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Supplement Food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supplementation effects of peanut sprout on reduction of abdominal fat and health indice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 Ha, Ae Wha;Kim, Woo Kyoung;Kim, Jung Hwan;Kang, Nam 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49-255
    • /
    • 2015
  • BACKGROU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anut sprout extracts (PSE) on health indice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BMI $${\geq_-}23kg/m^2$$). SUBJECTS/METHOD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the Placebo group (n = 15) and the Low PSE group (2.6 g PSE/day, n = 15), and the High PSE group (5.8 g PSE/day, n = 15). Subjects consumed 12 capsules per day, three times a day, 30 min before meals, for 4 weeks. Anthropometric data, blood biochemical variables, and dietary intak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RESULTS: In the Low and High PSE group, the waist circumferenc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 and post-test. In the Low PSE group, the reduc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pre- and post-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rum LDL or triglyceride levels in both Low and High PS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rum alanine transaminase and aspartate transamin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Low PSE group. The parameters regarding erythrocyte and leucocyte cou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among groups, which suggested the safety of intake of peanut sprouts as a dietary supplement.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PSE supplementation improves abdominal obesity and overall health indices. Therefore, an appropriate amount of peanut sprouts may be a plausible effective agent for obesity and obesity related health problems in obese women.

광주지역 일부 저소득층 여자노인에서 지역사회 영양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식행동 변화 및 영양상태 개선 효과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City)

  • 김복희;양지숙;계승희;이윤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95-50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group of 88 elderly women using the free meal service in Dong-gu, Gwangju city in Ko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July 2009, and the pretest,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post-test were applied in each stage. This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snack suppl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three times a week and 36 times in total. The nutrition education was led by the nutritionists and professionals us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Snack supplement included were milk, soymilk, carrot juice, bread, yogurt, and bananas. The result of pretest showed that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much below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level of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Comparison of the dietary behavior score and nutrient intak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indicated that the food behavior score increased from 3.1 to 5.6 (P<0.001) and intak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thiamin, niacin, vitamin C, iron, and potassium of the subject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Mean Adequacy Ratio (MAR) of their nutrient intakes was also improved from 0.53 to 0.64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in local community.

The Iron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 Park Jin-Ah;Yun Sung-Seob;Juhn Suk-Lak;Roxana Irimescu;Sakaguchi Noboru;Raj Juneja Lekh;Chun Ho-Nam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95-200
    • /
    • 2006
  • We surveyed Korean pregn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aeil mothers' club and factory tour from March to April, 2004 and assessed volunteers' hemoglobin (Hb) levels. The average Hb level of 747 subjects was $11.5{\pm}1.5g/dl$ and anemic subjects were 268 women, 35.9% of total subjects. The ratio of anemic subjects was 42.9% in the first trimester, 43.6% in the second trimester and 29.1 % in the third trimester. About 87.9% of subjects began to take health foods after conception. Seventy nine percent of subjects took iron supplement as one of health foods and 73.8% of them began it in the second tri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 foods were more effective than iron supplement alone in improving the iron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Therefore, the better improvement effects are expected when pregnant women begin health food-based approaches as early as possible before pregnancy to improve pre-pregnancy iron reserve.

연근 열수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6-250
    • /
    • 2019
  • Nelumbo nucifera Gaertn has been used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in South Korea. It promotes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controls blood pressures.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supplement at 5, 10, 50, 100, 250, 500, $1,000{\mu}g/mL$ after a 48 h pre-treatment with the mitogen (ConA or LPS) increased the mouse splenocytes proliferation. Water extract supplement also increased the cytokine production ($IL-1{\beta}$, $TNF-{\alpha}$ and $IFN-{\gamma}$), measured by a cytokine ELISA kit. For the result of in vitro study,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cytokine production activated by peritoneal macrophages increased when water extracts were supplemented in the range of $50{\sim}500{\mu}L/mL$ concentration. Specifically, the levels of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IL-1{\beta}$, $TNF-{\alpha}$ and $IFN-{\gamma}$ were the highest at $250{\mu}L/mL$ concentration. This in vitro study suggestedthat supplementation with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ing the cytokine production activating macrophage in vitro.

호박 및 한방생약재 추출액이 마우스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mpkin and Medical Herb Extract Supplement on Blood Composition of Mouse)

  • 장상문;이주백;안홍;김지향;박난영;한천지;장경호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7권1호
    • /
    • pp.40-44
    • /
    • 2002
  • 본 연구는 한방에서 여러 가지 기능성을 주목받고 있는 호박을 주원료로 하고 8가지 한방 생약재를 부재료로 첨가해 이것이 마우스의 혈액 성상 중 적혈구수와 hemoglobin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은 부재료로 첨가되는 한방생 약재 의 종류와 1회 복용량에 따라9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먼저 마우스에게서 출혈을 유도한 후 호박 및 한방생 약재 추출물을 먹인 대조군과 비교해 출혈 전으로 회복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적혈구의 경우9가지 실험구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적혈구 수가 증가하였다 첨가된 부재료의 수를 줄인 A와 B그룹보다 8가지 한방생약재를 모두 부재료로 첨가한 C그룹에서 가장 높은 증가효과를 보여 주었다. Hemoglobin의 경우에도 9가지 실험구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여주었다 Hemoglobin도 적혈구와 마찬가지로 A와 B그룹보다 8가지 한방생약재를 모두 첨가한 C그룹에서 회복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적혈구와 hemoglobin모두 1회 복용량보다 첨가되는 한방생약재의 종류에 따라 회복효과가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호박 및 한방 생약재 추출물이 산모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mpkin and Medical Herb Extract Supplement on Blood Composition of the Women delivered of a child)

