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boiled food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3초

부산.경북지역 초.중학교 급식메뉴의 나트륨 함량 및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 조사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 이휘재;이창희;이광수;정영지;하숙희;정유영;김동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북 지역 초 중학교 단체급식에 함유된 나트륨 함량 및 초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 실태를 조사하여,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및 섭취량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나트륨 섭취 저감화 사업 등의 과학적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식품군별 나트륨 함량은 소스류(1459 mg/100 g)와 절임류(1165 mg/100 g)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구이류(894 mg/100 g), 조림류(786 mg/100 g), 김치류(737 mg/100 g), 볶음류(624 mg/100 g), 무침 나물류(444 mg/100 g), 튀김류(434 mg/100 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223 g/인), 일품식류(186 g/인), 밥류(122 g/인), 죽류(11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유제품(106 g/인), 탕 전골류(77 g/인), 국류(70 g/인), 찌개류(56 g/인), 과일류(44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665 mg/인), 일품식류(558 mg/인), 죽류(329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227 mg/인), 소스류(219 mg/인), 국류(200 mg/인), 구이류(194 mg/인), 찌개류(178 mg/인), 튀김류(159 mg/인)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325 g/인), 면류(323 g/인), 밥류(180 g/인), 죽류(15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131 g/인), 음료(123 g/인), 찌개류(98 g/인), 국류(90 g/인), 유제품(76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1039 mg/인), 면류(819 mg/인), 죽류(530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374 mg/인), 튀김류(330 mg/인), 찜류(323 mg/인), 국류(316 mg/인), 볶음류(295 m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 끼당 나트륨 섭취량은 초등학생의 경우 1인당 605 mg(저학년 남자), 572 mg(저학년 여자), 774 mg(고학년 남자), 730 mg(고학년 여자)이며, 중학생의 경우 1인당 1423 mg(남자), 1063 mg(여자)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보아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교급식 한끼를 통해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한국인(9세 이상) 나트륨 상한섭취량인 2000 mg/day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위해가능 영양성분인 나트륨의 섭취량 저감화를 위해서는 학교급식에 대한 나트륨 섭취 권고안을 만들고,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식단에 반영할 수 있는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트륨 섭취 저감화 등 어린이 보건 향상을 위한 식품안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녹차음식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1990년대 이후의 문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Green Tea Food -Focused on the Literature Published since the 1990's-)

  • 최배영;조인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2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feature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green tea food by analyzing the data on tea foods 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after the 1990's (two articles from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tea culture, and three books related to tea food).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from separating 354 different kinds of green tea foods into three categories - main dishes, side dishes and desserts - that there are 137 kinds of side dishes, 123 kinds of desserts, and 94 kinds of main dishes from green tea foods. Upon dividing these into smaller categories, there are 40 rice dishes, 27 noodle dishes, 18 gruel dishes and 9 dumpling dishes found among the main dishes; 26 pan fried dishes, 24 potherb/cooked potherbs dishes, 17 deep-fried dishes, 15 soup/broth dishes, 14 grilled dishes, 11 smothered dishes, 10 hard -boiled/fried dishes, 6 kimchi dishes, 4 dried food dishes, 4 jelly dishes, 4 stew dishes, and 2 raw fish dishes among the side dishes; and 37 snack dishes, 36 punch/drink dishes, 26 rice cake dishes, and 24 bread dishes are found among the desserts. 2. There are 201 kinds of green tea foods using powders, 107 kinds using wet tea leaves, 61 kinds using dry tea leaves, 57 kinds using water of drawn tea, and 17 kinds using wild tea leaves, according to analysis of teas used for green tea foods. There is more use of powder for snacks, punch and drinks, rice cakes, noodles, and breads, and more use of wet tea leaves for rice, pan fried food, and potherb/cooked potherb dishes. It is also shown that there is more use of water from drawn tea for rice, punch and drinks, noodles, and gruels, more use of dry tea leaves for snack, rice, breads, and more use of wild tea leaves for deep-fried and pan fried kinds of tea foods.

