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calve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3초

한우의 Fatty Acid Synthase (FASN)와 Acetyl CoA Carboxylase-α (ACACA)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가 한우집단내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atty Acid Synthase and Acetyl CoA Carboxylase Genes on Carcass Quality in Commercial Hanwoo Population)

  • 전은경;김상욱;최윤정;김내수;조만욱;이명일;정용호;이진석;김관태;고경철;김관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389-395
    • /
    • 2011
  • 본 연구는 지방산의 합성의 완성 및 지방세포의 성장 및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FASN과 ACACA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SNP)들을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우 능력평가집단 425두와 농협 축산연구원에서 제공받은 632두를 대상으로 FASN 유전자내의 4개(g.11280A>G, g.16024A>G, g.16039T>C, g.17924A>G)의 단일염기변이들과 ACACA 유전자내의 1개(g.2274G>A) 단일염기변이들이 도체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한우능력평가집단에서 FASN g.17924A>G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ACACA g.2274G>A는 배장근 단면적에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농협 축산연구원의 샘플에서도 FASN g.17924A>G는 도체중에서 ACACA g.2274G>A는 배장근 단면적에서 동일한 유의적인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한우 능력평가집단과 농협 축산연구원 샘플을 통합하여 FASN 유전자 g.17924A>G 와 ACACA 유전자 g.2274G>A 변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FASN g.17924A>G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 유의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ACACA g.2274G>A는 등지방두께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FASN g.17924A>G와 ACACA g.2274G>A 의 유전자형조합에 따른 분석에서 도체중과 근내지방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추정되었으며, 도체중과 근내지방도에 유의적인 상가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FASN g.17924G>A의 GG 유전자형과 ACACA g.2274A>G의 GG 유전자형의 조합을 가진 개체는 다른 유전자형 조합을 가진 개체보다 높은 도체중과 근내지방도를 발현하는 개체인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두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을 육량과 육질이 우수한 송아지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entification of Sperm mRNA Biomarkers Associated with Sex-Determination in Korean Native Cows

  • Min, Kwan-Sik;Byambaragchaa, Munkhzaya;Kim, Hyun;Park, Myung-Hum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1-11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pecific genes associated with sex-determination in Korean native cow. The highly organized spermatogenesis requires accurate spatial and tempor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which is governed by transcriptional, post-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processes. Recently, farmers have been interested in determining the sexual identity of the calves in their farm. We analyzed the sperm of Korean native and Holstein cows, which were supplied from Hanwoo Improvement Center. We evaluated sperm motility and expression of sperm-specific genes after treating semen with both male- and female reagents. Sperm motility in Korean native cows decreased by approximately 10% in the first 30 minutes after treatment with sex-determination reagent. However, sperm motility of Holstein cows decreased to 60-70% after 15 minutes and to 20-30% after 30 minutes. We selected six specific genes expressing in the spermatozoa to analysis the gene expression level. The Real-time PCR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ed genes (Gimap4, Tmeff1, Rac2, Abi2, Rac1, and Clu)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male reagent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the female reagent and to the untreated-group (control). In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the selected genes play a pivotal role in sex-determination.

송아지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병 중화항체 조사 (Prevelance of neutralizing antibody related with viral respiratory disease in cattle)

  • 윤충근;임연수;류영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05-211
    • /
    • 2010
  • Fifty young calves, about five to six months old purchased from nation-wide were investigated with the prevelance of neutralizing antibody (Ab) of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virus (IBRV), parainfluenza 3 virus ($PI_{3}V$),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and 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RSV).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neutralizing Ab against IBRV was only 3% and two of positive samples showed low antibody titer (below 2). Ab against BRSV showed 48% of positive ratio and among 24 positive samples, antibody titer of 23 samples were below 3. But in the case of BVDV, 68% of samples were positive and 23 samples appeared to possess high antibody titer, above 4 and the antibody titer of five samples were above 8. The highest positive result came from $PI_{3}V$. The positive ratio in the samp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72%, but the antibody titer of positive samples were generally below 3 (77.8% in positive samples).

