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 military uses ginseng?": The official entrance of ginseng to the U.S. dietary supplement market and the U. S. military's dietary supplement manual in the late 20th century

"미군의 인삼 복용?" : 20세기 말 인삼의 미국 식이보충제 시장 편입과 미군 매뉴얼

  • Received : 2019.01.09
  • Accepted : 2019.01.25
  • Published : 2019.03.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rocess of ginseng being removed from the Western pharmacopoeia in the 19th century, experiencing a crisis as an export product in the America in the 20th century, and eventually settling in the U.S. society and the military as a dietary supplement in the 21th century. In this process, the legislation of provided a bridgehead for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to enter the U.S. market. As a result, ginseng could be re-listed in the U.S. pharmacopoeia as a dietary supplement. However, this did not mean a complete soft landing of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in the America. The U.S. medical community, which has been afraid of the indiscriminate spread of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has constantly raised "the risk-discourse" and expressed concerns over the use and abuse of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that have not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This involved not only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lax verification process of , but also a new atmosphere in the U.S. where the public sought information about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rather than seeking professional clinicians related to their health. Against this situation, "the advocate-discourse" suggested by dietary supplement manufacturers and the people in charge of botanical products seemed rather relaxed. As consumers are taking this side, the advocates had only to stress that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have been used worldwide for a long time without any problems and were made from 'natural' materials. The fact that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were able to advance to the U.S. Military's dietary supplement manual, which is strict in controlling food, seems to have jumped on the bandwagon of this atmosphere in the U.S. Society. In the early U.S. dietary supplement manual reviewed in this paper, ginseng was the most detailed among many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safety concerns' that still exist in the civilian society, but there are also certainly good scientific explanations for the efficacy and references to the popularity and influence of ginseng in the American society. Given this, the U.S. society and military's interest in ginseng as a dietary supplement seem quite high.