  • PDF

대구지역 학교급식 식단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호도와 섭취율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 김소희;차명화;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45-95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메뉴 기호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실제 섭취상태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학교급식 식단 계획 시 유용한 기초 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학교급식 운영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영양섭취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구지역 직영급식을 하는 16개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조리형태에 따른 빈도를 분석하면 국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밥류, 김치류가 비교적 자주 제공되었다. 2) 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살펴보면, 쌀밥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일품 요리류는 비빔밥과 볶음밥, 국 및 찌개류에서는 수제비만두국과 미역국, 그리고 무침류에서는 과일샐러드나 야채샐러드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찜류 및 조림류에서도 갈비찜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튀김 구이류의 기호도는 돈가스, 탕수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볶음류와 찜류, 조림류, 튀김 구이류에서 육류를 재료로 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야채를 재료로 한 음식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특히 남학생의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3) 기호도와 세공빈도를 비교한 결과는 학생들의 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실제로 학교에서 급식되는 메뉴의 제공빈도 사이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호도와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기호도와 섭취량 사이에는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 함량 분석결과 단백질, 인, 철분,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6$, 나이아신, 비타민 C, 비타민 E를 초과섭취하고 있었다. 반면 열량, 칼슘, 비타민 $B_2$, 엽산은 권장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남자는 54.93%, 여자는 51.32%로 가장 취약한 섭취를 보였으며, 또한 철분은 월경을 경험하는 여학생들에게 특히 유의해야 하는 영양소임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섭취량이 권장량 대비 90.28%에 그쳐 청소년들의 영양증진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학교급식식단 기호도와 섭취율 사이에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학교급식의 메뉴선정에 있어 기호도가 매우 중요한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의 메뉴별 섭취율을 높이고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단 작성 시 기호도 조사를 통한 대체식품이용, 메뉴개선, 새로운 조리법 개발, 영양교육의 실시와 함께 배식량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국과 찌개류는 우리 전통식단의 일부로 거의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메뉴이기는 하지만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고, 이들 식품의 잔반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과 식염함유량을 고려해서 식단형태를 재구성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현재 학교급식을 제공받는 고등학생들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결과 과잉 또는 부족한 영양소가 있었고 특히 칼슘의 실제 섭취는 권장량의 53% 정도의 섭취율을 보여 우유급식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하는 등 칼슘섭취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sodium content of workplace and homemade meals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salinity measurements

  • Shin, Eun-Kyung;Lee, Yeon-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558-563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Most Koreans consume nearly 70-80% of the total sodium through their dishes. The use of a salinometer to measure salinity is recommended to help individuals control their sodium inta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dium content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salinity measurement in foods served by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and homemade meals. MATERIALS/METHODS: Workplace and homemade meals consumed by employees in 15 cafeterias located in 8 districts in Daegu were collected and the sodium content was measured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salinity measurements and then compared. The foods were categorized into 9 types of menus with 103 workplace meals and 337 homemade meals. RESULTS: Workplace mea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sodium content per 100 g of food but had higher sodium content via chemical analysis in roasted foods per portion. Homemade meals had higher broth salt content and higher salt content by chemical analysis per 100 g of roasted foods and hard-boiled foods. One-dish workplace meals had higher salinity (P < 0.05), while homemade broths and stews had higher sodium content (P < 0.05 and P < 0.01, respectively). The sodium content per 100 g of foods was higher in one-dish workplace meals (P < 0.05) and in homemade broths and stews (P < 0.01 and P < 0.0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use of a salinometer may be recommended to estimate the sodium content in foods and control one's sodium intake within the daily intake target as a way to promote cooking bland foods at home. However, estimated and actual measured values may differ.

레시피 관련 웹 사이트 중 한국음식 레시피의 자료 분석 및 검토 (Analysis of Recipes for Korean Foods in Web Sites)

  • 윤미옥;문현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4호
    • /
    • pp.390-400
    • /
    • 2004
  • Food and nutrition sites are the major portion of the health information sites. For the point of public health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on those web sit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identify problems when acquiring recipes in web sites by analyzing and reviewing recipes in web sites. To investigate Korean food recipes provided in web sites, domestic search engines such as Simmani, Naver, Hanmir, and Empas and foreign search engines such as Yahoo Korea, Lycos and Altabista Korea were used. Searchs were done using 'recipe' and 'Joribeob (cooking method)' from March 20, 2002 to June 20, 2002. Informations in each sit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 When classifying 46sites searched with 'Joribeob' by the information provider, 24sites were individual, 16sites were corporate and 6sites were others. When searching 'recipe', total 12,654recipes were returned. Out of them, individual provided 2,581sites(20.4%), corporate provided 7,249sites(57.3%), and others provided 2,824sites(22.3%). 9,979(78.9%) recipes out of 12,654recipes were proved to be appropriate as Korean food. Classifying recipes by dish group, vegetables 11.7%, soups and hot soups 9.7%, stew and casseroles 8.2%, pan cakes 8.0%, stir fried foods and skewers 7.8%, rice 7.2%, hard boiled food 7.1%, steam 6.4%, noodles and mandu 5.3%, Kimchi 4.5%, fried 4.1%, and porridge 3.7% in order. 21.1% of recipes were not appropriate as Korean food but provided as Korean Foo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as the information provider were higher than that of enterprises. Recipes from enterprises were based on food and nutrient information and more reliable. However,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y provided the same amount of ingredients with different calories or provided the same calories with different ingredients. Additionally, depending on sites, they provided different calories even for the same recipe.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 calories provided on the site were too high or too low, for the suggested amount of ingredients and serving size. Recipes those provide amount of calories were evaluated using the nutrient analysis program. Calculated calories and provided calories on the Web were compared together.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two valus. With these results, it may lead misuse of recipe by those who need accuracy in diet such as patients or who are interested in recipe inform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improve quantity and quality of recipes in the future. Also,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cipies for Korean foods in the web sites, there should be some systems to monitor and let internet users know monitoring results.

