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Fitness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27초

척수타박손상 후 트레드밀운동이 근 위축지연과 기능적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Inhibition of Soleus Muscle Atrophy and Improvement Functional Recovery after Spinal Cord Contusion in the Rats)

  • 오명진;장문녀;서태범;김종오;변재종;윤진환;정일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51-1657
    • /
    • 2009
  • 본 연구는 흰쥐의 흉추 9번을 타박 손상시키고 1주간의 휴식 후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는 저강도 트레드밀운동을 7주동안 수행하여, 가자미근 위축지연 변화를 western blotting과 H&E 염색 그리고 면역형광염색법으로 관찰하였으며, BBB-검사를 이용하여 기능적 회복을 관찰하였다.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척수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하지부위 가자미 근과 근섬유의 횡단면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근섬유 세포에서 IGF-I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생화학적인 결과 척수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하지부위 골격근 IGF-I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행동학적 검사를 통해 트레드밀 운동그룹이 비 운동그룹보다 기능적 회복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 비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IGF-I 단백질 발현량이 운동에 의해 증가하여 가자미근크기 증가와 같은 근 위축 지연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능적 회복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운동은 척수손상 환자에게 효과적인 기능재활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며, 장애를 최소화하여 자발적인 일상생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의 여가활동실태 분석 (Analysi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Min Jok Leadership Academy Students's Leisure Activity Actual Condition)

  • 이훈식;송강영;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1-109
    • /
    • 2007
  • 한국과학 영재학교 학생들과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영재학교 166명 (남:122, 여:44), 민사고 184명(남:71, 여:11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남학생들은 스포츠에 여학생의 경우 영재학교는 취미교양 활동에 민사고는 관람 감상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가활동을 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 해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75\sim80%$정도가 여가활동이 건강과 체력 유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3) 혼자서 여가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30%정도였고, 계획 없이 여가활동을 실시한다는 응답도 영재학교 남학생 51%, 여학생 40%, 민사고는 남학생 40%, 여학생 48% 정도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4) 평일에 주로 영재학교 남학생들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였고, 민사고 남 여학생 및 영재학교 여학생 집단은 취미 교양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5) 남학생의 경우 영재학교 38%, 민사고기 54% 학생들이 평일에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여학생은 70% 정도가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남학생들이 민사고 남학생들 보다 컴퓨터 게임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6)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시험이나 과제로 인한 시간부족을 꼽았고, 게을러서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9\sim25%$나 되었다.

살충제 살포가 금정산 소나무림 내 무당거미(거미목 : 왕거미과)의 생물적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sticide on Biological Traits of an Orb-web Spider, Trichonephila clavata Koch (Araneae: Araneidae)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Mt. Geumjeong, Korea)

  • 정종국;김준헌;김동수;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09-215
    • /
    • 2020
  • 최근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항공방제의 환경 영향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경남 양산 금정산 일대를 무처리구와 처리구(3회 살포 및 5회 살포)로 구분한 뒤, 유인항공기로 살포된 티아클로프리드가 비표적 절지동물인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체중, 체장, 머리가슴의 폭 및 뒷다리 전체 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7년 10월 11일에 각 조사구에서 성숙한 무당거미 암컷 성충을 채집하였다. 조사 결과,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은 살충제 살포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라졌는데, 특히 체장, 머리가슴의 폭, 그리고 뒷다리의 전체 길이는 항공방제구에서 채집된 무당거미가 무처리구에서 잡힌 개체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살충제 살포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무당거미의 형태적 특성은 살충제 살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건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장기적으로 살충제(직접 효과)와 먹이 가용성(간접 효과)에 대한 무당거미의 반응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SADP and ATDP-O)의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ADP and ATDP-O) in Korea)

  • 신은경;이한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67-28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ak(1982)이 개발한 SADP and ATDP-O(Scale of Attitudes for Disabled Persons and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 Scale-Original)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무원, 의료인, 교사, 언론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로 구성된 표적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비장애인 500명을 표집하여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표적집단과 일반집단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는 '염세주의-고정관념', '낙관주의-인권', '손상된 성격' 세 가지 차원의 15개 문항으로 정리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재구성한 척도의 적합성은 수용할만한 수준(good/reasonable fit)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척도의 Cronbach's ${\alpha}$ 값은 .8이 넘어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였으며, DFS(Disability Factor Scale)와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표적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다양한 장애유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검증이 필요하며, 척도의 활용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임상적, 실천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사회복지교육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Outcom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 전선영;윤정혜;안정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91-316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교육성과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임파워먼트가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담공무원의 인사관리차원의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396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AMOS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과모형은 적합도 지수가 매우 적절하게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 모형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사회복지교육과 직무성과, 그리고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잘 설명하는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회복지교육이 선행조건이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회복지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인사관리차원의 다양한 교육훈련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서킷 트레이닝 비만 중년 여성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rcuit Training on Aging-related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 손원목;곽이섭;김군도;하민성;박송영;성기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47-1051
    • /
    • 2017
  • 노화 과정에 따라 중년 여성들은 폐경 이후 체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서 체지방 증가와 제지방량의 감소로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고, 이러한 현상은 체내 호르몬의 분비의 변화와 함께 발생된다. 본 연구는 서킷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 중년 여성 운동군 10명, 대조군 10명 총 20명을 실시하였다.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으로 총 30분 주 3회 실시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운동자각도를 이용하여 13~17(약간 힘들다-매우 힘들다)수준으로 실시하였고, 또한 POLAR 심박수 변화량을 측정하여 1~6주는 60~70%HRR (Heart rate reserve), 7~12주는 70~80%HRR로 설정하였다. IGF-1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GH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DHEA-S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서킷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24주간 운동이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4 weeks of Training program on Aerobic Capacity,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uscular strength in High School Sprinters)