소 MC1R 우성흑모색 대립인자를 구분하는 변형 프라이머를 이용한 소 품종들의 유전자형 분포 분석 (Analysis of the Genotype Distribution in Cattle Breeds Using a Double Mismatched Primer Set that Discriminates the MC1R Dominant Black Allele)

  • 한상현;김영훈;조인철;장병귀;고문석;정하연;이성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33-640
    • /
    • 2008
  • 소의 모색 발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Extension 좌위에 암호화되어 있는 melanocortin- 1 receptor(MC1R) 유전자형을 변형된 염기서열이 증폭되게 제작된 이중 mismatch primer 쌍을 이용하여 PCR-RFLP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증폭된 PCR 절편들은 MC1R 유전자에서 모색 표현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세 가지 대립인자들(ED, E+, e)로 MspI-과 AluI-RFLP에 의해 성공적으로 구분되었다. MC1R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제주흑우는 세 가지 대립인자가 모두 출현하였고, 황-적모색의 한우와 호피문의 칡소에서는 흑모색우성 대립인자 ED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우성흑모색으로 알려진 두 소 품종 Holstein과 Angus는 ED 대립인자의 빈도가 96%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한우×Holstein F1과 한우×Angus F1은 모두 ED/e의 유전자형을 나타내었고, 표현형은 전신 흑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이중 mismatch primer 쌍을 이용한 MC1R 유전자 증폭 절편에 대한 MspI-과 AluI-RFLP 조합은 소의 품종 특성 규명과 품종 식별에서 매우 중요한 유전자 표지인자 중 하나인 MC1R 유전자의 세 가지 대립인자를 식별하는 데 유용한 실험기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reducing inclusion rate of roughages by changing roughage sources and concentrate types on intake, growth,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of Hanwoo growing cattle (Bos Taurus coreanae)

  • Jeon, Seoyoung;Jeong, Sinyong;Lee, Mingyung;Seo, Jakyeom;Kam, Dong Keun;Kim, Jeong Hoon;Park, Jaehwa;Seo, Seong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05-1714
    • /
    • 2019
  • Objective: Reducing roughage feeding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rumen health is of interest in ruminant nutr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oughage sources and concentrate types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fermentation, and blood metabolite levels in growing cattle. Methods: In this 24-week trial, 24 Hanwoo cattle ($224{\pm}24.7kg$) were fed similar nitrous and energy levels of total mixed ration formulated using two kinds of roughage (timothy hay and ryegrass straw) and two types of concentrate mixes (high starch [HS] and high fiber [HF]).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a $2{\times}2$ factorial, consisting of 32% timothy-68% HS, 24% timothy-76% HF, 24% ryegrass-76% HS, and 17% ryegrass-83% HF. Daily feed intakes were measured. Every four weeks, blood were sampled, and body weight was measured before morning feeding. Every eight weeks, rumen fluid was collected using a stomach tube over five consecutive days. Results: The mean dry matter intake (7.33 kg) and average daily gain (1,033 g)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Howeve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roughage source and concentrate type were observed for the rumen and blood parameters (p<0.05).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was highest (p<0.05) in timothy-HF-fed calves. With ryegrass as the roughage source, decreasing the roughage inclusion rate increased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and decreased the acetate-to-propionate ratio; the opposite was observed with timothy as the roughage source. Similarly, the effects of concentrate types on plasma total protein, alanine transaminase, Ca, inorganic P,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differed with roughage source (p<0.05). Conclusion: Decreasing the dietary roughage inclusion rate by replacing forage neutral detergent fiber with that from non-roughage fiber source might be a feasible feeding practice in growing cattle. A combination of low-quality roughage with a high fiber concentrate might be economically beneficial.

세가지 도축 종료 시점을 공변량으로 하는 한우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분석모형 (Genetic Analysis of Carcass Traits in Hanwoo with Different Slaughter End-points)

  • 최연호;윤호백;최성복;정흥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03-710
    • /
    • 2005
  • 한우의 성장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4가지 공분산 모형을 적용하여 후대검정에 공시된 수소와 거세 수소의 자료에 대한 표현형 및 유전자형에 대한 분산-공분산을 추정하였다. 4가지 모형은 검정소와 검정차수로 구분한 동기그룹의 고정효과와 임의효과인 종모우 효과로 구성된 부계 반형매 모형을 적용하였다. 도체형질에 대해서는 4가지 공변량을 추가하였는데 모형 1에는 도축일령의 1차식효과를, 모형 2에는 도축연령의 1차와 2차식 효과를 사용하였고, 모형 3에는 절식체중을 모형 4에는 등지방두께를 각기 1차식 공변량으로 사용하였다. 도축일령의 2차식 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도축일령에 대한 회귀로 인하여 4개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 분산-공분산 성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도축 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을 때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와 도체율에 대한 유전력은 각기 0.34, 0.22, 0.24, 0.42, 0.18로 추정되었다. 도체중과 다른 도체형질간에는 정(+)의 유전상관을 보였으나, 등지방 두께와 등심단면적, 그리고 근내지방도와 도체율 간에는 낮은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절식체중에 대한 회귀는 도체중에 대한 유전분산과 타 도체형질과의 유전 공분산을 감소시켰으며, 등지방 두께에 대한 회귀는 등심단면적에 대한 유전분산과 등심단면적과 도체중 간의 유전 공분산을 증가시켰다. 절식체중이나 등지방두께를 공변량으로 한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분산-공분산 성분은 도축 일령을 공변량으로 했을 때와 상이한 구조를 보였는데, 이들 두 가지 공변량은 골격-근육-지방조직으로 구성되는 신체 부분적 발달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의 유전체 육종가의 정확도 추정 (Estimation of the Accuracy of Genomic Breeding Value in Hanwoo (Korean Cattle))