  • 장상문;이주백;안홍;김지향;박난영;한천지;장경호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7권1호
    • /
    • pp.45-49
    • /
    • 2002
  • 본 실험 은 한방에서 특히 산모의 산후 회복에 효과적 이라고 알려진 호박이 산욕기 산모의 혈액성상 회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호박을 주원료로 8가지 한방 생약재를 첨가하여 압출액을 만든 후분만 직후의 산모 50명 에 게 21일간 복용시키고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와 hemoglobin을 복용전과 비교하였으며 또 호박 및 한방 생 약재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과도 비교 하였다. 본 실험 의 결과 적혈구 수치 는 분만직후의 3.65 $\times$$10^{6}$/mm에 서 4.6$\times$$10^{6}$/mm로 증가하여 3.9$\times$$10^{6}$/mm인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증가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정상적인 적혈구 범 위 에 드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Hemoglobin의 경우도 분만 직후 10.35 g/dL에서 복용 21일 만에 12.61 g/dL로 증가하여 대조군인 10.88 g/dL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보여주었다 Hemoglobin수치 역시 임신 초기의 평균적인 수준을 초과하였으며 정상의 범위에 속하는 수준으로 회복하는 결과였다. 이후 적혈구와 hemeglobin 뿐 아니라 좀더 자세한 혈액성상을 연구할 과제가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 호박을 주원료로 한 한방 생약재 추출액은 분만 직후 산모의 적혈구 수치 및 hemoglobin의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서울 일부지역 대학생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Use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nd related variabl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최정화;제유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52-363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345명의 한국인 대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실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조사대상자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율은 40.9%, 남학생의 섭취율은 40.2%, 여학생의 섭취율은 41.3%를 보였다. 2. 응답자들은 식품영양 전공자 인 경우 (p = 0.046), 그리고 가족들이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을수록 (p < 0.001)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섭취율이 높았다. 3. 건강관련요인과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와의 관계를 보면, 비흡연자 일수록 (p = 0.004), 현재 질병을 가지고 있을수록 (p = 0.039), 그리고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p = 0.001) 조사대상자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율이 높았다. 4.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군이 비섭취군보다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 등 짜지 않게 먹는 식습관을 갖고 있었고 (p = 0.003)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p = 0.003) 전반적인 식생활 총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6). 5. 종합비타민제의 섭취율이 가장 높았고 (68.6%), 그 다음이 비타민 C제 (31.4%) > 칼슘제 (17.1%) > 종합비타민-무기질제 (10.7%) > 철분제 (9.3%)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C제 (p = 0.041)와 철분제 (p = 0.008)의 경우 여성의 섭취율이 남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음을 보였다. 하루에 섭취하고 있는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개수에 있어서 67.9%가 한 종류를 섭취한다고 조사되었으나, 하루에 두 종류 이상의 복용자도 32.1%에 해당했다. 섭취기간은 한 달~6개월 미만 복용자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6개월~1년 미만 15.1%, 그리고 1년 이상 복용하고 있는 학생들도 7.9%를 나타냈다. 6. 보충제 섭취군은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성분의 효능에 대해 62.1%가 '조금 아는 편이다', 20.0% 는 '전혀 모른다'고 답하였고, 보충제 구입은 34.3%가 본인이 구매하고 있으며, 65.7%의 응답자는 대부분 가족 또는 부모님이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보충제 섭취자들은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았고 (97.9%), 섭취 후 개선점이 있는지에 관해 57.9%는 개선된 점이 없다고 답했으며, 앞으로의 복용계획에 대해서 계속 복용하겠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79.3%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하루에 한 종류의 보충제를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하루에 여러 종류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는 대학생들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섭취되는 보충제의 종류는 종합비타민제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비타민 C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타민 C제와 철분제의 경우 여성의 섭취율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강한 식행동을 갖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영양보충제 섭취율이 더 높게 나타나서 실제로 다양한 음식으로부터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는 대상자들이 별도로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섭취자의 대다수가 복용 후 개선된 점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앞으로도 계속해서 복용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 식품을 통한 영양소 섭취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보충제를 통한 영양소의 과다섭취가 장기간 지속될시 건강상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인이 섭취하고 있는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효능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사람들이 적은 것을 감안할 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 보충제에 관한 지식전달이 미흡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족의 섭취유무가 조사대상자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유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정보원은 대부분 가족 및 친지이며, 가족 및 부모님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대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학교 내 교양수업의 개설을 통해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plant-based multivitamin, multimineral, and phytonutrient supplementation enhances the DNA repair response to metabolic challenges

