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omoting lifestyl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대학생의 흡연행동과 환경요인, 건강생활실천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with smoking behavior,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2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to analyze gener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by smo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2011,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700 Korean students of university and college in located 7 metropolitan cities and the biggest province (Gyeonggido).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it collected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mental heal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survey data identified the difference of smoking behavior. Results: The 20.4% of university students was current smoker. Smoking rate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he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were less likely to have smoking behavior than them residing in local areas.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difference by gender, academic year, college level, college type, region, secondary smoking exposure time, health status, monthly drinking, alcohol use disorder, and eating breakfast remained significantly (p<0.01, p<0.05). Conclusion: Future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association between health risk factors and environment factors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To achieve this, we will need to provide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to decrease smok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 및 관련요인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General Hospital Worker)

  • 김남이;심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28-735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대전시의 종합병원 근로자 580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 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총 4.0점 중 전체문항의 평균이 2.26점이었고, 하위영역별 평균은 대인관계영역 2.62점, 자아실현영역 2.58점, 영양영역 2.26점, 스트레스관련영역 2.16점, 건강책임영역 2.00점, 운동영역 1.89점으로 대인관계영역이 가장 높은 실천율을 보였고, 운동영역이 가장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단계별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는 스트레스, 건강증진에 관한 교육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시사하며,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합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의 거주유형별 건강증진 행위 영향요인 비교 (A Stud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motion of Healthy Behavior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ypes of Residency)

  • 전은영;김귀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5-483
    • /
    • 2006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elderly individuals according to types of residency. Method: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243 elderly aged 65 years or over living in 3 large citi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perceived health status, geriatric depression short form scale-Korea,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efficac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 Powerful predictors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depress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the cases of the elderly living in institutions, a powerful predictor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identified as social support. Conclusion: For the oper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a service for home care programs is needed for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addit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y lifestyle for the elderly living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신선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5-2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서 252명 대학생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신종전염병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서 위생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위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련 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행위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 정구철;주지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83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정신건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우울증, 반사회성,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의 변수들이 유의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행복 증진과 정신건강을 위한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Women)

  • 이용미;김근면;정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70-582
    • /
    • 2014
  •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우울, 분노표현방식, 사회적 지지가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50명의 중년여성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1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운동을 자주 하는 집단과 취미생활이나 사회활동을 많이 하는 집단에서, 그리고 월경상태가 불규칙한 집단에 비해 규칙적이거나 폐경인 집단에서 건강증진 생활양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분노조절,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 분노억제, 분노표출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신체운동 횟수, 취미나 사회활동 횟수 등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예측변수들을 고려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야간전문대 여학생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간호계 학생과 비간호계 학생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between Nursing and Non - Nursing students at an evening class of junior college)

  • 정현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68-380
    • /
    • 1997
  • This descriptive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for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246 nursing students and 166 non-nursing students at an evening class of junior college in T city.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March 2 to March 17, 1997 and analyzed by SPSS Win. 7.0 program for frequency, mean, percentage, t -test, ANOVA, and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elf 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elf-efficacy. Nursing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self -efficacy than non-nursing students(t=4.621. p<.05).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ern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Nursing students ($157.73{\pm}20.26$) had higher scores on total health promotion as well as its 8 subscales than non -nursing students ($048.15{\pm}21.51$,), (t=21.074, p<.001). On subscales, nursing students had the highest score in sanitary life(3.22) and the lowest score in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1.54). Non -nursing students had the highest score in harmonious relationships(3.10) and the lowest score in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1.48). 3. Performance i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and grade for nursing students, and types of dwelling for non -nursing students. 4. Perceptions of good health have been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ose persons who rated their health as good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excellent ,average, poor in that order. 5.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self -efficacy.

  • PDF

보건소 건강관리회원의 진단적 연구 - PRECEDE 모형을 중심으로 - (A Diagnostic Study on the Registered Beneficiaries of Health Center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cede Model -)

  • 윤순녕;박정호;박성애;박현애;김춘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2-305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assessment on the level of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the health care beneficiaries registered in health management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m, the PRECEDE model, that was developed by Green, et al. for the purpose of a comprehensive diagnostic research, was used. Method: The subjects were 81 residents who resided K-gu,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9 to August, 2000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Kruskal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Results: 1.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moderate or more,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2.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be a perceived benefit,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erceived benefi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availability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3.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statu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directly, whereas self 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strengthe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to encourag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health care beneficiary.

  • PDF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troke relate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Adult)

  • 김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9-359
    • /
    • 2022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관련 건강지식 및 낙관적 편견, 사회적지지,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북 C 도시와 충남 D 도시, 경북 K도시에 거주하는 40세-65세 성인 22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황양식은 평균 44.27점으로 중간 수준이상을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낙관적 편견(r=.18, p=.001)과 사회적 지지(r=.61, p<.000)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결과 뇌졸중 관련 건강교육 필요 인지(β=.12, p=.010), 낙관적 편견(β=.18, p=.040), 사회적지지(β=.48, p<.000)는 뇌졸중 관련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두 요인의 설명력은 38.5%로 확인되었다. 이에 중년기 성인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중재전략과 낙관적 편견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HPLP와 사상체질설문(四象體質說問)을 이용(利用)한 근로자(勤勞者)들의 건강상태(健康狀態) 평가(評價) (The Assessment on Health Status of Workers by using HPLP and Sa-sang Constitutional Questionnaire)

  • 최문일;이은경;권소희;고광재;서병윤;정재열;장두섭;송용선;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6
    • /
    • 2001
  • 개인의 건강증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양식과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역학적 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연령집단별로 건강위험인자나 생활양식 및 건강실천행위 등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체질에 따른 생활양식 등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체질의학이 예방서비스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체질의학을 현대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고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체질을 분석하고 체질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한 결과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연구대상자 중 태음인(太陰人)은 43.7%였고 소음인(少陰人)은 33.6%였으며, 소양인(少陽人)은 22.7%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총 평균은 138.9이고 총 평점은 2.62이었다. 각 영역별 평점은 대인관계 2.94, 자아실현 2.86, 스트레스관리 2.71, 영양상태 2.68, 건강책임 2.37, 운동영역 2.21의 순으로 대인관계가 가장 높고 운동영역이 가장 낮았다.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전체영역과의 관계를 보면 여성의 경우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각 영역과의 관계를 보면 성별에서 보면 건강책임영역과 영양영역, 스트레스관리 영역에서 여자가 더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고 운동영역에서 남자가 더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다(P<0.05). 연령에서는 건강책임영역에서는 30대가, 영양영역과 스트레스관리영역에서는 50대가 가장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다(p<0.05). 결혼상태에 따라서는 영양의 영역에서만 기혼자가 유의하게 실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 건강증진 생활양식 각 영역과 사회경제적 특성과의 차이를 보면 월수입에서는 대인관계영역에서만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교육수준별로는 자아실현영역에서만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P<0.05)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대인관계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태음인(太陰人)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아실현영역에서는 소양인(少陽人)과 거의 비슷했다. 소음인(少陰人)은 건강책임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실천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책임은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순서로,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소음인(少陰人), 태음인(太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순으로 실천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