  • 문태영;김인동;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60-43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그리고 각 부위별 근력이 24주간 운동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D 고등학교에 재학중이며 운동경력이 최소 4년이상된 남자 단거리 선수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운동 전 후 연구대상자들의 심폐능력, 신체조성, 근력 그리고 기초체력을 측정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 그리고 체수분량 모두 훈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 $VO_2$max와 aerobic threshold는 운동전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p<0.05). 근력 및 기초체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 변화을 보였다 (p<0.05.) 본 연구결과 24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은 남자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들의 총체적 체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단거리 훈련 프로그램 작성 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훈련을 계획하고 실천하기 보다는 경기력 향상 및 부상 예방을 위하여 훈련 전 종합적인 신체검사 및 체력 검사를 전문가와 같이 실시 및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개인의 체력에 맞게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 실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시자연녹지(都市自然綠地)의 이용실태(利用實態)와 효율적(效率的) 활용방안(活用方案)을 위한 Greenway 시스템 도입(導入)에 관한 연구(硏究) :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를 중심(中心)으로 (The Adoption of a Greenway System for Enhancing the of Open Space in Urban Areas : The Case of City of Taegu)

  • 이주희;한상열;김범수;서응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76-584
    • /
    • 2000
  • 그린웨이는 도시의 자연녹지들을 연결하는 새로운 개념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3개 자연녹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그린웨이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설문조사는 1999년 7월과 8월의 2개월간 조사지역을 찾는 방문자 44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도시자연녹지의 이용행태, 편익과 이용의 문제점, 그리고 그린웨이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견 및 그린웨이 개발에 따른 경제적 편익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자연녹지를 이용객은 남성이 여성보다도 이용율이 높았으며, 교통수단은 승용차 이용이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자연녹지의 편익에 대하여는 건강과 운동의 장소, 그리고 자연녹지보호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였으나, 장애자들의 이용측면에서는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도시 자연녹지의 문제점에 있어서는 취수대의 부족, 환경교육/해설에 대한 시설 부족, 등산로의 방향표시부족, 그리고 사전정보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린웨이의 개발에 관한 시민들의 의식조사에서는 그린웨이 개발에 대하여 94.1%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발후 이용에 관하여는 96.8%가 이용할 것이라 응답하여, 그린웨이 개발이 일반 시민들에게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웨이의 개발에 대한 비용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시민들은 세금을 부담하더라도 비용의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평균 지불의사 금액은 방문객 일인당 약 10,200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의 녹지공간의 접근용이성과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그린웨이의 체계적인 도입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및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types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to Class Satisfaction, Class Flow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 천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97-408
    • /
    • 2021
  • 본 연구는 교양체육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체육 참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수자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있다. 경인지역과 충청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대면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양체육 수강생 221명을 표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8부를 제외한 21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계수 산출,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양체육 수업의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만족(교육만족, 환경만족, 심리사회만족,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체육 교수자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몰입(수업몰두, 목적경험, 의식일치, 도전, 통제, 통합)에 영향을 미치며, 교양체육 교수자의 지도유형은 수강생의 체육교과태도(대인관계, 신체활동, 능동참여 적극수행,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은 교양체육에 대한 수강생의 긍정적 정서(수업만족, 수업몰입)나 자세(체육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양체육 지도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제 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in Korea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s in elderly women patients undergoing type II diabetes mellitus)

  • 방윤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21-1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주요 결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로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한국 학술정보, 대한의학 편집인 협의회, 한국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 5월까지 출판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였다. 검색어로는 당뇨, 여성 당뇨, 노인 당뇨, 제2형 당뇨병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관련 검색어로는 프로그램, 중재, 운동, 혈당, 혈당장애, 혈당조절, 공복 시 혈당, 당화 혈색소를 사용하였다. 최종 12개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 운동프로그램의 중재 기간은 12주(50%), 주당 3회(58.3%), 1회당 50-69분(83.4%)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유산소와 무산소복합운동은 혈당뿐 만 아니라 당화 혈색소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체력 수준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집단교육보다는 개별교육의 운동 프로그램 중재를 적용해야 하며 일회성 운동보다는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효과적인 혈당조절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