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materials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9초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에 의한 점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of Ignition due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 김윤석;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8
    • /
    • 2016
  • 국내외의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을 취급하는 대형설비에서의 폭발위험장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와의 공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폭발위험장소의 안전관리는 크게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이 누출되어 폭발분위기를 형성할 때 점화원을 제어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방폭시스템이 있다. 제도와 기술로 인해 전기적 점화원에 대한 방폭설비는 상당히 보급되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열적 점화원의 경우,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기술개발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의 점화 위험을 보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국제표준과 사고사례 및 위험분석보고서를 연구하고, 국내 중부권 공정안전관리제도 대상 사업장의 디젤엔진의 불꽃방지기 등 안전장치 적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석유화학 산업에 적용함에 있어,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 점화원의 위험인식을 통해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대한 안전관리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유해가스 흡수처리를 위한 저비용 고효율 스크러버의 최적 설계기준 및 현장적용 방안 (Optimal Design Standard and Application of Low Cost, High Performance Scrubber for Absorbing Hazardous Gas)

  • 정가영;임경민;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45
    • /
    • 2021
  • 사업장에서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스크러버는 처리효율은 높으나 설계가 복잡하고 24시간 펌프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영세한 사업장에서는 스크러버를 설치하지 않거나 순환펌프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로 스크러버를 운용하여 운영비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스크러버에 대한 적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저비용 고효율 스크러버는 bubble column의 방식을 적용하여 유해화학물질 흡수처리 목적으로 장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러버의 개발을 위하여 실험을 통해 흡수성능을 검토하였으며 특정 조건에서 물리적 조건 변화에 따른 유해가스 흡수효율 변화 및 최적의 적용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저비용 고효율 스크러버로 유입되는 기체를 어느 정도 처리할 수는 있었으나 처리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흡수액 공급을 통해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순환량에 따라 일정 수준의 흡수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는 적정 순환시점 및 동결 방지방안을 포함한 저비용 고효율 스크러버의 현장 적용방안을 3가지 방식(type)으로 제시하였다.

유용성 도료와 수용성 도료의 유해성 비교에 관한 연구 (자동차 보수용 도료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Health Hazard Effects by Solvent-based and Water-based Painting materials)

  • 권은혜;김광식;오정룡;최정근;정윤석;이유진;김은아;송세욱;정호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stitute water-based painting materials for the current solvent-based ones used in motor-repairing process to minimize the exposure of organic solvents to the painters. This study assessed the exposure of organic solvents to the painters using water-based and solvent-based painting materials and compared compositions, painting processes and the health hazards of the application of these alternative painting mate 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lvent-based painting materials used in motor-repairing process consist of various organic solvents, which consist primarily of toluene, xylene, ethyl benzene, ethyl methyl benzene, trimethyl benze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methyl isobutyl ketone, 2-ethoxy ethanol, 2-ethoxy ethyl acetate and toluene-2,4-diisocianate and the others. These organic solvents are known as health-hazardous substances. But water-based painting materials are high-solid, low-solvent one sand consist of such two organic solvents as 2-butoxy ethanol and 2-heptanone and the others. 2. The painters us ing solvent-based painting mate rials in motor-repairing process are exposed to various organic solvents which consist of toluene, xyle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methyl isobutyl ketone, trimethyl benzene, 2-ethoxy ethanol, and 2-ethoxy ethyl acetate. But the painters using solvent-based ones are only exposed to 2-butoxy ethanol and 2-heptanone. 3. By using water-based painting materials in stead of solvent-based painting materials containing health-hazardous organic solvents, the exposure of such organic solvents in the painter's breathing zone can be largely prevented. 4. This study recommends water-based painting materials as substitutes for the current solvent-based ones used in motor-repairing process to minimize the exposure of organic solvents to the painters.

  • PDF

어린이용품 함유 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노출계수 조사 (Survey of Exposure Factors for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in Child-Specific Products)

  • 김정곤;서정관;김탁수;박건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26
    • /
    • 2014
  • Background: Despite children'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m from adults, relatively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measure exposure factors for characterization of children's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in child-specific products (CS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for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CSP.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xposure factors (e.g., time use of child-products, time and frequency of object-to-body contact, time and frequency of object-to-mouth contact) influencing children's exposure to CSP (e.g., toys, playmats, oil pastels, etc.) in 650 children through a parent-completed questionnaire using a web-based surve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five age groups, <1, 1-2, 2-3, 3-6, and 6-12 years of age. Results: The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were presented as the mean, median, $95^{th}$ percentile, minimum, and maximum values. Time activity for play mats was the longest among CSP and infants spent more time on them than did elder age groups (189.3-224.7 min/day for <1-2 years vs. 91.2 min/day for 6-12 years). It is apparent that time and frequency of toy block- and plastic toy-to-mouth contact significantly decreased as a function of age. When the variation of CSP use patterns was compared by gender, the only variable tha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enders was time activity in child-products exposure space. Conclusion: We believe the five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will be valuable for reducing uncertainty in the estimation of chemical exposure during risk assessment of CSP and furthermore, in the appropriate regulations to protect children's health.

