도연;이정아;양점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1-528
    • /
    • 2011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비만중년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운동이 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와 내장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타요가 운동을 16주간 운동군과 비운동군으로 나누어 주3회, 80-90% ROMmax, 60분간 실시한 후 운동 전과 후의 신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에너지대사 및 건강체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하타요가집단은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허리엉덩이둘레비(WHR) 및 내장지방면적(VFA)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유리지방산(FFA)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지수(HOMA-IR)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타요가 집단은 악력, 배근력,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하버드스텝테스트 및 앉아 윗몸앞으로 굽히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요가운동이 비만중년 여성의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 비만해소와 대사합병증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Resistance Training Circuit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lood Lipids and Cortisol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정민진;김도연;김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50-559
    • /
    • 2017
  • 본 연구는 12주간의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cortiso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운동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회 회당 70분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5가지 종목을 HRmax의 50-70% 강도로 종목당 1분씩 5세트로 구성하여 25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저항운동은 대상자 개인의 체중을 이용하여 8가지 종목을 주관적 운동자각도에 따라 횟수 및 세트 수를 증가시켜 25분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 후 변인들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운동집단에서 체중 및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및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심폐지구력 및 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집단의 TC, TG 및 LDL-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집단에서 운동 실시 후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코티졸은 운동 실시 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폐경 후 비만여성에게 유산소성 저항트레이닝 써킷의 적용은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코티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연령층의 비만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부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경로분석 모형 (A Path Analysis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 김용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7-55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The hypothetical model was derived from the Wilson and Cleary's model, the Rector's model, and published research findings. Methods: Data from 103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best multivari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odel given variables derived from the prior studies. The statistics programs SPSS 12.0 and LISREL 8.7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fitness of the path final model was good(GFI=.97, AGFI=.95, NNFI=1.06, NFI=.96, p=.96). Symptoms were directly affected by gender. HYHA Class was directly affected by only gender. Physical functioning limita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exercise. Health percep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economics, symptom, and physical functioning limitation. Depression was directly affected by exercise and health perception. Hea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directly affected by physical functioning limitation and depression, indirectly affected by gender, economics, exercise, symptoms, NYHA Class, and health perception. This path analysis model explained 51%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onclusion: To improv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heart failure patients, it is necessary to make nursing interventions for physic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 PDF

Influence of Pilates on physical factors related to exercise performance

  • Yu, Jae-Ho;Lee, Gyu-Cha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3호
    • /
    • pp.57-6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ilates exercise on Fitness Factors related to motor performance including flexibility, agility, power,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Methods: Forty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wo groups. The Pilates group did Pilates exercises 3 times a week for 8weeks, 60 minutes each time, and submitted to evaluation of protocols to assess sitting and reaching tests, a standing broad jump test, a side step test, a balance test using a Biodex Stability System, and muscle endurance using CSMI. Results: The Pilates group (n=20) participated in Pilates exercises three times in a week for eight week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post-test differences in the Pilates group in the following areas: flexibility, agility, power,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Post-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ilates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ilates method can offer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sonal flexibility, agility, power,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Fitness Factors related to motor performance using Pilates exercises that do not require equipment or a high degree of skill.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quantify the benefits of Pilates exercise.

후천성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구축 (Construc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odel in Acquire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김계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3-22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mod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cquire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6 latent variables and 14 observed variable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physical status and economical level. Endogenous variables were social attitudes, family function, self-esteem,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226 acquire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do from January to February,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8.2 version and LISREL 8.32 version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fitness test of the modified model were follow as; ${\chi}^2=67.479$ (df=50, p=.05), GFI=.959, AGFI=.914, SRMR=.049, NFI=.961, NNFI=.979, CN=249.24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directly by physical status, economic level, and social attitudes and accounted for 88.8% of the variance by these facto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status i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ocial attitudes and economic level are important factors having influence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improving physical status and economic level, and modifying negative attitudes are necessary to increa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cquired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PDF

간헐적인 걷기가 고령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mittent Walking for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Elderly Women)

