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s-on Education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6초

Pseudo-STEM에 기초한 미분방정식 교육 (Teaching differential equations based on pseudo-STEM)

  • 하준홍;심재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77-1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학생중심의 수학 및 과학 교육법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STEM교육의 유래와 STEM 교육을 대학교육에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Hands-on교육과 일본대학의 수리공교육의 사례를 조사한다. STEM교육은 학생들이 기술과 공학의 문제에서 수학의 필요성을 자각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수학교과에 대한 수동적 학습태도를 능동적으로 바꾸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부상되고 있지만, S(과학), T(기술), E(공학), M(수학)의 물리적 융합이 아닌 화학적 융합으로써 현행 대학 교과과정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실제 프로젝트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T와 E를 졸업작품에서 스스로 찾도록 하고, 이 자발적인 발견을 수학교과목과 연계하는 Pseudo-STEM교육법을 제안한다.

COVID-19으로 인해 촉발된 원격 실험 수업에 대한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인식 (Science Education Experts' Perception of the Remote Laboratory Sessions Provoked by COVID-19)

  • 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91-40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COVID-19으로 인해 촉발된 원격 실험 수업에 대한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2021년 상반기에 물리교육, 화학교육, 생물교육, 지구과학교육 전문가 총 10인에 대한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육 전문가들은 우선 원격 실험 수업을 예비교사교육의 일환으로서 이해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존에 관습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실험 교육의 목적을 재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COVID-19으로 인한 원격 수업 실험의 현실에 관하여는 우선 핸즈온 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학습 결손, 교수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 감소 우려, 교수자의 업무량 증가가 언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육 전문가들은 원격 실험 수업의 적응적 실행 경험을 통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원격 실험 수업을 핸즈온 수업의 미비한 방식이라기보다는 마인즈온 수업의 보완된 방식으로 이해할 때 이를 더 나은 형태로 설계 및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고 제안하고, 이와 관련한 추후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 실험 수업을 과학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초, 중등 학교 숲 활용 교육을 위한 IT 융합 방안 탐색 (An Exploration of IT Convergence Methods for School Forests Education)

  • 김성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2-120
    • /
    • 2019
  • 본 연구는 초, 중등 교육에서 IT 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초, 중등 교육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제점과 요구 분석을 통해 IT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통해 적합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식물의 수집 및 관찰, 재배 및 수확, 간단한 공예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교육에 더하여 Hands-on Activity 중심의 IT 융합 수업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양한 재료, 피지컬 컴퓨팅 도구, 프로그래밍 툴을 활용한 IT융합 수업을 제안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식물 가꾸기, 동물 기르기 관련 단원과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의 생명기술 관련단원 등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뿐 아니라 중학교 자유학기 활동 및 방과 후 학교 등 다양한 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였다. 학교 숲은 농업, 생명기술 관련 영역의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학습 공간이다. 따라서, 제시된 IT융합 수업을 통해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가치가 재발견됨은 물론이며 재평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Exploring the Operating and Supporting Direction of AI Curriculum by Analyzing A High School Case Study

  • Sungryong Ju;Seulgi Song;Seung-Bo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75-186
    • /
    • 2023
  •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과정의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필요한 조건 및 지원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2020년도부터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운영한 A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및 구현방안, 지원방안에 대해 설문하였다. 설문 문항은 1)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경험 조사 2) 인공지능 교육의 구현 방향, 3) 이를 통한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경향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중심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공지능 교육의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둘째, 실습형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전반에 인공지능을 접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 실습형 교육 운영을 위한 물적 인프라의 확충과 함께 인공지능 교수학습을 구현할 수 있는 교원의 역량 강화 방향에 대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SAP ERP 시스템 교육을 위한 교육용 가상기업 구현 전략 (A New Effective SAP ERP Education Approach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Virtual Company)

  • 김영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58
    • /
    • 2011
  • 본 논문은 대학에서의 SAP R/3를 이용한 ERP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실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용 가상기업을 생성할 필요성을 주창하고 있다. SAP R/3 시스템에서 교육생들이 직접 가상 기업을 설정하고, 해당 모듈 내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것을 직접 구현 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ERP 교육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실습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Online training and education from the VR-1 reactor-Lessons learned

