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bor Structur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아산만 배수갑문 확장사업에 따른 아산만 해역의 수리특성 변화 검토 (Estimation for Changing of Hydraulic States Caused by Gate Expansion in Asan Bay)

  • 박병준;송현구;송태관;장은철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7-340
    • /
    • 2008
  • The gate expansion was planed to increase discharge capacity of gate structure at sea dike in Asan Bay. So it was estimated for changing of hydraulic states in Pyeongteak Harbor Zone caused by gate expansion, by 2D and 3D CFD Module. In result, influence of gate expansion was less than tidal current and discharge ratio between old gate and new gate was 4:6.

  • PDF

木浦港 開發 및 大佛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變化(II) - 海上環境을 中心으로 - (The Change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II))

  • 이중우;정명선;민병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64
    • /
    • 1992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oceanographical environment caused by Mokpo coastal zon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clarification of the water level changes and coastal current structure and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ast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ceangraphical environemnt,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pH,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 tide and current were measured. To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ide and curr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ertain zones, it was found to be flooding problems near the lowlying commercial area.

  • PDF

동해항 방파제를 대상으로 한 신뢰성 설계법의 비교 연구. 2. 케이슨의 활동 (Comparative Study of Reliability Design Methods by Application to Donghae Harbor Breakwaters. 2. Sliding of Caissons)

  • 김승우;서경덕;오영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46
    • /
    • 2006
  • 본 논문은 동해항 방파제를 대상으로 신뢰성 설계법을 비교하는 한 쌍의 논문의 두 번째 부분이다. 제 2부인 본 논문에서는 케이슨의 활동을 다룬다. 사석 마운드 위에 케이슨을 거치한 직립방파제의 파괴모드는 케이슨의 활동 및 전도, 그리고 사석 마운드 또는 지반의 파괴 등이 있는데, 그 중 케이슨의 활동에 의한 파괴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케이슨 활동 파괴에 대한 기존의 결정론적 설계법은 저항이 하중보다 일정 배수(예를 들어 1.2배) 커야 한다는 안전율 개념으로 접근한다. 그러나 안전율의 개념으로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한편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신뢰성 설계법은 구조물의 파괴확률을 산정함으로써 안정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가능케 한다. 신뢰성 설계법은 사용되는 확률적 개념의 정도에 따라 Level 1, 2 및 3의 세가지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결정론적 방법으로 설계, 시공된 후 1987년 피해를 입었던 동해항 방파제의 케이슨 활동에 대하여 피해 전과 보강 후의 단면에 대해서 각각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피해 전 단면의 파괴확률은 허용파괴확률을 크게 초과하여 케이슨이 과소 설계되었음을 나타내는 반면, 보강 후 단면의 파괴확률은 허용파괴확률과 비슷한 값을 보임으로써 보강 후 안정한 구조물이 되었음을 나타냈다. 한편, 서로 다른 세 가지 신뢰성 설계법의 결과가 대체로 잘 일치하는 것을 보임으로써 각 방법을 이용한 해석 결과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아이스하버식 어도 내 수리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연구 (NUMERICAL ANALYSIS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ICE-HARBOR TYPE FISHWAY)

  • 고선호;최학규;이희범;이신형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19
    • /
    • 2015
  • A fishway is a structure on or around artificial and natural barriers, such as dams, locks and waterfalls, to help fishes' natural migration. In this paper,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termed SNUFOAM is used to analyze vertical hydraulic characteristic of rollway of fishway. Volume-of-fluid (VOF) method was used to handle free-surfac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in fishway because fish use directional information from the flow characteristics to navigate through fishway. Fishway was modeled in 2-D and the influence of the stream velocity, slope, and weir height of fishway was tested. In results, the transition Reynolds number was $2{\times}10^5{\sim}3{\times}10^5$.

가로널식 일자형 방파제의 구조거동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Behavior of Soldier Pile Type Breakwater)

  • 한상훈;박우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8-105
    • /
    • 2005
  • 비교적 설계파가 낮고 지반이 연약한 경우에 적합하면서도 저렴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파제 형식의 개발하였는데, 이 구조형식은 지반굴착공사에 널리 쓰이는 가로널식 말뚝과 유사한 형태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식의 방파제에 대한 구조거동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평가할 수 있지만, 가로널과 말뚝 연결부의 비선형성, 재료의 비선형성, 지점조건의 비탄성 등으로 인하여 실제 현장의 구조거동과 수치해석상의 구조 거동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수치해석과 현장거동사이의 구조거동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수조모형 실험을 수행하여 파고, 지점조건, 앵커 케이블의 숫자에 따른 구조거동을 살펴보고 그 값을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항만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Imote2 플랫폼 기반 스마트 무선센서노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Imote2-Platformed Wireless Smart Sensor Node for Health Monitoring of Harbor Structures)

