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s detec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3초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활용한 벤젠 노출 매트릭스에 대한 연구 (Benzene Exposure Matrices Using Employees's Exposure Assessment Data)

  • 백경희;박동욱;하권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6-155
    • /
    • 2015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et up benzene exposure matrices according to industry and process and to assess the risk of those occupational exposure to benzene. Methods: The benzene exposure matrices were assembled depending on industry and process, based on an exposure database provided by KOSHA(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hich was gathered from a workplace hazards evaluation program in Korea. These exposure matrices were assessed by Hallmark Risk Assessment tool. Results: The benzene was treated 412 industries sector(36%), 2,747 business places, and 471 industrial processes according to database. The arithmetic mean of past decade 8 hours time-weighted average of airborne benzene concentrations in the workplace was 0.10722 ppm. 1.07% of the total sample were greater than OEL, and 59.8% were showed less than the limit of detection. The highest risk values(Danger Value) were seen 36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e of general paints and similar product and 12 processes, such as other painting of manufacture of metal fabricated members. Exposure matrices based on employee exposure data base may provide exposure histories and can be used in epidemiological studie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more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36 among 412 industries and 12 of 471 processes, with a higher risk value.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for Campylobacter spp. on Ham in Korea

  • Lee, Jeeyeon;Ha, Jimyeong;Kim, Sejeong;Lee, Heeyoung;Lee, Soomin;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74-68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of illness from Campylobacter spp. on ham. To identify the hazards of Campylobacter spp. on h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riteria for Campylobacter spp., and campylobacteriosis outbreak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osure assessment, the prevalence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evaluated, and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for the temperature of ham surfaces in retail markets and home refrigerators were prepared. In addition, the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2012 were used to estimate the consumption amount and frequency of ham. In the hazard characterization, the Beta-Poisson model for Campylobacter spp. infection was used. For risk characterization,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risk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estimated with @RISK. The Campylobacter spp. cell counts on ham sample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0.70 Log CFU/g). The daily consumption of ham was 23.93 g per person,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was 11.57%. The simulated mean value of the initial contamination level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3.95 Log CFU/g, and the mean value of ham for probable risk per person per day was 2.20×10−12. It is considered that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for Campylobacter spp. was low. Furtherm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Campylobacter spp.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providing scientific evidence to set up the criteria of Campylobacter spp..

아파트 화재 사례 전산모사를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ire Hazard Evaluation through the Fire Simulation of an Apartment Fire Acciden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파트 화재 사고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화재 전산모사 결과, 스프링클러 미 작동 시 최대 열방출율은 7,700kW로써 스프링클러 작동시 최대 열방출율 497kW의 약 16배이며, 화재실의 문 강제 개방 시 역화현상의 발생으로 화재위험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화재실 온도의 위험도래시간과 감지기 작동 시간에 의한 재실자 피난 여유시간은 최소 32.5초와 최대 53.5초이다. 스프링클러 작동 시에는 냉각에 의한 화재제어로 아파트 실내의 화재위험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아파트 화재사고의 전산모사 결과를 통하여 소화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정상작동이 화재안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작동 불능 시 얼마나 큰 피해 손실을 초래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Monitoring of Aflatoxin $B_1$ in Livestock Feeds Using ELISA and HPLC

  • Han Eun-Mee;Park Hee-Ra;Hu Soo-Jung;Kwon Ki-Sung;Lee Hyo-Min;Ha Mi-Sun;Kim Kyung-Mi;Ko Eun-Jung;Ha Sang-Do;Chun Hyang-Sook;Chung Duck-Hwa;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43-646
    • /
    • 2006
  • Because of potential health hazards of aflatoxins for human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aflatoxin $B_1\;(AFB_1)$ in livestock feeds. A total of 249 samples of feeds collected in Korea were analyzed by DC-ELISA for qualitative analysis of $AFB_1$. Then, 27 samples that were verified to contain $AFB_1$ by DC-ELISA were quantitated by HPLC/FLD. HPLC/FLD analysis revealed that only one sample collected from a farm contained 11 ppb of $AFB_1$, whereas the other samples collected from feed companies did not contain $AFB_1$. The presence of $AFB_1$ was further confirmed by LC/MS analysis. TL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sult of the DC-ELISA was most likely due to possible contamination of other mycotoxins rather than $AFB_1$. In conclusion, HPLC/FLD analysis following DC-ELISA is necessary for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AFB_1$.

클러터 제거에서의 레이다 시스템 위상잡음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adar System Phase Noise Effects in Clutter Cancellation)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52-458
    • /
    • 2007
  •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의 기상위험 탐지를 위한 항공기용 기상 레이다의 경우 강력한 지표면 반사파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강력한 클러터의 제거 없이는 미약한 도플러 신호로부터 신뢰성 있는 기상 자료의 추출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시스템 위상잡음은 클러터 및 도플러 신호를 분산시켜 효율적인 클러터 제거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플러 기상 레이다 시스템에서의 위상잡음을 모델링하고 이에 따른 클러터 및 신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신되는 클러터 및 도플러 신호전력의 비에 따른 위상잡음에 의한 클러터 전력 제거의 한계치를 고찰하였다. 수신되는 신호 대 클러터 비가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강력한 클러터 전력의 위상잡음으로 인한 분산 현상으로 일정 정도 이상의 효율적인 클러터 제거가 어렵게 됨을 알 수 있다.