  • 이승수;이승환;최태정;최연호;조광현;최유림;조용민;김내수;이중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3-18
    • /
    • 2013
  • 본 연구는 농협 한우개량사업소 후대검정우 552두의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를 측정한 후 고밀도 SNP 패널(777K)을 사용하여 유전체 혈연 행렬(Genetic Relationship Matrix, GRM)을 추정하고 GBLU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방법으로 GEBV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를 구하여 교차 검증(Cross-validation) 방법으로 그 정확도를 추정함으로써 유전체 선발 기법을 한우 유전평가 체계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교차 검증 방법으로 각 형질별로 추정된 유전체 육종가의 정확도는 0.915~0.957로 상당히 높게 추정되었다. 대립유전자의 빈도로 계산된 유전체 혈연 행렬을 이용하여 GBLUP 방법으로 추정된 육종가 정확도의 최대 차이는 후대검정우 534두에 대하여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 두께 및 근내지방도 순으로 각각 9.56%, 5.78%, 5.78% 및 4.18% 정도의 수준으로 상승했고, 혈통 기록상의 모든 개체 3,674두에 대해서는 형질 별로 최대 13.54%, 6.50%, 6.50% 및 4.31% 정도의 수준으로 증가한 결과가 추정되었다. 이는 한우 보증씨수소의 선발 시스템에서 아직 표현형 자료를 생산할 수 없는 당대검정 후보축 대한 집단을 조성할 때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사전 선발을 활용하면 기존의 상대적으로 낮았던 육종가의 정확도의 상승 효과와 세대 간격의 단축으로 인하여 유전적 개량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genomic breeding value 추정을 위하여 조성된 집단의 경우는 후대 검정우 집단으로서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가 높으며, 이미 전통적인 BLUP 방법으로도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가진 집단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현재 한우 집단에 대한 유전체 자료 구축 시 이용할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후대검정우 집단 외에는 참조 집단을 조성할 수 있는 대안이 없으므로, 지속적인 유전체 검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적 조성이 구축된 참조 집단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전체 검정을 통한 정확도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참조 집단의 크기를 늘릴 필요성이 있다.

Genomic selection through single-ste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improves the accuracy of evaluation in Hanwoo cattle

  • Park, Mi Na;Alam, Mahboob;Kim, Sidong;Park, Byoungho;Lee, Seung Hwan;Lee, Sung S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544-1557
    • /
    • 2020
  • Objective: Genomic selection (GS) is becoming popular in animals' genetic development.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single-ste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ssGBLUP) as tool for GS, and compared its efficacy with the traditional pedigree BLUP (pedBLUP) method. Methods: A total of 9,952 males born between 1997 and 2018 under Hanwoo proven-bull selection program was studied. We analyzed body weight at 12 months and carcass weight (kg), backfat thickness,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traits. About 7,387 bulls were genotyped using Illumina 50K BeadChip Arrays. Multiple-trait animal mode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BLUPF90 software programs. Breeding value accuracy was calculated using two methods: i) Pearson's correlation of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GEBV) with EBV of all animals (rM1) and ii) correlation using inverse of coefficient matrix from the mixed-model equations (rM2). Then, we compared these accuracies by overall population, info-type (PHEN, phenotyped-only; GEN, genotyped-only; and PH+GEN, phenotyped and genotyped), and bull-types (YBULL, young male calves; CBULL, young candidate bulls; and PBULL, proven bulls). Results: The rM1 estimates in the study were between 0.90 and 0.96 among five traits. The rM1 estimates varied slightly by population and info-type, but noticeably by bull-type for traits. Generally average rM2 estimates were much smaller than rM1 (pedBLUP, 0.40 to0.44; ssGBLUP, 0.41 to 0.45) at population level. However, rM2 from both BLUP models varied noticeably across info-types and bull-types. The ssGBLUP estimates of rM2 in PHEN, GEN, and PH+ GEN ranged between 0.51 and 0.63, 0.66 and 0.70, and 0.68 and 0.73, respectively. In YBULL, CBULL, and PBULL, the rM2 estimates ranged between 0.54 and 0.57, 0.55 and 0.62, and 0.70 and 0.74, respectively. The pedBLUP based rM2 estimates were also relatively lower than ssGBLUP estimates. At the population level, we found an increase in accuracy by 2.0% to 4.5% among traits. Traits in PHEN were least influenced by ssGBLUP (0% to 2.0%), whereas the highest positive changes were in GEN (8.1% to 10.7%). PH+GEN also showed 6.5% to 8.5% increase in accuracy by ssGBLUP. However, the highest improvements were found in bull-types (YBULL, 21% to 35.7%; CBULL, 3.3% to 9.3%; PBULL, 2.8% to 6.1%). Conclusion: A noticeable improvement by ssGBLUP was observed in this study. Findings of differential responses to ssGBLUP by various bulls could assist in better selection decision making as well. We, therefore, suggest that ssGBLUP could be used for GS in Hanwoo proven-bull evaluation program.

