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ok(韓屋)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1초

BIM 기반의 현대식 한옥 시공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한 한옥 공정분석 연구 (Construction Process Analysis of Han-Ok for BIM Based Modern Han-Ok Construction Simulation)

  • 윤석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10
    • /
    • 2011
  • 최근 한옥의 산업화와 보급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한옥의 시공 또는 공정에 대한 연구는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이와 함께 최근 BIM에 대한 관심과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BIM 기술은 부위단위로 건축물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기술로서, 최근 이를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BIM 기술은 조립식 공법을 사용하는 한옥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시공과 공정관리의 체계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한옥의 형식인 익공식과 민도리식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공정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식 공종분류 형태로 구성하여 WBS와 공정표를 작성하였다. 또한, 이렇게 작성된 공정을 기반으로 익공식 한옥을 대상으로 BIM의 한옥 시공 시뮬레이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의 경우, 조립식 공법의 한옥의 특징으로 인해, 한옥의 공정시뮬레이션은 95%정도의 시뮬레이션 자동 연계가 가능하였다.

주거용 현대한옥의 스마트홈서비스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mart Home Services to Contemporary Han-ok Housing)

  • 전진배;김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75-683
    • /
    • 2018
  • 친환경 건축과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현대한옥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식당, 커피전문점, 숙박업소 등 상업용 현대한옥이 주목을 받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직 간접적으로 한옥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주거용으로 현대한옥 거주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옥은 현대식 공동주택과 비교해 냉 난방 등 에너지관리, 보안, 유지관리 등 현대 생활에 필요한 주택 주요 기능 편의성이 떨어진다. 그런 이유로 한옥에 대한 관심과 호감 증가가 주거용 현대한옥의 실제 주거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주거용 현대한옥에 스마트홈서비스를 적용하여 불편함을 개선할 방안에 대한 연구로 다음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거용 현대한옥의 유형과 문제점에 대한 사례 및 문헌연구를 통해 종합하였고, 스마트홈서비스의 최근 기술 동향과 현재까지 개발 및 시판된 기술을 선행연구사례와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주거용 현대한옥의 불편함을 스마트홈서비스에 적용 시 불편함을 해소해줄 스마트홈서비스의 리스트와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용 현대한옥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결정하는 가치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cision Factor about the Necessary for Governmental Support of non-Residential Han-ok)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76-4883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보전 구역 내에서 비주거용 한옥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주거한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주거한옥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로지스틱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에 동의하는 경우 어떠한 가치요인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환경이 열악한 한옥의 활용, 한옥 외관상 가치, 지역의 생활복지 서비스 제공, 관광객 수용, 상업공간 제공, 역사성 부족, 한옥에 대한 개방성 강화 등의 7개의 요인이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전통에 기반을 둔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 계획 연구 (A Design Study of the Mountainous Contemporary Han-ok based on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 김도경;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89-2796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산간지역의 자연환경 특성을 반영한 현대 한옥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강원도 산간지역 주택의 전통을 바탕으로 이 지역의 기후를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 특성에 적응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현대한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은 우리나라 전통한옥의 외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전통한옥이 지닌 자연환경조절체계를 최대한 지닐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여러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지역에 따른 자연환경의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강원도 산간지역의 자연환경 특성과 지역적 전통에 부합하는 현대 한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계획안이 한옥의 보급 및 현대한옥의 개발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산신도시 한옥(韓屋)형 초등학교 계획 연구 - 경주 라궁(羅宮)의 조직성을 활용하여 - (An Study of Han-ok(韓屋) Style Elementary School in Asan new town -Use the Composition of La-gung(羅宮) in Gyeong-ju-)

  • 김혜지;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37-5346
    • /
    • 2011
  • 최근 증가되는 한옥 붐으로 인해 한옥 활용의 다양화란 측면에서 각종 공공청사 및 유치원,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에 한옥을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즉 한옥 형식을 여러 유형의 현대적 건축에 적용해 보려는 다각도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충남 아산신도시 지역의 초등학교 부지를 하나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옥을 이용한 초등학교 계획안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계획 규모는 학년별 4개 학급 총24개 학급 규모이며, 교실운영 방안은 1-2학년은 '종합교실형'으로, 3-6학년은 '일반교실+특별교실+다목적실형'으로 설정하였다. 부지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저학년동을 한옥형으로 계획하였으며 선례로서 라궁의 조직성을 활용하였다.