동결/융해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 복토층 연구 (A Study of Landfill Coyer Liners by Freezing/Thawing)

  • Jai-Young Lee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3-109
    • /
    • 1996
  • 일반 및 특정폐기물 매립지에서 복토층의 중요성은 매립지의 바닥층 만큼 강조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러나 실제로 매립지의 파괴 원인중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복토층 설치의 실패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복토층 기능은 우수를 지표면으로 유출증진하여 매립장 안으로 침투 억제시키며, 폐기물의 노출시 자연환경 위생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며, 매립지의 침하 및 침강을 억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동결/융해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 최종복토의 거동을 수행하였으며, 폐기물 매립지에서와 같은 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거대한 Lysimeter를 설치하여 실제로 최종복토에 쓰여지는 물질로 세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동결/융해에 따른 점토층의 변화를 묘사하고 있으며 또한, 매립지에서의 동결깊이에 따른 복토층의 파괴는 점토의 물리 적, 공학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은 매립지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문은 실험에 사용되어진 복토층의 물질, 복토층의 묘사와 그들의 실험결과에 대한 결과분석 및 결론을 설명하고 있다.

  • PDF

유류 및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에서의 토양오염 방지대책 (Prevention of Soil Contamination from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of Petroleum Product and Hazardous Chemical Compounds)

  • 배우근;홍종철;정진욱;김종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4호
    • /
    • pp.40-47
    • /
    • 2002
  • 본 연구는 유류저장시설에서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국·내외 관련 시설과 기술 조사 및 관련 법규정 검토를 통해 국내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토양오염 방지조치시설의 기준을 구체화하거나 보완 또는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인 토양오염 방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식산화 방지를 위해 저장탱크는 강철-클래드 탱크, 내부 라이닝 탱크 또는 이중벽 탱크를 사용하고 배관은 내부식성 물질로 만든 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흘림방지를 위해 주유기 Sump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넘침방지 시설의 보호를 위해 유류의 주입방식을 가압식 주입에서 자연 유하식 주입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모든 탱크 및 배관 관련 시설은 저장물질의 누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누출측정기기, 증기 감지시설, 지하수 감시시설, 또는 이중벽 감시시설 등 저장물질의 누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가지 이상의 모니터링 시설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폐수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 구축에 대한 연구: 1차 철강 제조업과 석유정제품 제조업 (A Study on the Water Pollutant Discharge Inventories for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and Petroleum Refining Products Manufacturing Facility)

  • 안태웅;김동민;손대희;김재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3-46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ntory the water pollutant discharge of wastewater from two facilities, one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and one petroleum refinery,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Korea, an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Probability evaluation was used to inventory the substances in polluted water. The samples collected in this study included original wastewater, on processing wastewater, and treated water. The general description of wastewater occurrence, major sources, and treatment facilities were also investigated to obtain an integrated database of the pollutants created by different industrial categories. Based on our analysis of raw wastewater and final effluent, the detected pollutant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ir presence in the raw or supplemental materials, the potential of formation as byproducts, and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as impurities. The compounds detected for each category were screened via investigation of their possible sources and confirmed as the final water pollutant inventories. Thirty kinds of water pollutants were emitted by the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reference in case A), including 14 specified hazardous water pollutants. The petroleum refinery (reference in case B) emitted 36 water pollutants, including 16 specified hazardous water pollutants.

누출사고 방지를 위한 위험물 탱크의 기초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Foundation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Tank for Preventing Leakage Accidents)

  • 임종진;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96-100
    • /
    • 2020
  • 산업단지내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결함으로 인한 위험물질의 유출사고는 인근 지역의 대형 인명사고 및 대형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기초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위험물탱크 단지가 건설된 대표지반을 선정하여 3차원 모델링에 의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탱크 기초 유형을 4종류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탱크기초의 응력 및 침하량 크기와 분포 특성은 링월기초의 경우 옆판 직하부분이 탱크 중심부에 비해 40배 이상의 응력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침하영향범위는 수평방향으로 탱크 반경만큼, 수직방향으로 탱크 직경만큼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각 기초 유형별로 위험물 저장탱크의 설계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Monitoring of Red Pepper Powder and Seasoned Red-Pepper Sauce using Species-Specific PCR in Conjunction with Whole Genome Amplification

  • Hong, Yewon;Kwon, Kisung;Kang, Tae S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6-150
    • /
    • 2018
  • 고추는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양념 중 하나이다. 하지만 수입 고춧가루와 다진 양념(다대기)에 부과되는 관세율(45%/270%)의 차이로 인해, 다진 양념이 수입된 후, 건조 및 분쇄 과정을 거쳐 고춧가루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 특이 PCR 기술과 whole-genome amplification 방법을 접목하여 고춧가루(N=45) 및 다진 양념(N=5) 제품의 사용원료(고추, 마늘, 양파, 파, 생강)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39개 고춧가루 제품은 표시사항을 준수하였으며, 6개 고춧가루 및 5개 다진 양념 제품은 제조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분석 제품의 22%가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고춧가루 제품에 사용된 원료분석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물 사고 발생보고서 개선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zardous Materials Accident Report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

  • 고문수;장현준;성춘모;이훈기;이봉우;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9
    • /
    • 2022
  • 화학물질은 사회 전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사용량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화학물질 및 위험물과 관련한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 빈도 또한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 발생에 따른 각 관련 기관별 사고 조사서, 관리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조사서 입력 시스템을 개선하여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조사에 따른 세부 정보 수집 및 통계산출에 효율을 높임으로써,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의 예방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