  • Yeo, Eunji;Hong, Jina;Kang, Seunghee;Lee, Wonyoung;Kwon, Oran;Park, Eunm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4호
    • /
    • pp.450-461
    • /
    • 2022
  • Purpose: DNA damage and repair responses are induced by metabolic diseases and environmental stress. The balance of DNA repair response and the antioxidant system play a role in modulating the entire body's health. This study uses a high-fat and high-calorie (HFC) drink to examine the new roles of a plant-based multivitamin/mineral supplement with phytonutrients (PMP) for regulating the antioxidant system and cellular DNA repair signaling in the body resulting from metabolic stress. Methods: In a double-blind, randomized, parallel-arm, and placebo-controlled trial, healthy adults received a capsule containing either a PMP supplement (n = 12) or a placebo control (n = 12) for 8 weeks. Fasting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0, 1, and 3 hours after consuming a HFC drink (900 kcal). The bloo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following oxidative stress makers: areas under the curv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plasma malondialdehyde (MDA), erythrocytes MDA, urinary MDA,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and the glutathione:oxidized glutathione ratio at the time points. We further examined the related protein levels of DNA repair signaling (pCHK1 (Serine 345), p-P53 (Serine 15), and 𝛄H2AX expression) in the plasma of subjects to evaluate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a HFC drink. Results: In a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PMP supplementation for eight weeks reduces the ROS and endogenous DNA damage in human blood plasma.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further show that PMP supplementa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defense. Compared to the placebo samples, the blood plasma obtained after PMP supplementation showed enhanced DNA damage response genes such as pCHK1(Serine 345) (a transducer of DNA response) and 𝛄H2AX (a hallmark of DNA damage) during the 8 weeks trial on metabolic challenge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PMP supplementation for 8 weeks enhances the antioxidant system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prevents DNA damage signaling in humans.

한국 직장 여성의 건강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 장민기;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832-838
    • /
    • 2008
  • 본 연구는 성인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 및 일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직장 여성 가운데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다고 밝힌 558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목적은 피로회복과 체력증진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영양보충, 질병예방이나 치료 목적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소비 패턴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섭취가짓수와 섭취기간, 구매비용 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5), 비만도가 높을수록 섭취기간, 구매비용 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지식 정도는 연령이 높고 기혼자 군에서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p < 0.005).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보의 출처는“가족이나 주변사람의 권유”에 의해서가 가장 많아 직장여성의 경우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유통경로나 대중매체를 통해서보다는 주변의 인적 경로를 통해 얻는 경향이 높았다. 본 조사 결과 직장 여성 가운데 연령이 높고 비만도가 높은 집단이 섭취가짓수, 최대섭취기간, 구매비용 등이 높았던 반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지식 정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낮았다. 직장과 가사생활로 올바른 교육의 기회가 적은 직장 여성 중에서도 특히나 연령이 높고 비만도가 높은 집단에게 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 상담 영양사의 배치 등 실질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이며, 잘못된 섭취로 인한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군의 인삼 복용?" : 20세기 말 인삼의 미국 식이보충제 시장 편입과 미군 매뉴얼 ("The U.S. military uses ginseng?": The official entrance of ginseng to the U.S. dietary supplement market and the U. S. military's dietary supplement manual in the late 20th century)

  • 석영달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93-109
    • /
    • 2019
  • 이 논문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미국삼이 19세기 서구 약전에서 퇴출된 이후, 20세기에 수출 상품으로서 위기를 겪고, 결국은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사회와 군대 내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먼저 1994년의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이라는 법령의 제정은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미국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해줬고, 그 결과 인삼은 과거 약전에서의 퇴출 이후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약전 및 국민 처방집>에 다시 등재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인삼과 기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완전한 연착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경계한 미국의 의학계에서는 끊임없이 '위험 담론'을 제기하면서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식이보충제 활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것은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의 느슨한 검증 제도로 인한 근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중들이 전문 의료인들을 찾기보다는 직접 식물성 식이보충제에 대한 정보를 얻어 그것을 통해 본인의 건강을 돌보고자 하는 새로운 분위기와도 관계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옹호 담론'을 펼치는 식이보충제 제조업자 및 식물 약재 관계자들의 주장은 다소 여유로워 보였다. 소비자들이 '옹호 담론'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옹호론자들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오랜 세월 아무런 문제없이 세계적으로 활용되어왔으며, '천연의' 원료로 만들어졌다는 점만 강조하면 되었기 때문이다.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사회 내의 담론 충돌 속에서도 식품 통제에 엄격한 미군의 식이보충제 매뉴얼에까지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 내의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에서 살펴본 미군의 초창기 식이보충제 매뉴얼에서 인삼은 여러 식물성 식이보충제 가운데 가장 자세하게 다뤄지고 있었다. 물론 그 속에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다소 섞여있었지만, 효능에 대한 충실한 과학적인 설명이나 인삼의 미국 사회 내 성행과 영향력에 대한 언급도 분명히 함께 이뤄지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식이보충제로서의 인삼'에 대한 미국 사회의, 그리고 미국 군 내부의 관심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