위상배열 안테나를 활용한 기상 레이다 시스템에서의 클러터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utter Cancellation in a Weather Radar System Using a Phased Array Antenna)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173-1179
    • /
    • 2008
  •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의 기상위험 탐지를 위한 지상 및 항공기용 기상 레이다의 경우 강력한 지표면 반사파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강력한 클러터의 제거 없이는 미약한 도플러 신호로부터 신뢰성 있는 기상자료의 추출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동 클러터 뿐만 아니라 고정 클러터의 경우에도 안테나 회전 및 운영환경에 따른 도플러 변이가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클러터들을 도플러 주파수 영역에서 제거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플러 기상 레이다 시스템에 간단한 구조를 갖는 배열 안테나를 활용하여 클러터 들을 공간상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동 및 고정 클러터, 기상신호들을 모델링 하고 이러한 모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기상 레이다에서의 펄스페어 추정치의 정확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저고도 기상 레이다에서의 도플러 스펙트럼 추정 (Doppler Spectrum Estimation in a Low Elevation Weather Radar)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92-1499
    • /
    • 2020
  • 기상 레이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강우 및 풍속 등과 관련된 기상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스템은 대부분의 경우 장거리용이며 비교적 높은 고도를 지향하고 있어 넓은 지역에서의 전체적인 기상 현상을 파악하는 목적으로는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국지적인 폭우나 또는 돌풍 등에 의한 재난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상이변 현상의 탐지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국지적인 기상 이변 탐지목적의 기상 레이다는 저고도 탐지 및 급변하는 국지적인 기상상황의 빠른 탐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운용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지표면 클러터가 큰 영향을 미치며 안테나의 신호 획득시간도 매우 짧아진다. 따라서 기존의 도플러 스펙트럼 추정방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R(autoregressive) 도플러 스펙트럼 추정 방법들을 적용하고 결과들을 고찰하였다. 적용된 방법들을 이용하면 기존의 FFT(Fast Fourier Transform) 방법에 비하여 향상된 도플러 스펙트럼 추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국지적 기상 레이다에서의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터 제거 방법 분석 (Analysis of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Method Using an Array Antenna in a Local Weather Radar)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80-1187
    • /
    • 2022
  • 최근 국지적인 돌풍이나 호우 등의 기상이변에 의한 재난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국지적인 기상 레이다를 활용한 기상위험 현상의 탐지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이러한 목적의 기상 레이다는 저고도 탐지 및 급변하는 기상상황의 빠른 탐지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강력한 지표면 클러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기상 정보의 빠른 업데이트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고각별 탐지를 위한 기계적인 안테나 조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지표면 클러터의 효율적인 제거도 가능한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구조의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FFT 알고리즘을 통한 고각 필터뱅크 구현 방법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탐지 과정에서의 지표면 클러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도 빠른 기상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함을 보였다.

유전 요인과 생활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이 제2형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유전체역학 조사사업(KoGES) 자료를 이용하여 (Effects of gene-lifestyle environment interactions on type 2 diabetes mellitus development: an analysis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ta)

  • 현수진;전상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73-8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interaction effects of genetic and lifestyle-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from 2001 to 2014. Data on genetic variation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iochemical data, and seven lifestyle factors (diet, physical activity, alcohol drinking, smoking, sleep, depression, and stress) were obtained from 4,836 Koreans aged between 40 and 59 years, including those with T2D at baseline (n = 1,209), newly developed T2D (n= 1,298) and verified controls (n = 3,538). The genetic risk score (GRS) was calculated by using 11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related to T2D development and the second quartile was used as the reference category. A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GRS and lifestyle factors with T2D risk, controlling for covariates. Result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RS was the strongest risk factor for T2D, and body mass index (BMI), smoking, drinking, and spicy food preference also increased the risk. Lifestyle/environmental factors tha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GRS were BMI, current smoking, current drinking, fatty food preference, and spicy food preference. Conclusions: Interactions between genetic factors and lifestyle/environmenta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2D. The results will be useful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genetic profiling for the earlier detection of T2D risk and clues for personalized interventions, which might be more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or therapies in individuals with a genetic predisposition to T2D.

A review of ground camera-based computer vision techniques for flood management

  • Sanghoon Jun;Hyewoon Jang;Seungjun Kim;Jong-Sub Lee;Donghwi Jun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3권4호
    • /
    • pp.425-443
    • /
    • 2024
  • Floods are among the most common natural hazards in urban areas. To mitigate the problems caused by flooding, unstructured data such as images and videos collected from closed circuit televisions (CCTVs) or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have been examined for flood management (FM). Many computer vision (CV) techniques have been widely adopted to analyze imagery data. Although some papers have reviewed recent CV approaches that utilize UAV images or remote sensing data, less effort has been devoted to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CCTV data. In addition, few studies have distinguished between the main research objectives of CV techniques (e.g., flood depth and flooded area)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CV applications for each FM research topic. Thus,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that proposes CV techniques for aspects of FM using ground camera (e.g., CCTV) data. Research topic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lood depth, flood detection, flooded area, and surface water velocity. These application areas ar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urban, river and stream, and experimental. The adopted CV techniques are summarized for each research topic and application area. The primary goal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guidance for researchers who plan to design a CV model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flood-depth estimation.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draw on this review to construct an appropriate CV model for any FM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