한옥형 숙박시설의 실태조사 분석 - 전라남도 지역 한옥형 민박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urvey on Traditional Korean Style Accommodations (Han-ok Style Accommodations) - Focused on Han-ok Style Lodges in Jeollanamdo Province -)

  • 황남이;정훈;강만호;주석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1-18
    • /
    • 2009
  • Recently the population to enjoy leisure time has increased, due to the advancement of income level and increase of spare time. In the meantime, the growing attention to well-being life has shed light on Han-ok or traditional Korean house. Such a social background as former,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prefer staying at Han-ok style accommodation when they are enjoying leisure tim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substantial study or survey on architectural standards of Han-ok style accommodation because it is a new type of accommodation fac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et of basic standards on architectural planning for Han-ok style accommodations. For this purpose, it investigated architectural planning on Han-ok style accommodations in Jeollanamdo province through on-site survey and interview to classify them based upon size and scale of the facility, layout of buildings and interior spaces in terms of function, elevation and materials and to find basic standards on architectural planning of Han-ok style accommodations.

아파트와 한옥의 LCC(Life Cycle Cost)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ife Cycle Cost Analysis on Apartment houses and Han-Ok)

  • 김근우;윤석헌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6
    • /
    • 2010
  • 건축물의 총 소유비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초기단계의 설계와 시공비용 이외에도 기획비용,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LCC(Life Cycle Cost)라고 부른다. 현재, 충분한 데이터와 기준의 부족으로 인해 LCC의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LCC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현대식 아파트와 전통 한옥 주택에 대한 LCC 사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의 결과 한옥이 현대식 아파트에 비해 유지보수와 운영 비용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층형 생활한옥 모델시안 연구 - 청주 서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Tentative Plans of Middle-rise Traditional Houses (Han-ok) Located on Seoun-dong in Urban Area of Cheongju, Korea)

  • 김찬구;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28
    • /
    • 2022
  • Focusing on the creation of a new han ok, especially a mid-rise hybrid-structured Han-ok, this study proposes a middle-rise (four-story) Han-ok on one and two lots located in Seoun-dong, the existing Han-ok intensive housing site in downtown Cheongju. 1)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shaped Han-ok corresponding to the road and the direction, the parking lots and shops on the 1st floor, the business facility on the 2nd floor, the Han-ok on the 3rd and 4th floors are placed. There are yards, open roof yards, and semi-open Daecheong(大廳, main hall), which can be shared by residents. 2) In terms of structure and form, one or two floors (some 3 floors) are 5.4m square and 5.4×6.6m modules of the RC(Reinforced Concrete) group, and the upper floor reflects the 2.7m module, size and shape of the existing Han-ok. By extending the outer wall of the RC group in the lower floors (1st to 3rd floors) to the wooden exterior of the upper floors (2nd to 4th floors), it is attempted to avoid the awkward appearance of the RC group being exposed to wooden structures. And it is also attempted to reflect the wooden shape and design elements through the elevation elements such as horizontal windows, corner windows, picture frames, and vertical slits. 3) In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ies, it is attempted to smooth the ventilation of the building by forming a vertical upward airflow from the dark space of the low floor to the positive of the upper floor. This doubles the effect through a vertical rise of cold air generated in a narrow alleyway, piloti parking lot, and the various voids. In addition to the Daecheong and Numaru(loft) of Han ok, the rooftop yard, the terrace, and the balcony, horizontal natural ventilation is generated through divided doors and transom windows.

전문가와 거주자 인식 관점에서 본 한옥의 특성과 적용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Han-Ok in the Perception of their Residents and Experts)

  • 이민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87-5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Han-Ok based on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Han-Ok that experts perceived.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of 7 experts and 24 Han-Ok resi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rrangements are primarily emphasized an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for the residents. Placement on the ground, a suitable scale, appropriate openings and closures, hierarchical spatial system and a spatial relationship provide a feeling of comfort and protection. Second, the spaces and the materials of Han-Ok ar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elements providing functionality and healt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rea makes the air naturally circulate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soil, and paper have the function as natural ventilation, heat storage, and in the prevention of various illnesses. Third, residents in modern society put more of a value on experiences of natural environments that are usually impossible in the city. The simple and incomplete characteristics in using color, materials, and form, provide a culture of story telling and a leisurely lifestyle. Fourth, the cold and spatial inconvenience of Han-Ok are solved by partially using modernized equipment and material. The functionality of spatial systems in Han-Ok needs to be promoted in order to change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cold in Han-Ok.

농촌지역 보급형 현대 한옥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Type Modern Han-ok in Rural Areas)

  • 이향미;손승광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85-92
    • /
    • 2010
  • Jeollanamdo aims to cultivate Hanok Village as a lodging resource for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For the purpose, it invited eight models of the Hanok Village publicly and selected our model as the best.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centering on the model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and awarded by the local government. We develop and suggest eleven types of improved-type Hanok model that is to be distributed to each city and county. We compose the space which reflects needs of residents for modern living. And we focus on preservation of decorative beauty to make it a resource of tourism by creating beautiful view of Hanok and reduction of financial burden to activate its distribution. The Hanok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improved Hanok that can be suggested as a new model of rural area housing project.