  • 박재형;김정태;이소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6-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Imote2 센서 플랫폼 기반의 고민감도 스마트 무선센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고성능 Imote2 센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고민감도 MEMS 가속도계를 탑재한 스마트 무선센서를 설계하였다. 둘째, 스마트 무선센서가 독자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스마트 무선센서의 성능을 모형 케이슨 구조물에서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케이슨식 안벽의 내진보강 성능 평가 -수치해석적 측면에서- (Performance Evaluation of Earthquake Resistant Caisson Type Quay Walls)

  • 권오순;황성춘;박우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29-139
    • /
    • 2000
  • 항만시설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한 피해의 대부분은 매립지반의 액상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대형항만의 안벽은 대부분 중력식 안벽으로 설계.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력식 안벽은 조성된 배후 지반의 액상화에 취약하여 지진 발생시 액상화로 인한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한 사례가 많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 기존에 시공된 중력식 안벽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그 효율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안벽의 내진보강공법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내진안벽 형식에 대한 내진보강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내진보강안벽의 내진보강 성능을 평가하기 이해 수치해석적 측면에서 케이슨식 안벽의 내진보강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동일한 단면에 대해 실시된 진동대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Modeling of Fine Sediment Transport under Multiple Breakwaters of Surface-Piercing Type

  • Lee, J. L.;Oh, M. R.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7-562
    • /
    • 2004
  • A surface-piercing barrier model is presented for understanding morphological development in the sheltered region and investigating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severe accumulation. Surface-piercing structures like vertical barriers, surface docks and floating breakwaters are recently favo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 marine scenario since they do not in general partition the natural sea. The numerical solution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on wave profiles and morphological change rates within a rectangular harbor of a constant depth protected by surface-piercing thin breakwaters as a simplified problem. Our numerical study involves several modules: 1) wave dynamics analyzed by a plane-wave approximation, 2)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combined with sediment erosion-deposition model, and 3) concurrent morphological changes. Scattering waves are solved by using a plane wave method without inclusion of evanescent modes. Evanescent modes are only considered in predicting the reflection ratio against the vertical barrier and energy losses due to vortex shedding from the lower edge of plate are taken into account. A new relationship to relate the near-bed concentration to the depth-mean concentration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vertical structure of concentration. The numerical solutions were also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on morphological changes within a rectangular harbor of constant water depth. Through the numerical experiments, the vortex-induced flow appears to be not ignorable in predict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although the immersion depth of a plate is not deep.

  • PDF

항만 구역 지진피해예측 평가방안에 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Seismic Damage Estimation for Harbor Sites)

  • 최승호;김한샘;유승훈;정충기;장인성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5-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만 구역의 지진피해예측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지진피해예측 관련 시스템 및 내진설계 현황 및 항만구조물의 지진피해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주요 항만 구역의 구조물의 현황 및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반 정보와 항만 구조물의 지진 취약도를 고려한 항만 구역(구조물)의 지진피해예측 간이 평가방안을 개발하였다.

Coastal Environments 블록의 개발을 위한 연결부 마찰 실험 (An Expremental Study on Connections Friction Test of Improvement for Coastal Environment Block)

  • 김춘호;김상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9-52
    • /
    • 2008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삼면이 바다에 접한 우리나라는 향 후 많은 피해가 예측되므로 이에 따른 방호개념으로 기존의 단조로운 형상과 비 자연친화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및 연안침식방지 기능부재로 인한 또 다른 피해가 발생된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Waterfront 개념의 빠른 확산으로 연안 어항의 낙후된 시설개선 등에 많은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러한 용도에 맞는 자연 친화형 구조물이 개발된 바 없어 기존의 Solid Block, Igloo Block, Tunnel Block 등이 일부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이 계류하는 안벽이나 물양장 등에서 항내 진입파와 항파 등으로 인한 반사파의 발생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항내파고가 높아져 정온도유지가 어렵고 선박의 계류 및 하역에 지장을 주게 되며, 선박과의 충돌 발생으로 인한 소형선박의 손괴 발생율이 높은 실정이므로 새로운 형태의 블록(Block)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개발한 C.E(Coastal Environments)블록을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단키 부분의 내하력 평가가 요구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E 블록의 연결부 시험편을 제작하여 C.E블록 경계면의 마찰실험을 실시하였으며, C.E블록 연결부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한 다음 C.E블록의 연결부 마찰계수를 평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