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ntermittent Walking for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Elderly Women

간헐적인 걷기가 고령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 김상훈 (한국체육대학교 노인복지체육전공)
  • Received : 2009.08.25
  • Accepted : 2009.11.16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mittent walking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elderly women. Forty five elderly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three 10-min walks per day, one 30-min walk per day or no exercise, respectively. Both walking groups exercised three days a week at moderate intensity for 12 weeks.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with a significant level of α = .05.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dy composition(body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for both walking groups. However, it was found that muscle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a continuous walking group.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comprised of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and fasting glucos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walking group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s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termittent walk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ck factors in elderly women as continuous walking does.

본 연구는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간헐적인 걷기의 반복을 통해 신체활동량을 축적시켜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경험이 없는 65세 이상의 여성 자원자 총45명을 대상으로 간헐적 걷기집단, 지속적 걷기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간헐적 걷기집단은 매회 10분의 걷기를 4시간 간격으로 하루 3회 실시하고 지속적 걷기집단은 1일 1회 30분의 지속적인 걷기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주 3회의 빈도로 12주간 실시하였다. 12주의 걷기 프로그램 종료 후 건강관련체력 측정결과 두 집단 모두 신체조성, 근지구력, 유연성, 전신지구력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근력에서는 지속적 걷기집단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분석결과에서는 이완기혈압을 제외한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혈당에서 걷기를 실시한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매회 10분의 걷기를 하루 3회 실시하여 30분의 신체활동시간을 축적한 결과 30분간 지속적으로 걷기를 실시했을 때 나타나는 유산소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체력수준이 약한 고령여성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실용적이며 효율적인 운동방법으로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