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eventive Behaviors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9초

호텔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Hotel Workers)

  • 고미진;정혜선;백은미;정명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2-15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hotel workers'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their intentions to change jobs.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437 workers from seven hotels in Korea who consented to the survey. Among them, insufficient responses from 21 participants were excluded, as well as 107 responses from workers with workloads of under one hour of face to face work. Thus, 309 hotel work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ote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Results: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was high when external behavior was shown, and workers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a superior exhibited low intention of changing job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f turnover intention are external behavior and the support of a superior.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ducate managers on personnel management methods for reducing external behaviors so that the rate of job changes by hotel workers can be reduced.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nd manage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by workplace superiors.

부산 시내 중.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운동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orts Injur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in Pusan)

  • 김용권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9-927
    • /
    • 1996
  • Recently sports injur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leisure industries as well as the increase of exercising population, and the study for sports injuries is needed more than before. Then the author studied the reasons for injuries, incidence rate, sites and sorts of sports injurie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during one year period from Jan. to Dec. 1994. The study subjects were 319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in Pusan and the method was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injury rate due to football play was 3.3 times per person for the 319 subjects during the last one year, and it was highest in goalkeeper as 4.6 times by position. 2. 68 % of the subjects did not receiv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74.9 % wore body protectors. The sports injuries due to football play occurred most commonly in soil play-ground(79.6 %), during training(52.3 %), and in winter time(33.7 %). 3. The commonly occurred injuries by motion were coalition(39.2 %), tackle(12.9 %), dribble (11.4 %) in order; those by sorts were contusion(34.4 %), sprain (32.9 %), spasm(9.0 %) ; and those by body portions lower extremities(82 %), trunk(17.6 %), upper extremities(12.5 %). 4. The frequently used treatment area was home care as in 42.7 % ; treatment methods were physical therapy, acupuncture/moxacautery, rest, operation in order; choices of treatment method were recommendation by coach/manager, and that by medical professional was the lowest as in 2.2 %. 5. If sports injury occurred during play, coach or manager let the players take rest in 56.2 %, but emergent management by medical professional was done only in 1.9 %. The return to play was decided mostly by the player himself(52.8 %), but that decided by a doctor was only in 1.0 %. In conclusion, to lessen the sports injuries due to football play, annual physical check-up, strengthening of play rules, improvement of playground, conditioning exercise, regulation of body protectors, and preventive training for expected injuries behaviors should be done and the decision to return to play and emergent management should be done by a medical professional as well. Football player, sports injury, injured body portions, sorts of injury, treatment method.

  • PDF

2023 찾아가는 유아 감염병 예방 교실 사업의 효과 (The Effect of 2023 Home-visit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lass Project for Preschoolers)

