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ssessment on Health Status of Workers by using HPLP and Sa-sang Constitutional Questionnaire

HPLP와 사상체질설문(四象體質說問)을 이용(利用)한 근로자(勤勞者)들의 건강상태(健康狀態) 평가(評價)

  • Choi Mun-Il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Eun-Kyoung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Kwon So-Hee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Ko Kwang-Jae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Seo Byeong-Yu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Jeoung Jae-Yeal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Jahng Doo-Sub (Institute of Industrial Ec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Japan) ;
  • Song Yung-Sun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Lee Ki-Nam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최문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은경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 권소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 고광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 서병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재열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 장두섭 (일본 산업의과대학 산업생태학연구소) ;
  • 송용선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 이기남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제3의학과)
  • Published : 2001.06.29

Abstract

Over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terminan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stitu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n the workers. Also, the questionnaire on the HPLP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f Walker(1987) and Sa-sang constitution of Lee(l894) were utilized Methods: Data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of 652 workers were analyzed Pearson's chi-square test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the explanatory causal model and to deter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Results: Constitutional distribution among exposed group, were Tae-eum In(43.7%), So-eum In(33.6%), and So-yang In(22.7%). The degree of the subjects practi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a scale of 1 to 4, is an average of 2.62, personal relations 2.94, self-realization 2.86, stress management 2.71, nutrition 2.68, responsibility for health 2.37, and exercise 2.21, with personal relations earning the highest points and exercise the lowest As for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and age. That is female and higher age. On the difference between constitu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Tae-eum In is the highest all area except personal relations. So-eum In is the lowest all area except responsibility for health. Conclusions: Tae-eum In totally do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ll but So-eum In relatively not. On the Study we used the HPLP(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n the premise that each person's daily life, the attitude and the practice level to the health have an influence on the health. So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a little differences in the consideration and the practice level and health condition will be different. On this study we finish up by knowing about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ut on next time we will have to go on studying about the sign and the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health examination to the each constitution on carrying out continuously oriental medical health examination.

개인의 건강증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양식과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역학적 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연령집단별로 건강위험인자나 생활양식 및 건강실천행위 등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체질에 따른 생활양식 등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체질의학이 예방서비스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체질의학을 현대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고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체질을 분석하고 체질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한 결과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연구대상자 중 태음인(太陰人)은 43.7%였고 소음인(少陰人)은 33.6%였으며, 소양인(少陽人)은 22.7%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총 평균은 138.9이고 총 평점은 2.62이었다. 각 영역별 평점은 대인관계 2.94, 자아실현 2.86, 스트레스관리 2.71, 영양상태 2.68, 건강책임 2.37, 운동영역 2.21의 순으로 대인관계가 가장 높고 운동영역이 가장 낮았다.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전체영역과의 관계를 보면 여성의 경우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각 영역과의 관계를 보면 성별에서 보면 건강책임영역과 영양영역, 스트레스관리 영역에서 여자가 더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고 운동영역에서 남자가 더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다(P<0.05). 연령에서는 건강책임영역에서는 30대가, 영양영역과 스트레스관리영역에서는 50대가 가장 높은 실행정도를 보였다(p<0.05). 결혼상태에 따라서는 영양의 영역에서만 기혼자가 유의하게 실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 건강증진 생활양식 각 영역과 사회경제적 특성과의 차이를 보면 월수입에서는 대인관계영역에서만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교육수준별로는 자아실현영역에서만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P<0.05)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대인관계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태음인(太陰人)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아실현영역에서는 소양인(少陽人)과 거의 비슷했다. 소음인(少陰人)은 건강책임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실천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책임은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순서로,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소음인(少陰人), 태음인(太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순으로 실천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남철현
  2. 영남의대학술지 v.11 no.2 건강증진 강복수
  3. Brit. J. Indus. Med v.46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at work Schilling, R.S.F.
  4. 대한산업의학회지 v.4 no.1 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작업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문영한;박종연;이경종;조명화
  5. J. Occup. Med. v.35 no.12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work-site health promotion Dejoy, D.M.;Southern, D.J.
  6. Nursing Research v.36 no.2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d Characteristics Walker, S.N.;Sechrist, K.R.;Pender, N.J.
  7. ANS v.11 no.1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Walker, S.N.;Volkan, K.;Sechrist, K.R.;Pender, N.J.
  8. Nursing Research v.39 no.5 A spanish language version of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Profile Walker, S.N.;Kerr, M.J.;Pender, N.J.;Sechrist, K.R.
  9.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10. 사상진료보원 홍순용
  11. 黃帝內經靈樞解釋 홍원식
  12. 黃帝內經靈樞解釋 楊維傑;馬元臺
  13. 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 張隱庵;馬元臺
  14. 景岳全書 張介賓
  15. 대한한의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변증 방법론 연구(1) 고병희;송일병
  16. 사상의학원론 홍순용;이을호
  17. 사상체질유형과 체격 및 신체형태지수와의 비교연구 이문호
  18. 사상의학총론 노정우
  19. 황제의학 v.통권 no.7 사상의학이 동양의학에 미치는 의사학적 의의 최종백
  20. 사상의학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21.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지방간 환자의 체질적 특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기환
  22. 경향신문 장수와 체질 김달래
  23. Nursing Research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Blue-Collar, skilled Trade, and White-Collar Workers Lusk, S.L.;Kerr, M.J.;Ronis, D.L.
  24.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요구 조정인
  25.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Pender, N.J.
  2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Pender, 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