이 논문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미국삼이 19세기 서구 약전에서 퇴출된 이후, 20세기에 수출 상품으로서 위기를 겪고, 결국은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사회와 군대 내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먼저 1994년의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이라는 법령의 제정은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미국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해줬고, 그 결과 인삼은 과거 약전에서의 퇴출 이후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약전 및 국민 처방집>에 다시 등재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인삼과 기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완전한 연착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경계한 미국의 의학계에서는 끊임없이 '위험 담론'을 제기하면서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식이보충제 활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것은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의 느슨한 검증 제도로 인한 근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중들이 전문 의료인들을 찾기보다는 직접 식물성 식이보충제에 대한 정보를 얻어 그것을 통해 본인의 건강을 돌보고자 하는 새로운 분위기와도 관계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옹호 담론'을 펼치는 식이보충제 제조업자 및 식물 약재 관계자들의 주장은 다소 여유로워 보였다. 소비자들이 '옹호 담론'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옹호론자들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오랜 세월 아무런 문제없이 세계적으로 활용되어왔으며, '천연의' 원료로 만들어졌다는 점만 강조하면 되었기 때문이다.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사회 내의 담론 충돌 속에서도 식품 통제에 엄격한 미군의 식이보충제 매뉴얼에까지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 내의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에서 살펴본 미군의 초창기 식이보충제 매뉴얼에서 인삼은 여러 식물성 식이보충제 가운데 가장 자세하게 다뤄지고 있었다. 물론 그 속에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다소 섞여있었지만, 효능에 대한 충실한 과학적인 설명이나 인삼의 미국 사회 내 성행과 영향력에 대한 언급도 분명히 함께 이뤄지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식이보충제로서의 인삼'에 대한 미국 사회의, 그리고 미국 군 내부의 관심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669호, 2014. 5. 21., 일부개정).
  2. , Public Law 103-417
  3. Deuster, Patricia A. and Rita G. Simmons eds., Dietary Supplements and Military Divers: A Synopsis for Undersea Medical Officers (Submarine Development Squadron 5, 2004).
  4. Douma, Allen J., "Evening. Health. Health Line. Letters," Chicago Tribune, 15. Feb. 1999.
  5. Grady, Denise, "Scientists Say Herbs Need More Regulation," New York Times, 07. Mar. 2000.
  6. Greenwood, M. R. C. and Maria Oria eds., Use of Dietary Supplements by Military Personnel (Washingt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8).
  7. Gugliotta, Guy, "Aiming Dietary Supplements at Kids; Children: Companies are targeting parents while pediatricians and officials worry about lack of regulation and testing," Los Angeles Times, 03. July. 2000.
  8. Hellmich, Nanci, "The Botanical Business for the Big Drug Firms, Market is Ripe for Expansion into Herbals," USA TODAY, 14. Oct. 1998.
  9. Lytle, Lisa, "Herbal supplements gaining popularity," Austin American Statesman, 12. June. 1998.
  10. Roan, Shari, "Food as Medicine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Dietary Supplements," The Spectator, 29. Mar. 1999.
  11. Sugarman, Carole, "Magic Bullets; Pumped-Up Foods Promise to Make Us Happier and Healthier. We'll See," The Washington Post, 21. Oct. 1998.
  12. 남기열, 양병욱, 신왕수, 박종대, 고려인삼(Panax ginseng)과 미국삼(Panax quinquefolium)의 승열작용에 대한 비교 고찰, 생약학회지 49 (한국생약학회, 2018).
  13. 박성훈, 일본과 미국의 인삼시장 세분화 연구, 식품 유통 연구 23 (한국식품유통학회, 2006).
  14. 설혜심, 인삼 사냥꾼(Ginseng Hunter): 북미대륙의 채삼 관행과 채삼인의 이미지, 인문과학 113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15. 설혜심, 19세기 영국신문에 나타난 인삼(ginseng), 영국연구 34 (영국사학회, 2015).
  16. 설혜심, 17-18세기 영미권의 인삼(Ginseng) 인식, 의사학 25 (대한의사학회, 2016).
  17. 설혜심, 서양의학에서의 인삼활용과 한계, 1660-1900: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의사학 26 (대한의사학회, 2017).
  18. 성현제 최선미 윤유식, 미국에서의 Botanical Products(한약)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3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0).
  19. 식품의약품안전청, 미국 Dietary Supplement의 안전성 평가 체계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20. 이기노, "고려인삼 복용해도 승열작용 안나타나", 한국농어민신문 (2018. 11. 2.).
  21. 이동필 박훈, 미국의 재배삼 수출실적, 1990-1994, 고려인삼학회지 20 (고려인삼학회, 1996).
  22. 이동필, 화기삼의 효능 주장과 미국삼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고려인삼학회지 30 (고려인삼학회, 2006).
  23. 이세정, 건강기능식품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24. 정하명, 미국의 건강기능식품법: 미국연방 식약청(FDA)의 규제현황을 중심으로, 법과 정책연구 9 (한국법정책학회, 2009) 등을 참조.
  25. Staba, E. John., 김정연, 미국의 인삼 재배, 생약학회지 2 (생약학회, 1971a).
  26. Staba, E. John., 김정연, 미국 인삼사 개요, 생약학회지 2 (생약학회, 1971b).
  27. Dharmananda, Subhuti, "SAFETY ISSUES AFFECTING CHINESE HERBS: The Case of Ginseng,"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Available online: http://www.itmonline.org/arts/ginseng.htm).
  28. Dier, Joseph K., "S.O.S. From the FDA: A Cry for Help in the World of Unregulated Dietary Supplements," Albany Law Review 74 (2010).
  29. Gonsalves, Stephen, Trisha Stavinoha, Linda Hiote, Janelle Costa, George Dilly, Patricia A. Deuster, "Dietary Supplements in the Department of Defense: Possible Solutions to Optimizing Force Readiness," Military Medicine, 177 (2012).
  30. Heller, Ilene Ringel, "Functional Foods: Regulatory and Marketing Developments," Food and Drug Law Journal, 56 (2001).
  31. Knapik, Joseph J., Krista G. Austin, Emily K. Farina, Harris R. Lieberman, "Dietary Supplement Use in a Large,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U.S. Armed Forces,"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18 (2018).
  32. Mason, Marlys J., "Drugs or Dietary Supplements: FDA's Enforcement of DSHEA,"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7 (1998).
  33. Mills, Simon, Kerry Bone, The Essential Guide to Herbal Safety (S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2005).
  34. 국립국어원, "식이", "보충제" (URL: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검색일: 2018년 8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