  • 강정원;정주민;이지혜;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2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preschoolers by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2023 Home-visit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lass Project for Preschoolers. Methods: The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hat analyze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activity reports of visiting teacher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n the children's side was evaluated with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using pre- and 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6 to November 10, 2023. The data from 96 kindergarten teachers, 100 activity reports written by visiting teachers, 56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0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activity reports submitted by the visiting teachers, all questions received a very positive evaluation with 4 or more out of 5 points. In addition,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both in hand-washing accuracy and their awareness of immunity. Conclusion: The Home-visit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lass Project for Preschoolers is of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s expected to be a useful educational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and show practical preventive effects in preschoolers so that they can be prepared for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거주유형별 노인의 허약정도, 건강증진 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 비교 (A Comparision on Frailt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 권상민;박정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10
  • 본 연구는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의 허약노인 비율, 허약정도, 건강증진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비교하여, 거주유형에 따른 허약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 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D광역시에 소재한 7개 노인정을 이용하는 재가노인 120명과 5개 무료 및 실비 요양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거주노인 122명 총 242명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5일부터 8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허약노인선정도구로서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사용하는 기초측정표 설문지, Walker 등[18]이 개발한 건강증진생활양식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 Lawston 등[19]이 개발한 주관적 건강상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x^2$-test, ANCOVA, Scheffe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노인 중 허약노인은 20.8%, 시설거주노인 중 허약노인은 49.2%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거주노인의 허약정도는 9.41점으로 재가노인은 6.46점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재가노인의 건강증진행위점수는 2.12점으로 시설거주노인의 1.99점보다 높았으며(p=0.046), 건강증진행위 하위항목별로 보면 재가노인의 영적성장(p=.008)과 대인관계(p=.043)점수가 시설거주노인보다 높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거주유형별 허약정도를 보면, 재가 허약노인과 시설거주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허약정도가 심하고, 비허약노인 중에서는 시설거주 비허약노인이 재가 비허약노인보다 허약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건강증진행위점수는 재가 비허약노인과 시설거주 비허약노인이 허약노인보다 높았고, 허약노인 중에서는 재가 허약노인은 시설거주 허약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주관적 건강상태점수는 시설거주 비허약노인과 재가 비허약노인이 허약노인보다 높았고, 허약노인 중에서는 시설거주 허약노인이 재가 허약노인보다 높았다(p<.05). 결론적으로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설거주노인 중에서 허약노인의 비율이 높고 시설거주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이 부족하므로 이런 특성을 반영하여 거주유형에 따른 노인 허약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건강행동, 성행동,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health behavior, sexu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

  • 남문희;김정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67-37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2년 11월19일부터 12월 14일까지 K시 소재 대학의 3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K시 소재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횡단적 자가보고 설문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인터넷 중독군 별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동, 성행동,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시행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넷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운동회수(p<0.05), 아침식사 여부(p<0.05), 음란물 접촉(p<0.05), 주관적 행복지수(p<0.05), 자살생각지수(p<0.05)가 인터넷 중독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과 관련 변인으로 운동, 규칙적 식사, 성 행동, 주관적 행복지수, 자살생각지수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인터넷 예방을 위한 자료와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하다.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관련 요인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Using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배남규;송영수;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76-5985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를 평가해 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350명(재가급여 178명, 시설급여 172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1년 2월 16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재가급여 노인의 IADL과 MMSE-K는 시설급여 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ADL과 CES-D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L, IADL, CES-D 및 MMSE-K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재가 및 시설급여 이용노인 모두 ADL은 IADL 및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IADL은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가 및 시설 급여 이용 노인 모두 ADL과 IADL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건망증 증상 유무, 규칙적 운동 및 MMSE-K가 선정되었다. 또한 CES-D와 MMSE-K는 주관적 건강상태, 건망증 증상 유무 및 IADL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은 개인의 건강상태나 건강관련행위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사회 고등학생의 인터넷 문제 사용과 건강 위험 행동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Health Risk Behavior in Community High School Students)

  • 김양석;안동현;김윤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2호
    • /
    • pp.130-137
    • /
    • 2007
  • Objectives: Studies investigating problematic internet use have increased rapidly and have been focused on its causes, psychopathology,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so 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youth health risk behavi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youth health risk behavior. Methods: A community sample of 632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0 and 11 was collected for the survey. The sample was assessed using the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 System(YRBSS) and Young's Diagnostic Questionnaire of Internet Addiction(YDQ).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normal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the problematic internet use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at-risk use and addiction groups. Results: There were 56 subjects(8.9%)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56 subjects(8.9%) in the at-risk internet use group. The other 507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rmal. The subjects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kissed more frequently and ate less fruit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y also showed a relatively higher tendency to watch TV, ride in a car driven by a drunk driver and to carry a weapon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ealth risk behaviors between the subjects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those in the at-risk internet use group, except for the possibility of riding in a car driven by a drunk driver. Conclusion: Unlike the normal group, there was very little difference in health risk behavior betwee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the at-risk internet use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addiction group and the at-risk internet use groups are homogenou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n the at-risk group, and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t-risk adolescents becoming addicted.