  • Ondrej Novak;Tomas Bily;Ondrej Huml;Lubomir Sklenka;Filip Fejt;Jan Rataj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2호
    • /
    • pp.4465-4471
    • /
    • 2023
  • Hands-on education and training is a key part of fixing and developing technology knowledge and is an inherent part of many engineering and scientific curricula. However, access to large complex training facilities, such as nuclear reactor, could be limi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unavailability of those facilities in the region, high traveling costs or harmonization of the schedules of hands-on E&T with theoretical lectures and with the operational schedule of the facility. To handle the issue, several success stories have been reach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Reactor Labs (IRL). The Internet Reactor Labs can strongly contribute to accessibility of training at research reactors and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their utilization. The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Reactor Lab at the VR-1 reactor of the 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 Contrary to single-purpose IRLs, it presents various modalities of online teaching and training in experimental reactor physics and reactor operation in general as well as outreach activiti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손의 미생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 - 조리종사자를 중심으로 (Changes of Microbial Load on the Hands of Food Preparer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4-159
    • /
    • 2011
  • 부적절한 식품취급과 불량한 손 위생관리는 식품매개성 질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조리 중 손의 미생물(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를 알아 보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채취는 음식점 조리종사자 20명의 왼손과 오른손에서 조리 전부터 조리 후까지 2시간 간격으로 glove-juice method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미생물 시험은 식품공전에 따라 수행하였다. 손의 미생물 오염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조리 전과 8시간 후에 높게 나타났다(p < 0.05). 왼손보다 오른손에서 미생물 오염도가 일관되게 높았다. 일부 조리종사자의 손에서 총대장균군 분변성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가 검출되어 손 위생관리가 불량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이 조리 중 미생물 전파매개 체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또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더 필요함을 제시한다.

7개 경혈부위에서의 생물광자(Biophoton) 방출량 비교 (Comparing Biophoton Emissions from Seven Acupuncture Points)

  • 김동훈;신광문;정현희;박상현;양준모;소경순;이성묵;소광섭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5-53
    • /
    • 2004
  • We measured biophoton emissions from seven acupuncture points of eight healthy subjects. The measured points are the Yintang, the $Danch{\bar{u}}$, the Shinketsu, the left and right $R{\bar{o}}ky{\bar{u}}$ and the left and right Yaotongwue of hands. The photo multiplier tube (H-610805s, Hamamatsu, Japan) has spectral range between 300nm and 650nm. Significantly low emission rate was observed at the Shinketsu where the rate was $3.7\;{\pm}\;1.8\;cps$. On the average the highest emission was from the Yaotongxue points where the rate was $11.3\;{\pm}\;5.4$.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s, and the low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poin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 PDF

CAS IMPLEMENTATION OF RECURSIVE STRUCTURE IN A SPANNING TREE

  • Song, Kee-Hong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249-260
    • /
    • 2005
  • Experimentation using computer plays an important part in education and research in graph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CAS techniques for the hands-on approach in graph theory specifically on the topic of constructing the spanning tree. This paper discusses the advantages of CAS as the software system for doing graph theory and introduces the software solutions integrat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developed by the author, which extend the functionality of the existing CAS-based graph theory software package.

  • PDF

초등 과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과학 개념 이해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 이수영;주은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15-429
    • /
    • 2011
  •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inquiry-based learning activities are often limited to students' hands-on experiences. As a result, students often overlook core concepts they are supposed to acquire from the inquiry activities and show difficulties in applying those concepts in a real life context.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hands-on activities and the concept leaning, a small-group discussion can be considered. In this study, we designed a team-based learning (TBL) model for the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W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Comfortable Environments" unit in the 6th grade curriculum based on the TBL model. After appling the model with 32 6th grade students, we compared the TBL participants' level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lso compared them with their counterpart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oncept understanding of the TBL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attitudes toward science between the TBL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interviews with the TBL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positively perceived the TBL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