  • PDF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I. 주식(主食)과 부식(副食)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I. Staple food and side dish-)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7-275
    • /
    • 1994
  •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

하루 콩단백질 25g 섭취를 위한 메뉴작성 및 영양성분 분석 (A Study on Development of Menus for Daily Intake of 25g Soybean Protein and Nutrition Analysis of Soybean Food)

  • 한재숙;김정애;서봉순;이연정;서향순;조연숙;한경필;이신정;오옥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22
    • /
    • 2002
  • 하루 콩단백질 25g 섭취를 위한 1인분의 콩음식을 개발하고, 1인분의 음식분량으로 식품분석표를 이용하여 영양가를 계산하고, 완성된 음식을 시료로 이화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인 계산치와 분석치를 비교 검토함으로서 조리에 의한 영양소의 변화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월의 식단은 콩비지탕과 두부와 김치볶음, 횐콩.연근조림으로서 콩단백질은 33.1g이었으며, 2월의 식단은 콩스튜, 두부.콩나물 볶음, 이탈리안 두부튀김으로 콩단백질은 35.0g이었다. 3월의 식단은 두부된장국, 두부튀김, 유부말이로서 콩단백질은 24.9 g이었으며, 4월의 식단은 두부.두유그라탕, 두부.햄무침으로서 콩단백질은 26.3g이었으며, 5월의 식단은 콩다식과 콩죽, 콩 나물국으로서 콩단백질은 26.7g이었다. 6월의 식단은 두부선과 두부구이, 두유로서 콩단백질은 28.4g이었으며, 7월의 식단은 콩국수와 마파두부, 두부샐러드로서 콩단백질은 24.7g이었다. 8월의 식단은 콩나물냉채, 꽈리고추 콩가루무침, 두부 김치찌개, 두부 스테이크으로서 콩단백질은 26.2g이었고, 9월의 식단은 콩가루 배추국, 탕수두부로서 콩단백질은 23.2g 이었다. 10월의 식단은 청국장, 콩 빈대떡으로서 콩단백질은 24.3g이었으며 11월의 식단은 순두부찌개, 으깬두부 달걀부침, 유부 채소볶음으로서 콩단백질은 22.4g이었고, 12월의 식단은 두부 버섯 전골, 두부 채소튀김, 두부조림으로서 콩단백질은 28.9g이었다. 12개월의 식단에서 콩단백질의 함량은 22.3~35.0g의 범위로 콩단백질 25g 이상이 포함된 식단이 7개, 2.7g 미만 부족 식단이 5개 였다. 2. 1인분으로 작성된 레시피의 식품분석표에 의한 계산치와 실제 분석치의 비율(A/B %)은 열량이 57.7~107.7%, 탄수화물이 42.9~131.9%, 식이섬유가 42.1~113.2%, 단백질 79.2~183.3%, 지방은 54.5~100%, 그리고 회분은 40.7~80.8%범위 이었다. 3. 칼슘(Ca)의 계산치에 대한 분석치의 비율(A/B%)은 44.1~93.6%, K은 59.0~153.1%, Na은 53.1~ l17.7%, 인(P)은 64.6~138.8%, 철분(Fe)은 33.8~77.3% 범위로 가장 낮은 %를 보였다.

