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sh Chai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블록체인 기반 IoT 디바이스 인증 스킴 (Blockchain-Based IoT Device Authentication Scheme)

  • 박병주;이태진;곽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343-351
    • /
    • 2017
  • ICT 기술이 발달하며 IoT 환경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사용 용도만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CPU의 성능도 다양하지만, 인증에 필요한 암호화가 내장되지 않은 CPU를 사용하거나, 공개키 암호가 동작하지 않는 디바이스도 다수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램포트 해시체인, 램포트 서명, 블록체인을 분석하고, 기존 인증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인증, 무결성 및 부인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IoT 디바이스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킴은 IoT 디바이스에 단순 해시연산만을 요구하여 저성능 IoT 디바이스에서도 동작이 가능해 IoT 환경에서 안전한 인증을 보장할 수 있다.

이중 해쉬체인을 이용한 계층적 다중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기법 (An Efficient data management Scheme for Hierarchical Multi-processing using Double Hash Chain)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71-278
    • /
    • 2015
  • 현재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는 빅 데이터는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데이터가 수집되는 시간보다 데이터가 증가하는 속도가 높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원활하게 수집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데이터의 사용 목적 및 종류에 따라 다르게 처리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정확성과 계산비용이 빅 데이터 관리에 중요한 항목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할 때,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동시에 데이터의 계산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중 해쉬체인을 이용한 계층적 다중처리 기반의 데이터 처리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사용 목적 및 방법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한다. 이때,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를 이중 해쉬체인으로 묶어 다중 처리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계층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를 손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해쉬체인으로 데이터를 구성하여 데이터의 처리 비용을 줄였다. 실험결과,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보다 데이터의 정확도는 평균 7.8% 높았고, 데이터의 처리 비용은 4.9% 단축시켰다.

오픈뱅킹플랫폼에서 해쉬체인을 이용한 안전한 액세스토큰 모델 (Secure Access Token Model of Open Banking Platform using Hash Chain)

  • 정진교;김용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77-28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오픈 뱅킹 플랫폼의 안전한 권한 부여를 위한 OAuth 인증 과정의 권한코드 획득 단계와 액세스토큰 사용 단계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여 위협 모델을 정의하고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하는 방법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로 핀테크 앱을 등록 한 후, 2단계로 사용자가 권한을 핀테크 앱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핀테크 앱의 신원을 안전하게 확인하고, 액세스토큰을 준비하는 단계, 3단계로 액세스토큰 탈취에 의한 재사용 공격에 대한 안전한 액세스토큰의 사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OAuth 인증 플로우의 보안 위협에 대해 기존 권한승인 획득 단계와 액세스토큰 사용 단계를 포괄하는 넓은 위협에 대응을 할 수 있다.

  • PDF

해시체인기반의 경량화 RFID 인증 프로토콜 (A Lightweight RFID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Hash Chain)

  • 윤근영;김동성;박종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5-53
    • /
    • 2006
  • 해시 체인 기반의 여러 RFID 인증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상태기반 인증 프로토콜과 시도 응답기반 인증 프로토콜은 위치추적 공격, 스푸핑 공격, 재전송 공격, 트래픽 분석 공격에는 안전하지만 DoS 공격에는 취약하고, 위치 추적과 서비스 거부 공격에 강한 RFID 인증 프로토콜은 위치추적 공격, 스푸핑 공격, 재전송 공격, DoS 공격에는 안전하지만 트래픽 분석 공격에는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해시체인 인증 프로토콜과 위치 추적과 서비스 거부 공격에 강한 RFID 인증 프로토콜의 장점을 결합하여 좀 더 안정적이며 경량화된 RFID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의 보안성을 분석한 결과 위치추적 공격, 스푸핑 공격, 재전송 공격, 트래픽 분석 공격, DoS 공격 측면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외의 서버와 태그 내부에서의 연산량이 경량화된 RFID 인증 프로토콜임을 보인다.