  • PDF

금연 공동주택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흡연 관련 행태 변화 (Policy Compliance and Smoking related Behavior Change in a Smoke-free Apartment)

  • 조후선;김은수;남해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221-234
    • /
    • 2020
  • 이 연구는 금연 공동주택 지정에 대한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지정 전후의 흡연행태 변화를 파악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는 대전광역시 금연 공동주택 1곳의 주민 28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하여 T 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정책순응도는 여성과 2년 미만 거주집단이 높았고, 비흡연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대상자의 정책순응도 관련요인은 거주기간이 2년 미만이면서, 소득 수준이 높고 금연에 대한 인지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 정책순응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관련요인은 주변 관계 만족도, 금연에 대한 인지된 장애성, 흡연 빈도 및 흡연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금연구역 지정정책 실시 후 흡연자들의 흡연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주민들의 간접흡연 빈도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금연구역 지정정책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고 흡연행태의 개선과 공동주택 내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 금연구역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외에도 흡연이 가져올 수 있는 심각성 등 건강신념모형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주민들에게 홍보 방안과 효과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정책 개발 및 제도적 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측기간에 따른 영구치 우식발생 연관 요인의 예측능 평가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THE RELATED FACTORS OF THE CARIES INCIDENCE ACCORDING TO THE DURATION)

  • 김성기;김진범;배광학;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95-402
    • /
    • 2010
  • 영구치 우식발생에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예측기간에 따른 예측인자로서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D 초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연구 1차년도에는 3년간 추적 조사할 우식발생 관련 요인의 확인을 위하여 대상자의 유구치 우식상태, 구강건강관리행위, 인구통계학적 변수, 타액과 구내미생물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연구 2-4차년도에는 각각 대상자의 1-3년간 영구치 우식발생 여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년간 영구치 우식발생은 Dentocult LB 판정결과가 2도 이상인 학생이 1도 이하인 학생에 비하여 2.3배 높았다. 2. 2년간 영구치 우식발생은 우식경험유구치면수가 0개인 학생에 비하여 1-10개인 학생이 5.2배, 11개 이상인 학생이 6.3배 높았다. 3. 2년간 영구치 우식발생은 Dentocult LB 판정결과가 2도 이상인 학생이 1도 이하인 학생에 비하여 2.3배 높았다(p=0.036). 4. 3년간 영구치 우식발생은 우식경험유구치면수가 0개인 학생에 비하여 1-10개인 학생이 3.9배, 11개 이상인 학생이 8.5배 높았다.

농업인의 연령대별 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Health Care Behaviors according to Ages in Farmers)

  • 이경숙;김효철;김경란;송은영;노상철;오경재;박기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09
  • 농작업 활동시 건강유해요인 증가에 따라 농부증 및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유병률은 증가하는 실정이므로, 장기추적연구를 통한 실태분석 및 원인구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 선정 및 측정방법 표준화, 농업인 건강 및 농작업 관련 행태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농업인 건강 및 작업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인의 성별 연령대별 건강관리행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4개월간 18개 지역 남자농업인 550명(44.6%)과 여자농업인 683명(55.4%) 총 1,233명을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대는 50세이하, 51~60세, 61~70세, 71세 이상 4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인의 체지량지수(BMI)는 남성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p<.001), 여성의 경우는 다른 그룹에 비해 70세 이상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5). 2. 대상 농업인들의 주작물을 조사한 결과 시설작목과 특용작물의 경우 남성은 50대, 여성은 40대 그룹이 가장 많은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목은 60대 그룹이 가장 많았다. 3. 지난 1년간 의료기관 방문 횟수와 의료비를 조사한 결과 남성(p<.0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가 높을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규칙적인 운동시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여성은 연령대와 운동여부간에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p<.001), 남성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농부증정도(농부증 없음. 의증. 양성)를 조사한 결과 남성(p<.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와 농부증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농작업 재해 실태 파악과 원인구명을 위한 작업개선방안 제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국내 농업인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건강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