  • 김상훈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97-1411
    • /
    • 2009
  • 본 연구는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간헐적인 걷기의 반복을 통해 신체활동량을 축적시켜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경험이 없는 65세 이상의 여성 자원자 총45명을 대상으로 간헐적 걷기집단, 지속적 걷기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간헐적 걷기집단은 매회 10분의 걷기를 4시간 간격으로 하루 3회 실시하고 지속적 걷기집단은 1일 1회 30분의 지속적인 걷기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주 3회의 빈도로 12주간 실시하였다. 12주의 걷기 프로그램 종료 후 건강관련체력 측정결과 두 집단 모두 신체조성, 근지구력, 유연성, 전신지구력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근력에서는 지속적 걷기집단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분석결과에서는 이완기혈압을 제외한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혈당에서 걷기를 실시한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매회 10분의 걷기를 하루 3회 실시하여 30분의 신체활동시간을 축적한 결과 30분간 지속적으로 걷기를 실시했을 때 나타나는 유산소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체력수준이 약한 고령여성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실용적이며 효율적인 운동방법으로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중년여성의 생활습관에 따른 체력과 골밀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y Lifestyles on Middle-aged Women)

  • 이순희;이경훈;유재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47-453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라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C보건소를 내원한 여성 331명을 대상으로 운동습관에 따라 비운동군, 저빈도운동군(주당 2회 이하 운동), 중정도운동군(주당 3회 이상)으로, 음주습관에 따라서는 비음주군과 저음주군(주당 2회 이하 음주), 고음주군(주당 3회 이상), 염분섭취수준에 따라 저염식이군, 중염식이군, 고염식이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측정변인은 골밀도와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악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으로 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운동습관에 따라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운동습관이 많을수록 골밀도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음주습관과 염분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 및 체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염분섭취가 많을수록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골밀도와 체력유지에 도움을 주며, 고염식이는 체중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센터 이용자의 근골격계 관련 통증 발생 실태 (A Study of the Occurrences of Musculoskeletal Related Pain Sufferers Among Fitness Center Users)

  • 김선엽;양정옥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2-10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musculoskeletal pain sufferers among fitness center users. The investigation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ith the 797 subjects. On average, the subjects were 30.6 years old, 168.8 cm in height and 65.2 kg in weight. Among them, 423 were male (53.1%) and 374 were female (46.9%). Out of them, 276 suffered from pain, (35.2%). More men felt muscle aches than women (p<.05). In terms of pain, lower back area topped the list with 44.9%, followed by the lower extremities (30.1%), the neck (17.8%)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17.8%). Dieters suffered the most from pain (86.2%) while those exercising to build strength suffered the least with 26.8%.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for exercising and the amount of pain suffered (p<.05). By kind of exercise, pain stroke aerobic exercisers disproportionately with 42.4% while it almost steered clear of exercisers for strengthening with 26.9%.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 of exercise and pain suffered (p<.05). The type of suffering differed by body shape.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overweight people experienced pain than underweight people (p<.05). 32.8% of pain sufferers commented that the pain affects their workout, and on this issu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p>.05). The pain caused more difficulties in do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verweight or obese peoples than underweight peoples (p<.05). More than a third of health club and fitness center users are experiencing musculoskeletal pains.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training or information provision is required to prevent injury or disorder caused by improper exercise.

  • PDF

운동/피트니스앱 속성이 앱 활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관점에서의 탐구 (The effect of Attributes of Exercise/Fitness Apps on App Usage: A Convergence Perspectiv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최정화;박동진;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27-339
    • /
    • 2015
  • 본 연구는 1)개인의 운동/피트니스 앱 속성에 대한 인식과 2) 운동/피트니스 행위에 대한 동기가 앱에 대한 유용성 인식 및 앱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운동/피트니스 앱을 이용하는 20-30대 남녀 3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앱의 속성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앱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하고 있는 운동/피트니스 앱이 자율성 및 유능성 관련 속성을 갖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해당 앱을 더욱 유용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계성 관련 속성 인식은 앱 유용성 인식에 주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운동에 대한 자율적 동기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기본심리 욕구와 관련된 속성에 대한 인식은 인식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앱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앱이라는 정보기술을 심리 및 보건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연구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건강앱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