  • PDF

국내 유통 가공식품과 단체급식 메뉴의 당 함량 실태조사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 Foods)

  • 최미희;권광일;김지영;이지선;김종욱;박혜경;김명철;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42
    • /
    • 2008
  • '06년-'7년 시중 유통되는 가공식품과 단체급식의 메뉴를 대상으로 과잉 섭취 시 위해 가능한 영양성분의 하나인 당 함량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사탕류, 캐러멜류 및 젤리류에서 31.7-71.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히 학교주변 문방구등에서 판매되는 저가의 어린이 기호식품의 경우 대부분 당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체급식에서 제공되는 반찬 중 찜류 및 볶음류, 조림류에서 물엿이나 설탕을 첨가하는 경우 29.6-49.2%로 어린이 기호식품과 유사한 수준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가공식품 및 단체급식 메뉴를 통한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체나 단체급식 시설에서의 설탕이나 물엿과 같은 단맛 성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급식에 대한 영양표시제 활성화가 필요하며, 소비자들은 제품을 선택할 때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하여 당 함량이 적은제품을 선택하고, 섭취 시에도 가급적 1회 제공량 범위를 넘지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하여 가공식품 및 음식의 당 함량 데이터베이스 및 원료성 식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당 저감화를 추진하는 등 어린이 먹거리의 영양 안전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 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65-870
    • /
    • 2012
  • 마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전통식품과의 접목 방안을 모색하고자 증숙마늘 분말을 5~30% 첨가하여 전통적인 감미제인 조청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탁도 및 착색도는 증숙마늘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증숙마늘 분말 30% 첨가시 착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3배 더 높았다. 조청의 점도도 동일한 경향으로 증숙마늘 분말을 30% 첨가하였을 때 점도는 $(272{\pm}2){\times}10^3$ cps로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조청의 pH는 $4.31{\pm}0.11{\sim}4.58{\pm}0.02$의 범위로 대조군($5.35{\pm}0.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환원당은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0% 첨가시에는 $44.66{\pm}0.26$ mg/100 g이었다. HMF 함량은 대조군과 증숙마늘 분말 5%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55{\pm}0.10{\sim}4.87{\pm}0.08$ mg/kg의 범위였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raffinose 및 fructose 순으로 높게 정량되었고,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은 대조군에 비해 maltose 및 raffinose의 함량은 낮고 fructose의 함량은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증숙마늘 분말 20% 미만 첨가시는 색, 감미, 전반적인 선호도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조청 제조시 증숙마늘 분말은 20% 미만으로 첨가함으로써 관능적 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이 우수한 조청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급식 대표음식의 영양밀도 분석 및 영양소-단가 비교연구 (Nutrient Density and Nutrient-Cost Evaluation for the Representative Menus of the School Lunch Program in Korea)

  • 임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10호
    • /
    • pp.1244-1257
    • /
    • 1997
  • The goals of the School Lunch Program(SLP) are to provide school children with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ir daily nutrition requirements at a reasonable price, to foster good food habits, an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nutrition.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and appropriate nutritional information for SLP planning, and to identify inexpensive sources of each nutrient, representative SLP menus were analyzed for nutrient density using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and for nutrient cost. Recipes and prices of 776 meals were collected from 10 SLP primary schoo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Korea during 1995. From 4829 menu items in 776 meals, the 100 most frequently used menu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LP menus. From these 100 menus, eleven categories of menu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and ingredients. Selected menus were placed into these 11 groups, with 3 to 5 menus in each except the milk group which contained only milk. The mean nutrient content, INQs, and nutrient-cost ratios were calculated for each menu and menu group. Among the 100 representative SLP menus, 'Jiajang-rice' contained the highest energy per serving portion. 'Grilled pollack ' was the highest in protein, 'Seasoned spinach ' in vitamin A, 'Spagehetti' in vitamin B1 , niacin and iron, 'Kongjorim'(hard-boiled bean with sauce) in vitamin B2 , strawberry in vitamin C, and 'fish stew ' and milk in calcium. Among the 11 menu groups, the 'One-dish' group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energy , protein, vitamin A, B$_1$ and iron. The milk group was a good source of vitamin B$_2$ and calcium . The meat side dish group (panbroiled, fried or steamed )was the most suitable for providing niacin. The fruit group provide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c per portion. The nutrient densities(INQs) were found in the soup group (protein), Kimchi group(vitamin A), fruit group(vitamin B$_1$ and C), milk group(vitamin B$_2$ and calcium), stew group(niacin )and vegetable side dish group(energy, protein, vitamin B$_1$ and niacin) , vegetable side dish group(vitamin A), milk group(vitamin B$_2$ and calcium) , fruit and Kimchi groups(vitamin C), and stew group(iron). This information should be useful for school dietitians in planning most nutritious SLP menus with limited budgets. It could also be used for basic guidelines in nutrition education, and for future improvement of the SLP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