청보리 사일리지 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E 급여 및 급여기간이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비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Whole Crop Barley Silage- or Whole Crop Rye Silage based-TMR and Duration of TMR Feeding on Growth, Feed Cost and 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광림;김종규;진위적;정준;장선식;손용석;최창원;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11-124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와 청호밀을 이용한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사료비, 그리고 도체특성과 등급판정 및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한우 거세우 송아지 80두를 대상으로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총 68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분리 급여하는 관행사양구(Control),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BS-TMR I),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BS-TMR I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 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RS-TMR 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RS-TMR II)로 구성하였다. 각 처리 당 거세된 송아지 16두 씩을 배치하였고, 처리 당 거세한우 송아지를 4두씩 4개의 pen에 수용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 방법으로 각 처리구의 pen을 배치하였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량은 관행사양구에 비해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서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비육 중기에서 현저히 높았으나(P<0.0001) 비육 후기에서는 RS-TMR II를 제외하고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 비해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서 다소 낮았다. 또한 비육 후기까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BS-TMR II 및 RS-TMR II)에 비하여 비육 중기까지 사일리지TMR을 섭취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료를 섭취한 처리구(BS-TMRI 및 RS-TMR I)에서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가 다소 감소 되었다. 사일리지 TMR이 관행사료 급여에 비해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 등지방 두께 및 배최장근 면적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육량지수를 낮추었다(P<0.047). 다른 시험사료에 비해 청보리 사일리지 TMR이 근내지방도를 다소 낮추었으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한우 거세우 내 배최장근의 화학적성분, 도체특성, 대부분의 육질 특성, 육색 및 지방산 조성은 시험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전단력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 비해 관행사양 방법으로 비육된 한우에서 낮았으나(P<0.046)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배합사료와 볏짚 중심의 관행사양방법에 비하여 BS 또는 RS를 이용한 TMR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크게 영향하지 않은 반면 증체를 개선하고 사료비를 절감할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의 사료적 가치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

대규모 한우 번식 목장에서의 10년간 송아지 폐사 원인 (Korean native calf mortality: the causes of calf death in a large breeding farm over a 10-year period)

  • 김의형;정영훈;최창용;강석진;장선식;조상래;양병철;허태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75-80
    • /
    • 2015
  • Calf losses have an economic impact on larger Korean native cattle (KNC) breeding farms due to replacement, productivity, and marketing. However, little research on KNC calf mortality or causes of calf death on large-scale breeding farm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medical records and autopsy findings from the Hanwoo experimental st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alf death records from 2002 to 2011 were used to identify the causes of mortality. Mortality rate of KNC calves was 5.7%. Large differences (1.8~12.6%) in yearspecific mortalities were observed. Calf deaths were due to digestive diseases (68.7%), respiratory diseases (20.9%), accidents (6.0%), and other known diseases (2.2%). The main cause of calf death was enteritis followed by pneumonia, rumen indigestion, and intestinal obstruction. The greatest number of calf deaths occurred during the fall followed by summ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nteritis and pneumonia were the main reasons for calf death. However, autopsy findings demonstrated that other factors also caused calf death. This study suggested that seasonal breeding and routine vaccin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preventing calf death, and improving calf health in high land areas with low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