  • PDF

RFID 프라이버시 보호에서 병행성을 이용한 확장성 개선 (Improving Scalability using Parallelism in RFID Privacy Protection)

  • 신명숙;이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28-1434
    • /
    • 2006
  • RFID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백엔드 서버에서의 필수요건인 확장성을 단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현재 RFID/USN이 큰 이슈가 되면서 RFID에 대한 각종 연구와 응용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반면에 RFID의 낮은 연산능력과 기억능력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여러 문제들을 유발시킨다. 기존 해시 체인 기법은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공격들에 대해서 전방 보안성, 기밀성, 불구분성 등을 모두 보장하는 안전한 기법이다. 그러나 백엔드 서버에서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백 엔드 서버에서의 계산량을 감소하기 위해 키를 효율적으로 찾는 Hellman Method를 적용한다. Hellman Method 알고리즘은 선행계산과 탐색 두 단계로 진행되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시 체인 기법에 Hellman Method를 적용한 후 병행성을 분석하고 분할적용하여 보안성과 키 검색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보안 요건을 모두 보장하면서 키 검색 비교는 기존 방식보다 계산 복잡도를 O(m)에서 $O(\frac{m{^2/3}}{w})$ 으로 단축하여 서버에서의 계산 시간을 단축하였다.

안전한 스마트 그리드 환경을 위한 이중 해쉬 체인 기반 키 관리 프레임워크 (Key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Double Hash Chain for Secure Smart Grid Environments)

  • 이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063-2072
    • /
    • 2013
  •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이다. 기존의 폐쇄이던 전력망이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는 개방형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보안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안 메커니즘 개발에 핵심이 되는 키 관리 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해쉬 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키 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제안하는 키 관리 프레임워크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분석한다.

OOXML기반의 동적 그룹키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E-Document Management System Using Dynamic Group Key based on OOXML)

  • 이영구;김현철;정택영;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2B호
    • /
    • pp.1407-14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접근제어 환경에서 하나의 문서에 대하여 세분화된 페이지 정보를 권한별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일방향의 특성을 가지는 해쉬 체인을 이용해 계층식별자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 달리 모든 사용자의 키 정보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해쉬 체인 기반의 계층식별자와 랜덤하게 생성한 그룹식별자를 조합해 그룹키를 생성함으로써 페이지별 대칭키를 이용한 문서 암호화 기법에 키 생성 및 관리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그룹 구성원 이동에 따른 동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기존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 결과 문서 암 복호화 속도, 페이지별 암 복호화 속도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쉬 체인 기반의 안전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인증 프로토콜 (Secure Authentication Protocol i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Hash Chain)

  • 정소원;김기성;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31-847
    • /
    • 2013
  • 모바일 대중화에 따른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치 있는 비즈니스 정보를 얻고자 하는 기업들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 및 활용 또한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하둡은 테라바이트 단위의 파일 저장 능력과 저렴한 구축비용,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로 가장 대표적인 빅데이터 기술로 손꼽힌다. 하지만 현재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토큰 시스템은 토큰 재전송 공격, 데이터노드 해킹 공격에 취약하다. 이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상에 저장된 기업 기밀 데이터 및 고객 개인 정보 등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큰 및 데이터노드가 공격자에게 노출되었을 때 발생 가능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고, 해쉬 체인을 사용한 보다 안전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빅 데이터 환경에서 다중 속성 기반의 데이터 관리 기법 (Multi-Attribute based on Data Management Scheme in Big Data Environment)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63-268
    • /
    • 2015
  • I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센서 모바일을 기반으로 사물에 정보를 담아 네트워크로 상호연계되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손쉽게 사용하기 위한 보안 해결책이 미미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빅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에 다중의 속성을 해쉬 체인 기법에 적용한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빅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한 데이터의 종류, 기능,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속성을 분류하여 분류된 속성 정보를 해쉬 체인으로 묶어 데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제안 기법은 여러 지역에 분산된 데이터를 손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데이터 속성 정보를 해쉬 체인의 연결 정보로 활용하여 빅 데이터의 접근 제어를 분산 처리하였다.

DRM 시스템에서 해쉬체인과 세션키 교환을 이용한 암호화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cryption Method using Hash Chain and Session Key Exchange in DRM System)

  • 박찬길;김정재;이경석;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7호
    • /
    • pp.843-85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암호화 방법보다 안전한 키를 생성하는 해쉬체인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해쉬체인 알고리즘 기법을 통해 생성한 각각의 키를 각각의 블록에 적용한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기법을 통해 사용자를 유/무선으로 인증한 후, 키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분할된 키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과 클라이언트에 키가 유출되어도 완전한 키를 얻지 못하도록 하는 세션키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 후 성능 평가를 위해 다양한 크기의 디지털콘텐츠 파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에 비해 안전한 키 전송을 할 수 있었고, 키 유출에도 전체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없도록 암호화 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비디오 데이터 파일 재생 시 암호화 복호화 시간은 기존 방법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